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진 미 Jul 21. 2016

깨달음이라 하기엔 반성같은

담을 수 없다면 담을 수 없다는 것을 인정하면 되는건가.


여행기를 쓰거나, 시시콜콜한 이야기를 쓰더라도 무언가 나만의 언어로 정리된 그 '무엇'에 대한 고민을 많이했다. 하지만 어느 순간 그런 것을 잃어버렸다. 그 '무엇'은 읽는 사람들이 느껴주면 좋은 것으로 떠넘겨버린 듯 하다. 매일 브런치 작가의 서랍에 발행하지 못하는 글 쪼가리들이 쌓여가고 있다. 매일 한 두명의 사람이라도 나의 브런치 구독을 누른다. 마무리 되어지지 않고 있던 글을 다시 펼쳐 들면 이내 숨이 막힌다.

놓친 순간들 때문이다.


제주에 대한 이야기를 쓰고 싶었다. 하지만 그 내용은 너무나도 많다. 모두가 작가인 시대이니 말이다.

그리고 난 여행자가 아니라 제주에서 먹고 사는 사람이기에 그 운신의 폭이 너무 좁다.

새롭게 관찰하고 싶고 새롭게 보고 싶은데 생각해보니 사람들이 느끼는 건 대부분 비슷하다. 예쁘면 예쁘다하고 아름다우면 아름답다고 하고 미우면 밉다고 쓸 수 밖에 없다. 제주에 대한 이야기는 더 그러하다. 

무엇보다 색다른 글의 바탕은 보고 있는 것의 차이가 아니라 그걸 지켜보는 그 사람의 뇌와 연결되어 있다. 점점 난 평이해지고 있는 건 아닐까.

정보성의 글을 다루고 싶진 않았다. 지금껏 써 온 여행기에서 그러했듯이... 그러나 나는 알고 있다. 내가 알고 있는 것이 너무 없다는 것. 인문학의 핵심은 '무엇을 알고 있다'가 아니라, '어떤 것과 어떤 것을 잘 연결시키느냐' 인 것인데 나의 글엔 인문학적 소양이 없다는 것을. 그렇게 점점 생각 하는 것을 피하게 되는 건 아닌가 싶다.


사진도 마찬가지다. 좋은 풍경, 함께 여행을 한 사람, 그리고 일상 등을 사진으로 남기고 그때의 느낌을 짧게라도 기록하던 시절을 지나 유럽으로 떠났다 돌아오면서 사진으로 도저히 담을 수 없는 것들이 너무 많다는 걸 알았다. 나의 기술 부족일 수 있겠지만 내 마음과 느낌을 다 담기에 사진은 너무 작은 공간이었고 내가 눈으로 보고 있는 저 푸른 자연은 광활해도 너무 광활했다. 제주에 와서도 마찬가지다. 

왜 자꾸 담기지 않을까를 고민하고 담기길 바라다가 지금은 다 담을 수 없다는 것을 인정하기로 했다.



그래도 굳이 담아 놓은 글이기도 하고, 담으려고 애써 찍은 사진들이긴 하니. 올려본다.

각각의 이야기들은 일단 묻어둔 채로. 



매거진의 이전글 외진 곳, 마지막 제주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