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매거진 축구하자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이종인 May 24. 2017

굿바이 조니

조나단 하이메스, 다름슈타트에 지다.

우리 시각으로 지난 5월 20일, 2016/2017 독일 분데스리가 1부 리그가 34라운드의 대장정을 마쳤습니다. 리가 5 연속 우승을 차지한 바이에른 뮌헨도, 극적인 반전에 성공하며 유럽 무대에 노크하게 된 1. FC 쾰른의 이야기도 감탄사를 자아내지만 개인적으로 가장 기억에 남는 팀은 이번 시즌 분데스리가 최하위를 기록하며 강등된 다름슈타트 98입니다.


제가 다름슈타트 98에 관심을 가졌던 것은 경기력이 뛰어나서도, 특별히 좋아하는 선수나 감독이 있어서도 아니었습니다. 단지 그들의 홈경기장인 조나단 하이메스 슈타디온(Jonathan Heimes Stadion) 때문입니다.


이미지 출처 : 다름슈타트 98 홈페이지


종종 스포츠 경기장에 사람의 이름을 붙이는 경우가 있습니다. 대표적인 것이 스페인 축구 클럽 레알 마드리드의 홈구장 에스타디오 산티아고 베르나베우(Estadio Santiago Bernabéu)입니다. 베르나베우는 전대미문의 암흑기를 겪고 있던 레알 마드리드를 성공으로 이끈 인물입니다. 젊은 시절에는 레알 마드리드의 공격수로 16년간 활약했고, 선수 은퇴 후에는 레알 마드리드의 감독을 거쳐 수 십 년간 단장과 회장직을 역임했습니다. 그의 업적과 헌신을 기리기 위해 레알 마드리드는 자신들의 홈 경기장에 산티아고 베르나베우의 이름을 붙인 것입니다.


다름슈타트 98의 홈경기장인 '조나단 하이메스 슈타디온' 또한 사람의 이름을 경기장의 이름에 붙였습니다. 하지만 산티아고 베르나베우와 달리 다름슈타트 98은 조나단 하이메스 슈타디온이라는 이름을 2016/2017 단 한 시즌만 한정적으로 사용했습니다. 무슨 이유에서 일까요?


다름슈타트 98의 1부 리그 승격 행사에 참여한 조니


조나단 하이메스(Jonathan Heimes, 이하 조니)는 축구 클럽 다름슈타트 98을 열렬히 사랑하던 축구팬이었습니다. 그러나 불행하게도 어린 나이에 암에 걸려 투병해야 했고, 지난 2016년 3월 26세의 젊은 나이에 세상을 떠나고 말았습니다.


생전 조니는 다름슈타트 지역의 유명인사였습니다. 14년간 악성 뇌종양으로 투병하면서도 경기장을 찾아, 혹은 병상에서 자신이 사랑하는 축구 클럽 다름슈타트 98을 응원해왔고 지난 2015년 팀이 34년 만의 분데스리가 1부 리그 승격에 성공했을 때에는 선수들과 함께 승격 축하 무대에 오르기도 했습니다. 진심 어린 응원을 보내던 다름슈타트 팬들의 염원에도 불구하고 조니는 눈을 감았지만 그의 이름이 경기장에서 되살아나기까지는 그리 오랜 시간이 걸리지 않았습니다.


다름슈타트 98의 홈 경기장 명명권을 가지고 있는 회사에 다니던 조니의 부친이 경기장 이름을 1년간 아들의 이름으로 하면 어떻겠냐는 제안을 했고 회사가 이를 흔쾌히 받아들이며 다름슈타트 98의 홈 경기장 이름이 'Merck Stadion'에서 'Jonathan Heimes Stadion'으로 바뀐 것입니다. 이름이 바뀐 경기장에서의 첫 경기도 감동적이었습니다. 다름슈타트 98은 '헤센 더비'로 불리는 라이벌 아인라흐트 프랑크푸르트와의 경기에서 1:0 승리를 거뒀고, 골을 기록한 산드로 시리구는 조니가 잠든 하늘을 향해 세리머니를 하며 경기장의 팬들을 하나로 모았습니다.


굿바이 조니!


다음 시즌부터 다름슈타트 98은 분데스리가 2부 리그에서 승격을 위해 싸워야 합니다. 그리고 경기장의 이름도 원래의 Merck Stadion으로 바뀌게 될 것입니다. 이제 조니는 마지막 꿈을 이루고 영면을 취할 테지만, 조니가 살아있을 당시 다름슈타트 팬들이 그에게 보내던 메시지인


"Du musst kämpfen, es ist noch nichts verloren"

(너는 싸워야만 해, 아직 지지 않았어)


는 축구 팬과 선수들의 가슴속에서 몇 번이고 되살아날 것입니다.

매거진의 이전글 '축구하자'가 만났던 사람들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