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별것 아닌 의학용어 Oct 17. 2023

행복을 느끼지 못하는 'anhedonia'

의학용어

Anhedonia(무쾌감증)


우디 앨런(Woody Allen)의 영화 "Annie Hall"은  로맨틱 코미디 영화로, 1977년 아카데미 시상식에서 최우수 감독상을 비롯한 4개 부문에서 수상하였습니다. 저는 대학생 때 EBS에서 이 영화를 보고 한동안 충격에 빠졌습니다. 그리고 우디 앨런의 빅 팬이 되었죠. 이 재치있고, 통찰력 있는 영화는 원래 'Anhedonia'라는 이름으로 제작되었던 더 긴 2시간 30분짜리 아이디어가 담긴 초안에서 시작했습니다.


결혼 전까지 내 방에 걸려 있던 포스터


"Anhedonia"의 어원은 그리스어에서 비롯된 단어입니다. "An-"는 '부정적인'을 의미하고, "hēdonē"는 '즐거움'을 나타냅니다. 접미사 ~ia는 상태를 나타내죠. 따라서 "Anhedonia"는 '즐거움을 느끼지 못함'이나 '즐거움 상실'을 의미합니다. 의학 용어로는 '무쾌감증'으로 번역합니다. "Anhedonia"는 우울증, 조현병, 중독, 스트레스 장애 및 다른 정신 건강 문제와 관련이 있을 수 있습니다. 환자가 일상적인 활동이나 취미를 즐기지 못하고, 일상 생활에서의 즐거움을 잃는 것으로 나타납니다.


헤도니즘 역설(Hedonism Paradox)

쾌락주의는 hedonism이라고 합니다. 고대 그리스의 쾌락주의의 대표적 철학자 에피쿠로스(Epicurus)의 이름을 따서 epicureanism이라고 부르기도 합니다.  쾌락주의와 관련해서, 헤도니즘 역설(Hedonism Paradox)이란 말이 있습니다. 행복을 추구함으로서 더 불행해질 수 있다는 말입니다. 공리주의자 스튜어트 밀은 이렇게 말했습니다.

"행복하냐고 스스로에게 물어보라, 그러면 곧 행복하지 않게 될 것이다."


"행복은 붙잡으려고 애쓸수록 우리의 손가락 사이로 빠져나간다. 행복은 부산물이지, 절대 목표가 될 수 없다. 행복은 삶을 잘 살아낼 때 주어지는 뜻밖의 횡재 같은 것이다. (소크라테스 익스프레스)"


그의 영화들을 보면 우디 앨런이야 말로 가장 행복과 우울, 자아에 대해 끊임없이 질문을 한 사람입니다. 그래서, 어쩌면 행복에 무감각해진 자신에 관한 영화를 만들었나 봅니다. 극 중에서  다이언 키튼이 정신과 치료를 받고 좋은 결과에 대해 이야기하자, 우디 앨런이 이렇게 불만을 터뜨립니다. "나는 벌써 10년이나 상담을 해왔다고, 나는 이제 가까스로 그 문제에 대해 시작하는데, 어떻게 당신은 그렇게 빨리 효과를 볼 수 있지?"

10년 동안 끊임없이 행복을 추구한 결과가, anhedonia였을까요? 그리고, 끊임 없이 사랑(행복)을 탐구하던 앨비(우디 앨런)는 자신의 입장만을 생각하다 애니(다이언 키튼)와 헤어지고는, 다시 잃어버린 파랑새 마냥 애니를 그리워합니다.


apathy(무감동)


ahedonia와 유사한 의미로 정신과에서 주로 사용되는 용어 apathy가 있습니다. apathy는 전체적인 주관적 감동이 부재한 상태인 반면, ahedonia는 즐거움에 대한 무감각이라는 차이가 있습니다. 그러나, 동시에 표현되는 경우도 매우 흔합니다. apathy는 무감동, 혹은 감정둔마막이라고 번역합니다. 이것은 일반적으로 관심, 동기, 열정, 또는 감정의 부재를 의미합니다. 이 감정의 부재 상태는 아이러니하게도 대표적인 우울증 치료제 선택적 세로토닌 재흡수 억제제에 의해서 유발되기도 합니다.

매거진의 이전글 운동의 이름이 붙은 병들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