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신하영 Aug 24. 2023

자유시간을 만끽하지 못하는 현대인

행복의 공식




우린 자유 시간이 주어지면 어떻게든 보람차고 즐거운 일을 하려고 쩔쩔맨다. 나에게 주어진 자유시간을 유용하게 이용할 수 있다는 것은 문명이 우리에게 준 마지막 선물로 오늘날 이지경에 이른 사람은 실제로 몇 없다고 한다. 우린 늘 자유를 갈망한다. 그렇지만 완전한 자유가 주어진다면 다시금 출근했던 때를 그리워할 수 있다. 아무것도 하지 않고 느끼는 권태보다는 생산적인 일을 하며 느끼는 권태가 수십 배 낫기 때문이다. 회사원들의 불금과 휴일이라는 말은 노동자들이 만들어낸 문화지 일주일 내내 놀고먹는 사람에게는 포함되지 않는 일이다. 갈증이 있을 때 냉수가 단 것처럼 우린 결핍이 있을 때 무언갈 갈망하고 그것을 만끽했을 때 비로소 쾌감을 느낀다. 어쩌면 행복의 공식이 정해져 있는 것이다. 


열심히 돈을 벌며 그 돈으로 밥을 먹고 옷을 사는 건 삶을 유연하게 만드는 기름칠일지도 모른다. 그러니 너무 염세적일 필요가 없다. 영악한 부자들은 가난한 자처럼 일한다니, 나의 일에서 일정 성취감만 찾는다면 어엿한 어른으로 사회에 뿌리를 내릴 수 있다. 모든 부정과 포기 그리고 낙담은 하지 않는 자들의 혀에서 시작된다. 무엇이라도 도전하고, 조금씩 성장하는 사람은 떠오르는 태양을 보지 어두운 습지를 보지 않는다. 실패하지 않는 사람이 어디 있는가. 한 번도 넘어지지 않은 것이 도려 불행이라고 하니, 고통 속에 성장과 행복이 있다는 걸 기억하자. 낙관적이면 구름 한 점에도 미소 지을 수 있다. 과연 그 사람이 멍청한 인간으로 보일까? 아니다. 때 지난 예능을 보며 웃고, 단골 떡볶이집에서 홀로 저녁을 먹는 사람이 기쁨을 알 것이다. 멀리서 보면 무한대로 돌아가는 쳇바퀴지만 들여다보면 각자의 세계가 있다. 나의 세계, 당신의 세계 그리고 우리의 세계. 모든 건 하나로 정의될 수 없음에 나만의 세상을 차곡히 구축해 나가면 우리도 남부럽지 않은 인생을 살 수 있다. 


인생도 하나의 건물이라고. 부실공사가 쉽게 무너지는 건 당신이 제일 잘 알 테니 조금씩 내실을 다지자. 나는 내가 10년, 20년 뒤에도 작은 일 하나에 바보처럼 웃고 새로운 도전을 손에 쥐고 있었으면 좋겠다.   

매거진의 이전글 더는 관계에 조급해지고 싶지 않다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