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미그레이 Oct 24. 2021

사회생활을 잘 못합니다.

나 자신을 아는 것이 가장 어려운 일 

"언니는 진짜 사회생활 못해"


지금은 막역한 사이가 된 과거의 부하직원이 바로 옆에서 지켜본 나의 사회생활에 대한 감회를 허심탄회하게 털어놓는다.  


"어. 인정"


자동 반사로 대답이 튀어나온 데에는 둘이 공유하고 있는 '근거'가 명백히 존재하는 탓이다.

재확인차 어떤 때에 그렇게 느꼈는지 되짚어보라고 하니 세 가지를 꼽는다.


첫째, 상사의 비위를 맞추려들지 않는다

둘째, 회식자리를 극혐 한다

셋째, 입 바른 소리를 곧잘 한다.


사회생활을 좀 해본 사람이라면 이 대목에서 '아이고..' 하는 탄식을 할지도 모르겠다. 

인정한다. 이런 면에서 직장 생활 동안 나는 대체적으로 '사회성이 부족한 사람'이었다. 

맡은 일을 소홀히 한다는 것은 내 자존심이 허락지 않았지만,  그렇다 해도 한 두 번의 입바른 소리와 회식 불참은 그간의 업무 성과까지도 단숨에 폄하시킬 수 있을 만큼의 나비효과를 발휘하곤 했다.


그럴 때마다 난 크게 좌절했다. 

원인을 알지만 도무지 고칠 맘이 들지 않기에 더더욱 그랬다. 


'도대체.. 난 왜 이렇게 생겨먹어서는.. 하지 않아도 될 고생을 자초하는 걸까?'  


스스로를 탓하고, 탓할 뿐이었다. 




그런데 정말 이상한 일이다. 


내 기억이 틀리지 않다면 적어도 대학 때까지의 나는 정반대의 캐릭터, '사회성 만렙'의 아이로 평가받았다. 

'왈가닥', '미친 친화력'은 나에게 빠지지 않고 따라붙는 수식어였던 것이다.  

혼자 있는 시간이 거의 없을 정도로 사람들과 쉼 없이  어울리고 또 새로운 사람을 알아가는 과정을 즐겼다.  며칠이 안 되는 짧은 해외여행 중에도 새로운 친구를 사귀어 연락처를 주고받고 죽마고우가 될 정도로 교제에 거침이 없었다.  


그랬던 내가 어느 시점부터인가 식당 예약 전화 신호음에도 심장이 두근거리는 신세가 되었다. 

머선 129..  


그 탁월하던 사회성이 어디로 사라졌단 말인가?  






한 유튜브 채널에 초대된 심리학 분야 전문가는 '사회성과 사교성'을 다음과 같이 정의했다. 구태여 사전을 들여다볼 필요 없이도 완벽하게 이해하고 있는 개념이라고 믿었지만 그게 아니었다. 


사교성과 사회성을 동일한 개념으로 호환하곤 하지만
'사교성'은 '상대의 감정과 무관한 일방적인 친교 행위'로서
타인에 대한 배려와 공감을 기본으로 하는 사회성과는 사실상 무관한 개념이다



따라서, 사교성 부족이 사회성 부족으로 연결되는 관념 또한 불성립하며,
공동체 생활에서 '스스로 타인을 지나치게 의식하는 것은 오히려 타인의 입장이나 감정을 예민하게 캐치한다는 것'으로 '사회성이 매우 높은 사람'이라는 뜻이다.



최근 몇 년 중에 들었던 말 중 가장 쇼킹한 말이었다. 

그동안 내가 알고 있던 것의 근간을 흔드는 정의였음에도 단번에 격하게 공감이 되는 아이러니는 무엇?






그렇다면 나는 나의 사회성에 대해 이렇게 정리할 수 있다. 


학창 시절에는 사교성은 높았지만 사회성은 낮았다. 

상대가 원하건 원하지 않건 오롯이 내 감정에만 충실한 상태로 타인과 관계를 맺으려 했기 때문이다.  


직장생활에서는 입바른 소리를 하고, 동료들이 다 참석하는 회식도 공개적으로 꺼리는 등 타인의 눈치를 전혀 보지 않았기 때문에 학창 시절과는 다른 의미에서 또 사회성이 낮은 사람이었다. (제길.. 아니길 바랬는데..) 

달라진 점은 사교성도 덩다라 낮아졌다는 것이다. 인간관계에 대한 흥미가 급격하게 떨어졌기 때문이다.

 

마흔이 넘은 지금은 만나는 사람과만 만나고, 굳이 새로운 관계를 만드려고 하지 않고, 어쩌다 알게 된 사람과도 쉽게 관계가 진전되지 않는 사교성 제로에 가깝지만 반대로 사회성 지수는 그만큼 높아졌다.  

불타는 정의감이라고 할지언정 타인이 나로 인해 불편함을 느끼는 것이 예전만큼 편하지 않다.  


결국 사교성과 사회성은 한 사람의 에너지 수준과 밀접해 보인다. 

나이를 먹어감에 따라 에너지 수준이 떨어지니 예민해진 몸과 마음만큼 타인의 감정에 민감해지고, 

반대로 에너지가 들어가야 하는 일에 몸을 사리게 되는 것이다. 


남편은 오히려 내가 '남 눈치를 너무 많이 본다'며 핀잔을 줄 때가 많다. 

오해의 여지가 없는 상황에서조차 상대가 '그렇게 느낄 수도 있을까 봐'를 걱정하고 

반대로 상대의 사소한 언행에 과도하게 의미 부여를 하며 괴로워할 때가 있기 때문이다. 


단순히 '나이가 들면 다 그래'라고 치부하기에는 

주변 지인들 중에 내가 유독 민감하다는 사실은 그 누구도 부인할 수 없다. 


너 텐션 진짜 많이 떨어졌다



5년 여 만에 조우한 지인이 대뜸 건넨 인사말이었다.

지인 왈, 예전의 자신이 알던 나의 에너지 수준이 10이었다면 지금은 2~3 정도로 느껴진다고 한다. 

(이 정도면 어디 아픈 거 아닌가..) 

반가운 마음이 크기에 한 달음에 달려왔음에도, 그런 감정이 이전만큼 겉으로 드러나지 않는 것 같아 나조차도 당황스럽다.  (몇 년 전만 됐어도 도로에서 고공 점프를 뛰며 호들갑을 떨었을 거다.)


"맞아.. 나이 드니 기운이 없어"


라고,, 그마저도 힘없이 대꾸하는 스스로가 안타깝다. 


고대 그리스 철학자가 그랬던가. 

'이 세상에서 가장 어려운 일이 자기 자신을 아는 것'이라고.  격하게 공감한다.  







매거진의 이전글 No work, No money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