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루지 Feb 06. 2019

[영화] 소셜 네트워크: 5억 친구와 나의 적들

세세한 일상을 공유하는 가족보다 가까운 관계

You don't get to 500 million people without making a few enemies
(약간의) 적을 만들지 않고는 5억 인구에게 다가갈 수 없다.


데이비드 핀처 감독의 2010년 연출작.


벤 메즈리치(Ben Mezrich)가 페이스북 공동창업자 에두아르도 "왈도" 세버린의 자문을 받아 집필한 논픽션 소설 '우연한 억만장자(The Accidental Billionaires)를 기반으로 한,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페이스북의 창업 과정과 뒷 이야기를 다루고 있다. 페이스북 창립 15주년을 맞아 다음의 관점에서 이 영화를 들여다보았다.


내가 지금 하고 있는 행동의 동기는 무엇인가


영화 초반부터 페이스북의 창업자 마크 주커버그는 유명 사립고인 필립스-엑세터를 나와 하버드대에 진학한, 본인의 두뇌에 대한 자부심으로 보나 집안 배경으로 보나 세상 두려울 게 없는, 거침없는 'Geek' 내지는 'Nerd'인 공대생의 모습을 보여준다. 미국에서 공대 (electrical and computer engineering)를 다닌 필자에게는 너무도 익숙한 과거 동급생들의 일면이다. 남들이 도저히 이해하지 못할 정도의 사고력과 언술을 뽐내며 자기만족과 쾌감을 얻지만 실상의 '소셜 네트워크-사회적 관계'는 만족스럽지 못한 루저-위너 (loser & winner) 사이를 왔다 갔다 하는 불완전한 존재이다. 대학 신입생 정도 나이의 남학생, 남자 어른에게 있어 '만족스러운 사회적 관계'란 '성적으로 대상화'된 여성의 존재 유무, 그러한 관계들에 있어서의 '유능감'과 무관하지 않을 것인데, 영화는 바로 그 지점의 '클리셰'에 머무르고 있기도 하다. 프로그래밍의 기본 언어와 일치하는 0 아니면 1의 이분법적 (binary) 원칙을 고수한다. 컴퓨터 천재 주커버그는 실제 사회적 관계에서 'loser (0)'였지만 그 점이 촉발되어 그의 다른 '영역 (1)'가 촉발된 범주에 들어간다고 볼 수 있다 (폄하일 수 있겠지만). 영화에 따르면, 하바드대보다 '급'이 떨어지지만 '얼굴이 예쁜' Boston University 재학생 여자 친구로부터 차인 그가 '홧김에' '여성 외모 월드컵'류의 Facemash 란 프로그램의 초기 버전을 만들고 현재의 SNS 공룡 페이스북을 창립하기까지 가장 중요한 동기는 바로 그것이다. "I'm CEO, Bitch" -- 나를 차 버린 여자에게 보란 듯이, 이 명함을 건네줄 수 있기 위해.


페이스북이 거대해지면서 결국 하버드대를 중퇴하고 캘리포니아로 건너 간 마크 주커버그의 공식 전공은 컴퓨터 사이언스-심리학으로 기재되어 있다. 전 세계인, 인류의 심리를 꿰뚫고 관리하고 '조종'하고 있다시피 한 그의 '마스터마인드'는 도대체 어떤 것일까. 윤리라든가, '인륜'적 가치라든가, 그런 형이상학적인 것에 그는 크게 관심이 없었다. 그는 스스로도 인정하듯, '명예욕' -- 그것도, 나를 무시한 이들을 보란 듯이 눌러줄 수 있는 그런 명예욕, 승부근성 -- 으로부터 힘을 받는 인물이다. 옳고 그름, 선과 악의 구분에서 벗어나 철저히 실존과 기능에 근거한 알고리듬 -- 인간은 그가 인정받고 싶은 사람을 위해 움직인다 라는 원칙에 근거한-- 을 고안하고 또 고안한다. 


너는 나쁜 사람은 아니야.
찌질이가 되기 위해 너무 노력하지는 마.(Don't try so hard to be an asshole.)

    

인정받기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 최대한 창의적으로 '찌질이'가 되기 위해, 그렇게 보이기 위해 노력하는 사람들이 있다. 영화 마지막 부분의 이 대사에서, 어쩌면 마크 주커버그의 '변신', 성장(?)에 대한 암시를 주는 건 아닐까 생각해 본다.


또 다른 '가족', 일상을 나누는 친밀한 관계 - 페친-
천하를 손에 넣었지만 내가 원하는 단 한 사람의 마음을 얻지 못한다면


페이스북 '불문율' 중에는 (생물학적) 가족이 '페친 (페이스북) 친구를 신청하면 '무시'하거나 '차단'하라는 것이 있다. '페친'들에게 자신의 가장 내밀한 이야기를 '선별적'으로 (포장해서) 들려주되, 그것의 진위 여부, 판단을 할 '객관적' 주체들을 최대한 거르겠다는 의도를 반영하는 것이다. 다른 이들과 '연결'되기 위한 것이지만, 내 페이스북 계정, 담벼락만은 어디까지나 '내가' 만들고 꾸미는 세상이며 시시때때로 변할 수 있는 나의 규칙을 따라야 하고 내 마음에 드는 이들만 허용되는 공간이다. 매일매일 (내가) 떡밥을 던질지언정 미끼를 무는 고기는 내 맘대로, 내가 정한다. 페이스북은 전 세계 5억, 27억의 사용자에게 나의 매력과 재능, 모든 것을 총동원하여 어필할 수 있는 장을 열어준 소셜 네트워크이다. 영화가 만들어진 2010년 기준 페이스북 기업의 가치가 28조 원이었고 2017년 자료에서는 시가총액 497조 원으로 추정되었다. (삼성전자의 2017년 추정 시가총액이 298조 원) 그럼에도 불구하고, 나에게 중요한 사실, 사람은 단 하나, 단 한 사람뿐. 자신을 차 버린 '에리카'에게 친구 신청을 하고 나서 수락 여부 확인을 위해 끊임없이 '새로고침'을 하는 것으로 영화는 끝을 맺는다. 


마지막 단락은, 마크 주커버그가 페이스북 창립 15주년을 맞아 그의 '담벼락'에 포스팅한 내용의 전문. (전문을 번역하진 않았다. 처음 두 단락 빼곤 왠지 마케팅 피치 같아서.)




Mark Zuckerberg


2019. 02. 05 오전 3:25 ·                                       Palo Alto


Fifteen years ago today, I launched the first version of the Facebook website from my college dorm. At the time, it struck me that there were many websites to find almost anything -- books, music, news, information, businesses -- except for what actually matters most: people. So I built a simple website organized around people, where we could connect with the people we wanted and share what was important to us. 15년 전 오늘 대학 기숙사 방에서 페이스북의 첫 버전을 선보였습니다. 당시 제가 착안했던 점은, 책, 음악, 뉴스, 정보, 비즈니스 등 거의 모든 것에 대한 다양한 웹사이트가 있는 반면 가장 중요한 것 -- 사람에 대한 것은 없다는 사실이었습니다. 그리하여 우리가 원하는 사람들과 우리에게 가장 중요한 것들을 나누기 위한, 사람들을 중심으로 한 간략한 웹사이트를 구축했던 것입니다. 


This desire to express ourselves, learn about each other, and connect in new ways was greater than I'd imagined. Within a couple of weeks, two-thirds of Harvard students were using Facebook almost every day. In the next couple of months, students from other places emailed me and my roommates to launch at their schools, and we opened at almost 30 schools. Within a year, more than one million students were connecting on the site. In a couple of years, we were working on making the service available to everyone. It took about four years for 100 million people to connect, and less than a decade for 1 billion people to connect. Today, about 2.7 billion people are connected using our services. 우리 자신을 표현하고, 서로에 대해 알아가고, 새로운 방식으로 연결하고자 하는 욕구는 제가 상상했던 것보다 훨씬 강렬한 것이었습니다. 불과 2주 만에 하버드 재학생 2/3가 거의 매일 페이스북에 접속하고 있었습니다. 두 달 안에는, 다른 학교 학생들이 저와 제 룸 메이 틍게 이메일을 보내와 자신들의 학교도 포함해 줄 것을 요청했으며 우리는 30개 학교에서 페이스북을 개통했습니다. 1년 안에는, 백만 명에 가까운 학생들이 사이트에 접속하고 있었습니다. 2년 만에, 우리는 이 서비스를 모든 이에게 개방했습니다. 1억 명의 사람들이 가입하기까지 4년이 걸렸고 그 숫자는 10년이 채 되지 않아 십억 명으로 늘었습니다. 현재 페이스북 사용자는 27억 명에 이르고 있습니다.


That first decade of people wiring up their networks was an exhilarating time. Many outsiders dismissed what was happening as a fad or inconsequential, but for those of us using these services from the early days it was clear something special and important was happening that reflected a new reality of how the world works today.


Much of people's experience in the past was defined by large hierarchical institutions -- governments, mass media, universities, religious organizations -- that provided stability but were often remote and inaccessible. If you wanted to progress, you worked your way up the ladder slowly. If you wanted to start something new or spread a new idea, it was harder without the blessing of these institutions.


Our current century is defined more by networks of people who have the freedom to interact with whom they want and the ability to easily share ideas and experiences. Facebook is far from the only network enabling this change -- it's part of the broader trend with the internet.


Before the internet, if you had different views or interests from the people in your neighborhood, it was harder to find a community that shared your interests. If someone you knew moved away, you'd often lose touch. If you wanted to raise attention for an issue, you usually had to go through politicians or the press -- someone with the power to distribute your message. If you wanted to reach new customers for your business, you often had to buy expensive ads or billboards. I'll never forget how right after we launched News Feed, we saw millions of people organize marches against violence in Colombia. We saw communities come together to do viral fundraisers.


Now, you can connect with anyone and use your voice. You don't have to go through existing institutions in the same way. People now have much greater power, and that creates opportunity, but also new challenges and responsibilities.


If the first part of this century was about wiring up these networks, the next phase will be about people using these networks to redefine every part of our society. This will require finding the right balance between the freedoms and responsibilities of a connected world.


For the last couple of years, most of the discussion has been about new social and ethical issues that these networks raise -- whether that's governing content to balance free expression and safety, the principles for protecting privacy in a world where people share so much information, how to improve health and well-being when we're always connected, and ensuring the integrity of our elections and democratic process. These are all critical issues, and we have a responsibility to manage these networks more proactively to prevent harm.


We've made real progress on these issues and built some of the most advanced systems in the world to address them, but there's a lot more to do. We're now taking steps that wouldn't have been possible even just a few years ago -- for example, this year we plan to spend more on safety and security than our whole revenue at the time of our IPO, and the artificial intelligence required to help manage content at scale didn't exist until recently. But as people use these networks to shape society, it's critical we continue making progress on these questions.


At the same time, there is another force at play as well. As networks of people replace traditional hierarchies and reshape many institutions in our society -- from government to business to media to communities and more -- there is a tendency of some people to lament this change, to overly emphasize the negative, and in some cases to go so far as saying the shift to empowering people in the ways the internet and these networks do is mostly harmful to society and democracy.


To the contrary, while any rapid social change creates uncertainty, I believe what we're seeing is people having more power, and a long term trend reshaping society to be more open and accountable over time. We're still in the early stages of this transformation and in many ways it is just getting started. But if the last 15 years were about people building these new networks and starting to see their impact, then the next 15 years will be about people using their power to remake society in ways that have the potential to be profoundly positive for decades to come.


When I started Facebook, I believed that we all have a deep desire to focus more of what we do around people -- not just content, commerce, companies, apps, or politics. I still believe this today, and I'm grateful to everyone in our community who believes this too and is building this world every single day. Here's to a great 15 years to come.








작가의 이전글 [영화] 길버트 그레이프: 나를 먹어치우는 가족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