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셜미션이 스타트업에게 부여하는 생명력
"왜 창업 하셨어요?"
창업가들은 종종 창업 이유에 대한 질문을 받습니다. 창업은 성공 확률이 낮고 큰 기회비용을 수반하는 일이기에 실제로 창업을 하는 사람은 적기 때문에 창업을 했다는 이유만으로도 주변 사람들의 관심을 받게 되지요.
그런데 몇 번 이 질문을 받다보면, 실은 이 질문이 묻고 있는 것이 ‘왜 이 제품이나 서비스가 필요하다고 생각하셨나요?’ 라는 것을 깨닫게 됩니다. 우리가 알다시피 창업은 목적이 아니라 문제해결의 한 방법, 즉 수단에 불과합니다. 창업이 아닌 방식으로 해결할 수 있는 문제들도 많지요. 그런데도 굳이 창업을 선택했다면, 왜 창업을 하지 않을 수 없었는지 설명할 수 있어야 합니다. 다음으로 달라보이지만, 같은 의도를 가진 질문을 던져볼까요?
이 기업의 존재가치는 무엇인가요?
느낌이 많이 다르죠? 모든 기업은 창업을 통해서 궁극적으로 이루고 싶은 모습, 만들어내고 싶은 변화, 해결하고 싶은 것을 고민하는 것에서 시작합니다. 그것이 기업의 존재가치고, 또 기업의 이정표와 같은 역할을 합니다.
모든 동식물이 갖고 있는 DNA처럼 기업은 ‘미션(때로는 비전)’이라는 것을 갖습니다. 왜 존재하고, 무엇을 해야할지 등 창업가의 기업 설립 의도를 우리는 ‘미션(때로는 비전)’이라고 부르고 기업의 ‘존재가치’라 읽습니다. 지구 상의 모든 것이 그러하듯이 기업도 언젠가는 사라집니다. 기업이 지구상의 생명체와 다른 점이 있다면, 그 죽음의 시기를 조절할 수 있다는 점입니다. 기업의 미션, 존재가치는 기업을 지속하게하기도 하고, 또 소멸하게도합니다. 생명체는 ‘왜 존재하는지’, ‘언제 죽는지’ 알 수 없지만, 기업은 ‘존재가치’를 통해 왜 존재하는지, 언제 소멸할지를 스스로 말하고 또 증명합니다.
그러고보면, 기업은 미션에 따라 처음부터 사라질 운명을 갖고 태어납니다. 모든 개인이 각자의 삶을 살수 있어야 하듯이, 기업 또한 각자의 존재가치, 미션에 따라 다른 길을 걷게됩니다.
그런데 때때로 기업의 존재가치가 이윤창출로 여겨지는 경우를 목격합니다. 창업가들을 ‘돈’만 좇는 사람들이라고 보는 생각도 접하곤 합니다. 물론, ‘이윤’이 창업의 큰 동기 중에 하나임에 틀림이 없습니다. 그리고 많은 창업가들과 그들이 만든 기업이 보여준 모습은 이러한 오해를 불러일으킬만도 합니다. 특히, 한국 사회는 산업화, 민주화라는 이름 아래, 창업 신화라는 재벌의 이름 아래, 속도와 효율성이 강조되는 스타트업이라는 이름 아래 ‘다른 가치들’은 뒷전에 두어 온 것이 사실입니다.
기업의 존재가치를 ‘이윤창출’로 여기는 것은 한 사람의 존재가치가 ‘먹는 것’, ‘버는 것’ 이라고 이야기하는 것과 다르지 않습니다. 우리의 삶이 먹는 것, 버는 것만으로 되어있지 않듯이, 기업의 생애도 ‘이윤창출’로만 구성되어있지 않습니다. 기업은 문제해결의 수단이며, ‘이윤창출’ 역시 문제해결의 수단이지, 목적이 될 수 없기 때문입니다.
흔히 경영학의 아버지로 일컬어지는 피터 드러커도 60여 년 전 그의 저서 ‘경영의 실제’에서 기업의 목적을 ‘이윤창출’이 아닌 사회 속에서 찾아야한다고 했습니다.
이윤이라는 측면으로 기업을 규정하거나 설명할 수는 없다.
이윤극대화라는 개념은 실질적으로는 무의미하다.
수익성은 기업 경영의 목적이 아니라 제한요소다. (중략)
기업의 목적은 반드시 비즈니스 자체가 아닌 다른 것이어야 한다.
사실 기업의 목적은 사회 속에서 찾아야 한다.
기업도 사회의 일부이기 때문이다.
<피터 드러커>
오늘날 기업은 더 이상 이윤창출의 성과로만 평가되지 않습니다. 창업가들 역시 마찬가지고요. 사회적 가치가 개인과 조직을 평가하는 중요한 요소로 자리매김 되어가고 있고, 투명하고 건강한 조직문화와 창업가의 도덕적/윤리적인 언행은 이제 필수로 여겨집니다.
기업들 역시 공익 추구를 중요한 역할로 받아들이고 있습니다. 글로벌 다국적기업들이 펼치는 환경보호운동, 빈곤퇴치운동은 더 이상 낯설지 않으며, 글로벌 스포츠의류 브랜드들은 앞다투어 여성의 권리와 위대함을 주장합니다. 이를 두고 여전히 마케팅 전략으로 보는 시선이 적지않지만, 고객들이 그렇게 순진하지는 않다는 점을 생각해보면 마케팅으로만 치부할 수는 없습니다.
그래서 그럴까요? 우리가 아는 대부분의 크고 작은 기업의 ‘사명서(Mission statement)’에는 사회적가치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사명서의 내용은 인류의 삶을 풍요롭게하겠다에서부터 최고의 가치와 경험을 고객에게 제공하여 그들의 복지에 기여한다거나 사회적 책임을 다하겠다는 등 사회적기업이나 비영리와 견주어도 손색이 없는 경우도 많습니다. 사명서에 근거하면, 대부분의 기업들의 목적은 이미 ‘이윤창출’이 아닌 ‘사회적인 것’ 입니다.
여기서 더 나아가 아예 사회문제 해결 자체를 기업의 존재가치로 하는 소셜벤처들 역시 늘어나고 있습니다. 소셜벤처의 창업자들은 사회적가치에 대한 분명한 생각과 목표를 갖고 있습니다. 또 기업이 사회에 속해있다는 생각도 갖고 있었습니다. 이들에게 ‘이윤창출’은 기업의 지속가능성을 담보하는 수단이며, 기업은 사회의 번영을 위해 존재하는 것이었습니다.
몇 년 전만 해도 익숙하지 않던 풍경이었습니다만, 이제는 데모데이등 스타트업을 소개하는 행사에서도 ‘사회적가치’는 빠지지 않고 등장하는 단골 가치입니다. 창업자들의 입에서 ‘사회문제를 해결하기위해서’ 창업을 했다는 답을 듣는 일은 점점 익숙한 일이 되어가고 있습니다.
이제 창업을 하는 사람이라면, 단순한 ‘미션(Mission)’이 아니라 ‘소셜미션(social mission)’을 만들고 체화해야할 것 같습니다. 특히, 스타트업들은 소셜미션을 놓쳐서는 안됩니다. 스타트업의 고객들이 조직의 유연하고 창조적인 분위기 못지않게 가치, 조직, 노동, 지배구조등에 대해서도 관심을 갖기 때문입니다.
어느 자리에서나 사회적가치를 겸비한 기업들이 더 많은 호응을 이끌어내는 것은 당연합니다. 공감과 지지를 이끌어내기 때문입니다. 사람들은 공감이 되는 기업들을 지지합니다. 그리고 그 기업의 존재가치는 동료들과 고객, 시장, 사회을 움직입니다.
지금까지 기업들은 ‘이윤창출’을 중심으로 지속가능한 모습만 보여주면 되었지만, 이제는 혁신적인 재화를 만들어내면서도 사회적가치, 조직적가치를 겸비해야합니다. 뛰어난 동료 일수록 기업의 존재가치를 중요하게 생각합니다. 사회적 약자를 돕는다거나, 환경, 보건, 빈곤 등 사회 다수가 마주하는 문제를 해결하는 목적은 기업 구성원들에게 큰 보람과 자부심으로 돌아옵니다. 고객들 역시 ‘이왕이면 다홍치마’라고 더 많은 가치를 가진 기업과 재화를 좋아합니다. 어떤 사회적가치를 만들어낼 것인지, 그리고 어떤 조직과 지배구조를 만들것인지를 고민하지 않는 창업자와 기업은 점차 고객들의 관심을 잃을 겁니다. 밀레니얼 세대 등 사회적가치를 구매의 중요한 요소로 생각하는 고객들은 점점 늘어나고 있습니다.
투자나 기업경영에 있어서는 20세기 후반부터 Triple Bottom Line(기업의 성과를 social, environmental and financial의 3가지 구조로 평가)이나 ESG(Environmental, social and governance)등이 제기되어왔습니다. 기업을 이윤창출의 도구로만 보던 시야에서, 사회적가치를 기업의 역할로 보아야한다는 주장이었습니다. CSR(기업의 사회적책임)을 넘어 CSV(공유가치창출)등의 논의도 같은 연장선에 있습니다.
사회적 목적 추구를 기업 본연의 목적으로 받아들여야 한다는 생각은 일반적인 것이 되어가고 있습니다. 기업을 사회의 일부분으로 보고, 기업 그 자체의 이윤창출을 넘어 사회 번영의 수단으로써 바라보는 것이죠. 좀 거창하게 말하면 모든 기업의 가치는 소셜임팩트(Social Impact)로 평가받는 시대가 도래했다고 볼 수 있습니다.
심지어 기업의 역할에 대한 논의는 사회적가치에서 한 단계 더 나아가는 모습입니다. 조직적임팩트(Organizational Impact)의 시대 또한 성큼 다가와 있는 것 같습니다. 근 몇 년간 여러 기업들에서 불거진 불합리한 노동환경과 왜곡된 조직문화 문제나 재벌부터 스타트업에 이르기까지 규모와 관계없이 드러난 기업 경영진들의 비위와 배임등 비윤리적 사건들과 그에 대한 사회의 반응은 이제 조직적 임팩트가 기업을 평가하는 중요한 요소가 되었다는 것을 보여줍니다. 윤리적 리더십인지, 건강한 조직인지, 문화와 노동, 차별, 지배구조는 어떠한지 등 조직적 임팩트는 훌륭한 기업가들과 투자자들, 특히 사회적기업가/혁신가들이 만들어내야 할 또 다른 혁신이자 과제가 되었습니다.
창업을 꿈꾸는 사람이라면 이제 ‘이윤창출’에서 더 나아가 소셜임팩트와 조직적임팩트를 고려해야합니다. 멋지고, 훌륭한 존재가치를 보여주는 소셜미션, 사회와 연결되어 있는 소셜미션은 좋은 동료를 끌어들이고, 충성스러운 고객을 만들어내고, 사회로부터의 지지를 이끌어냅니다.
기업들은 이제 이윤창출을 넘어야합니다. 소셜미션은 동료와 고객, 시장, 사회를 움직이기 때문입니다. 이제 “왜 창업하셨나요?” 라는 질문에 답할 ‘사회적가치’ 하나쯤은 준비해두시는게 어떨까요?
본 글은 sopoong의 블로그 포스트에도 게재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