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별것 아닌 의학용어 Sep 08. 2022

미치광이 모자 장수와 슬픈 노동자

의학용어, 앨리스, 수은, 수은중독

미친 모자 장수 (mad hatter)


'이상한 나라의 앨리스'에는 기괴하고도 매력적인 모자 장수가 있습니다. 원래의 캐릭터 이름은, '미친 모자 장수(mad hatter)', 미친놈이죠! 그런데, 왜 그는 미쳤을까요?


바로, 모자를 만들다 미쳤습니다. 왜냐하면,  19세기에는 펠트 모자(felted fur hats) 제조에 질산 수은(mercury nitrate)을 사용했기 때문이에요. 당시의 모자 공장에서 일하는 많은 직원들은, 제조 과정에서 지속적인 수은에 노출될 수밖에 없었고, 그래서, 수은 중독(hydrargyrism, mercury poisoning)에 걸리게 되었습니다. 수은 중독은 중추신경계(central nervous system)에 영향을 미쳐서, 손떨림, 운동 장애, 인격 변화, 정서 장애 등 다양한 신경 증상을 유발하게 됩니다.


만성 수은 중독의  전형적인 세 가지 증후

정신적 변화

손 떨림

구강 염증


당시 미국과 유럽에선, 수은 중독을 'Hatter's shake (모자장수의 손떨림)'이라고 불렀습니다. 사람들은 미쳤다는 표현을 모자 장수에 빗대어  'As mad as a hatter(모자장수처럼 미친)'라고 표현하였고, 루이스 캐롤은 이상한 나라의 앨리스에서 이 캐릭터를 보여줍니다.


슬픈 노동자

동물의 털을 압축하여 만든 부직포 재질의 모자


펠트 모자의 인기와 함께 수많은 공장 직공들이 병들었지만, 공장주들은 노동자들의 건강에는 별 관심이 없었습니다. 당시에도 노동조합과 가난한 노동자들은 끊임없이 처우 개선을 요구했지만, 공장주들은 노동자들의 지나친 담배와 술 섭취가 문제라고 비난하며, 수은과는 상관이 없다고 주장했습니다. 처음으로 문제 제기가 되었던 (주 1) 1860년으로부터 거의 80년이 지난 1937년에 이르러서야, 정부는 조사를 통해 술과 담배는 hatter's shake와 무관하고 수은 중독이 주요 원인임을 공적으로 밝혔습니다. 그리고는, 마침내 1941년에 이르러, 모자 제조에 수은 대신 과산화수소(Hydrogen peroxide)를 사용하게 되어, 가난한 노동자들은 수은 중독에서 벗어날 수 있게 되었습니다.  


수은


수은을 뜻하는 Mercury는 그리스 로마 신화에서 전령의 신인 머큐리우스(Mercurius)에서 유래하였습니다. 그리스 이름은 헤르메스(Hermes)입니다. 한자 문화권에서는 마치 은처럼 반짝이는 것이 상온에서 액체 상태로 있기 때문에 '물 같은 은'이라고 수은이라고 불렀습니다. 그리고, 가열을 하면 40도 정도의 낮은 온도에서 기체로 변하지요. 이 수은의 독특한 형태 변화는 많은 연금술사들을 매료시켰으며, 동서양을 막론하고 특별한 힘이 있을 것이라 여겼습니다.

영화 '아가씨'에서는 살해 도구로 나오는데요, 후지와라(하정우 분)가 밀폐된 공간에서 수은이 들어간 담배를 피움으로서, 악당 코우즈키(조진웅 분)와 함께 죽음을 맞이합니다.


수은은 비교적 최근까지도 의료 목적으로 매우 광범위하게 사용되었습니다. 어린 시절 소독약의 대명사 '빨간약'은, 흔히 머큐롬이라고 알려져 있습니다. 군대에서는 머리가 아프면 머리에, 배가 아프면 배에 바르는 만병 통치약으로 알려졌죠. 정식 명칭은 머큐로크롬(Mercurochrome)으로, 'mercuro~'가 보이시죠? 바로, 수은과 알코올로 만들어졌습니다. 여기서 크롬은 원소 Cr이 아니라, 색(color)를 뜻하는 그리스어입니다. 피부에 바르면 착색(color)이 되기 때문에, 머큐로크롬이라고 불렸고, 또한 우리나라에선 빨간약이라고 불렀습니다. 계속 주기적으로 사용하는 약이 아니기 때문에 그 위험성에 대해서는 논란이 많으나, 일본을 비롯하여 미국 등에서는 수은 중독의 위험성 때문에 퇴출되었습니다.

출처: 6080 추억상회

치과에서 이빨을 때우는 데 사용되는 아말감은, 수은 합금을 관용적으로 일컫는 재료입니다. 아말감에 대해서도 많은 안전성 논쟁이 있으나, 현재까지도 많이 사용되고 있습니다.

한의학에서도 수은이 들어간 처방을 쉽게 찾아볼 수 있습니다. 대표적으로 수은이 들어간 처방은 우황청심환이 있습니다. 물론, 현재는 주사(수은의 일종)를 빼고 사용합니다.  '주사'는 공식적으로 한의사가 사용할 수 있는 한약재(주 4)입니다.  한의사들이 주사를 사용할 때는 특별한 가공방법을 거쳐서 가용성 수은염, 유리수은등의 독성물질을 제거하고, 매우 소량만 단기적으로 사용합니다.

수은이 미백을 위한 화장품으로 사용되어 문제를 일으킨 것은 조선 후기, 구한말까지도 이어졌습니다. 명성황후도 수은을 미용의 목적으로 사용했다고 합니다. 최근 2014년 중국에서 화장품 사용 후 신장 질환 등이 보고되었는데, 문제가 된 미백 화장품에는 수은이 기준치보다 6만 배나 많이 함유되어 있었다고 합니다. 근대까지도 민간에서도 수은을 태워서 그 증기를 마시게 한다던지, 내복약으로 사용한다던지 하여 아이들의 경기를 치료하는 데 사용했습니다.

15세기 독일의 화학자이자 연금술사 필리푸스 파라켈수스(Philippus Paracelsus)는 수은을 피부병과 매독 치료제로 사용하여, 이후 수은은 매독에 특효약이 되었습니다.  20세기까지도 동서양을 막론하고 수은은 다양한 질환에 치료 목적으로 사용됩니다. 아래는 1825년에 버지 니아의 주요 신문에 실린 기고문 (주 2)입니다. 당시 얼마나 의사들이 수은을 무분별하게 사용했는지 보여줍니다.


감홍(수은)으로부터 우리를 보호하소서


가장 높은 신분의 의사님들
 그 청구서 지불에 우리는 은행이 필요해
 뛰어난 재능도 기술도 솜씨도 없네
 신이여 감홍(주 3)으로부터 우리를 보호하소서

그들의 환자가 뭐라고 하건
 머리 심장 신경 정맥이 아파도
 열 갈증 우울을 호소해도
 약은 여전히 감홍

그들이 감홍을 자랑한 이래
 그들이 잃은 환자가 얼마며 그들이 만든 병(病)이 몇천 개인가?
 그들의 독(毒) 감홍 때문에

의사들이여 우정 어린 목소리를 듣게,
 내 조언을 받아들이고 충고를 듣게 화내지 말게
 내가 만약 감홍의 비참한 효과를 말할지라도

그리고 내가 숨을 거둘 때면
 제발 그냥 죽도록 내버려 둬 주길비네,
 그리고 영원히 작별하게 해 주게.
 일회분의 감홍도 복용치 않고


수은 중독은 20세기 중반에 들어, 전 세계적으로 크게 알려지게 됩니다. 1950년대 일본의 작은 어촌 미나마타에서 특이한 질환으로 사람들이 죽어가게 되었는데, 정확한 원인을 알 수 없었습니다. 동물들마저 알 수 없는 이상한 행동을 하였고, 미나마타 주민들은  '미친 고양이 춤 병'(猫踊り病)'이라고도 불렀습니다. 1959년 구마모토대 연구팀은 괴질이 수은 중독에 의한 중추신경계 질환임을 공표합니다. 하지만, 일본 정부는 미나마타에 있던 질소 비료공장에서 배출된 수은이 그 원인임을 알면서, 적절한 조치를 취하지 않았는데, 비료 공장이 미나마타의 주요 수익원이었기 때문입니다. 결국, 미나마타병으로 확인된 사람은 1만 명이 넘었고, 수은 중독은 미나마타병으로 세계적으로 널리 알려지게 됩니다.


미친 모자 장수도 그렇고, 미친 고양이 춤병도 그렇고, 결국 돈이 문제네요.


반면에 기원후 500년쯤의 중국의 명의 손사막은 수은의 위험성을 경고하며, 왕들에게 수은을 사용하지 못하도록 하였습니다.  당시 중국에선 불로장생의 단약을 만드는데, 수은을 사용하였고, 아이러니하게도 많은 제들이 수은중독으로 고생하였습니다. 진시황도 수은을 복용했다는 기록이 있습니다. 1500년전의 의사가 이 연관성을 파악하고, 문제제기를 하였다니 참 놀랍습니다.


수은 중독(hydrargyrism, mercury poisoning)

과량의 수은 노출이 급성으로 나타났을 때 폐손상이 발생하며 심하면 경련, 사망에 이를 수도 있습니다. 수은 노출이 만성화되는 경우 난청, 시야장애, 운동장애 등을 포함한 신경장애와 신부전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https://www.amc.seoul.kr/)



주 1) The mercury poisoning of hat-making workers was first noted in medical literature in 1860. The Connecticut State Board of Health monitored the effect of mercury in Danbury’s hat-making factories in the 1880s and 1890s, but as long as the carroting process did not affect the health of the general public, the health board did not act.(https://connecticuthistory.org/ending-the-danbury-shakes-a-story-of-workers-rights-and-corporate-responsibility/)
주 2) Richard Harrison Shryock The Development of Modern Medicine an Interpretation of the Social and Scientific Factors Involved Madison Wisconsin University of Wisconsin Press 1974 p 235 이재담 번역(서양 근대 이후의 의사의 정체성, 김옥주에서 인용)
주 3) 염화 수은 (염화 제일 수은) Hg2C l2의 약품명.  단맛이 있고 홍(汞)은 수은(水銀)을 뜻하므로 감홍이라는 명칭이 붙었다.
주 4) 우리나라의 “대한약전 외한 약(생약) 규격집(식약청 고시)”외에 중국의 국가 공정서인 “중화인민공화국 약전(2005년판)”에 수록되어 있습니다.





매거진의 이전글 코로나 백신 주사 맞고 문지를까? 말까?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