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매거진 K pop Critic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MC 워너비 May 04. 2024

Y2K와 VHS

뉴진스 'Bubble Gum' MV



뉴진스를 볼 때마다 궁금한데, 소위 y2k 컨셉은 왜 자꾸 vhs를 매개로 재현되는 걸까. Vhs는 팔구십 년대의 매체다. 00년대까지 유통되긴 했지만 90년대 말~00년대 초반을 상징하는 미디어 매체는 단연 CD다. Y2k는 이름부터 특정한 연대를 표지하지만 구체적 시대상이 아니라 아날로그를 경유한 전자적 레트로 이미지와 막연한 노스탤지어를 재현하는 것 같다. 뉴진스 애플리케이션 포닝의 폴더 폰처럼 과거의 디지털 소품이 불려 올 때라도 색감이나 정서가 아날로그화 돼 있다. 복고는 과거를 소환하는 것인데, 뉴진스는 현재를 열화된 화질로 출력하고 현재에 빛바랜 톤의 필터를 덧씌운다는 인상이 든다. 그리고 이게 흘러간 아이콘을 하나하나 무덤에서 소환하던 십 년 전 90년대 복고와의 차이점이다. 


내가 떠올리는 y2k, 세기말과 밀레니엄은 아날로그 세상이 디지털 세상으로 뒤바뀌는 전환기였다. 그 전환이 2000년 1월 1일, 새로운 밀레니엄 도래와 함께 천지가 개벽하듯 단절적으로 일어날 것처럼 호들갑을 떠는 과장된 공기가 사회를 떠돌았다. Y2K란 말의 유래인 '밀레니엄 버그'는 세계의 형식이 디지털로 포맷되는 인류사 초유의 격변에서 발생할지도 모를 치명적 오류에 대한 두려움의 표현이었다. 아날로그와 디지털, 두 가지 계통의 세상이 혼재하는 난잡함과 부조화가 밀레니엄 시대의 이미지였고, 여전히 존재하는 아날로그 라이프 스타일을 '천지가 개벽하듯' 덮어쓰는 것처럼 과잉된 사이버 이미지가 범람했다. 


그것이 표현된 문화적 도상들이 아날로그 악기를 몰아낸 편곡의 테크노 음악, 디지털의 물성을 표현한 듯한 은박 재질 무대 의상, 동시대의 규범과 정체성을 송두리 째 탈선하듯 머리카락을 염료로 물 들이는 것을 넘어 색깔을 뽑아 내며 '탈색'한 노랑머리, SF 영화와 스타크래프트일본 하위문화가 믹스된 잡탕밥 같은 미래주의적 비전이었다. 밀레니엄은 노스탤지어 같은 아늑한 정동으로 다림질하기에는 모든 것이 혼돈에 차 있었다. 


그러니까, 이런 말이다. 내가 생각하는 y2k 이미지는 위쪽이고, 아래는 그와는 시대성, 장소성이 동 떨어진 인스타그래머블한 필터 이미지에 가깝다. 특정한 시대상에 호소하는 노스탤지어가 아니라 노스탤지어를 위한 노스탤지어. <응답하라> 시리즈 <토토가>와 달리, 뉴진스는 90년대도 00년대도 아닌 사람들 머릿속 낡고 오래된 관념 그 자체를 현전 시킨다. 그것이 뽀얗게 흐려진 소녀들의 형상으로 재현되는 노스탤지어고, 그에 대한 젠더적 토론과 별개로 이 그룹이 뿌리부터 보수적일 수밖에 없는 이유다. 레퍼런스가 되는 90년대 일본 문화는 그 허구의 노스탤지어를 로케이션 촬영하는 관념의 휴양지이자 실존한 과거로서의 Y2K를 대신해서 제공되는 문화적 대체 기억이다.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