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ImEdu Mar 16. 2021

학력개선이 필요할까?

요즘 세상은 참 희한하다.

학력과 스펙에 구애 받지 않고 모두에게 평등한 조건을 주어진다고 시행되고 있는 블라인드 채용과

다들 경력있는 사람들만 뽑으면 나같은 신입들은 어디서 경력을 쌓아서 취업을 하나.


나는 2년제 전문대를 졸업했다. 

전공은 뮤지컬과였고 졸업을 하고 나서 현실을 마주하니까 나는 우물안의 개구리였고 

생각보다 나의 자리가 많이 없다는 걸 깨달은 건 28살 20대 후반이 되어서다.


내가 제일 잘한다고 생각했던 것들이 한순간에 배신당하는 것 같았다.


아무리 노력을 해도 안되는 건 안되나보다 싶어서 이제서야 안정적인 수입을 찾아보기로 했다.

취업을 준비해보기로 했고 역시나 쉽지가 않았다.


전혀 회사생활을 해본 적이 없는 나에게는 취업조차 당연히어려웠지만 

제일 큰 학력이라는 벽이 다가왔다.


취업을 하기 위해서는 4년제 학력은 기본적으로 필요하다는게 아닌가.


지금 나의 상황에서 해볼 수 있는 건 


방통대, 사이버대학교로의 편입

일반 4년제 대학으로의 편입

학점은행제 학사학위


위에와 같이 세가지 방법이 있었는데 인터넷으로 다양한 정보들을 보니까

다들 학점은행제를 추천하길래 알아보게 되었고 생각보다 나쁘지 않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학점은행제는 별도의 입학이나 졸업이라는 과정없이 진행이 되는거고 

정해진 기간없이 내가 채워하는 학점만 채운다면 과정은 마무리를 할 수 있는거였다



나의 최종학력에 따라서 학위기간을 달라졌고 나는 이미 전문대를 졸업해서 

전적대학교 성적을 최대로 가져와서 마져 이어서 학위를 취득하는게 가능했다.


전적대는 2년제를 졸업했다면 최대 80점까지 활용이 가능했고 

추가적으로 부족한 학점은 온라인 수업이나 자격증 혹은 독학학위제라는 제도를 통해 인정을 받을 수 있었다.


기간은 최대한 빠르게 마무리 하고 싶다는 마음이 들어서 자격증을 병행하면서 과정을 준비했다.


그리고 수업은 온라인으로 진행이 되기 때문에 컴퓨터나 핸드폰으로 모두 수업을 들을 수 있었고 

주로 카페에서 취업준비를 하면서 틀어두고 들었던 걸로 기억한다.


나는 경영학으로 수업을 진행했는데 워낙 생소한 분야였지만

지금 생각해보면 제일 도움이 되는 학문이 아니었나라는 생각을 하게 된다.


그렇게 4년제 과정을 마무리하는데는 1년도 걸리지 않았다. 

처음에는 어떻게 시작을 해야하는지 걱정이 되었는데 혼자하지 않고 옆에서 게획을 세워주시고 

할 수 있도록 코칭해주신 플래너님이 계셔서 가능하지 않았나 싶다.


복수전공이나 2년제 4년제 학위취득도 가능하다보니 

내가 필요한 공부들은 이제 이 제도를 활용하며 되겠다 싶더라.


아무튼 결론은 나는 취업에 성공했다. 

생각보다 주변에서는 부족한 학력탓에 이직이나 승급 혹은 제일 중요한 연봉협상에서도 

누락이 되는 경우도 많다고하더라.


혹시 라도 나의 글을 보고 공감이 되는 분들은 미래를 보고 학력개선에 성공하길 바란다.


http://pf.kakao.com/_xfbZAxj









작가의 이전글 어린이집교사로 제2의 인생 시작하다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