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훈수의 왕 Jan 17. 2021

퀸인 줄 알았는데 오페라가 왜 나와?

퀸 <It's a hard life> 

2021년의 시작과 함께 몰려든 한파 때문에 코로나로 움츠러든 몸과 마음이 더 뻣뻣하게 굳어지고 있습니다.

안 그래도 게으름을 잔뜩 부리고 싶은 일요일 오전, 방 안의 공기마저 차갑게 식히고 있는 날씨를 핑계 삼아 휴대폰을 꼼지락거리며, 좀 더 누워있어야 할 이유를 찾기 시작했는데, 갑자기 퀸의 멜로디들이 저도 모르게 떠오릅니다. 


유튜브로 퀸의 음악 중에 제가 제일 좋아하는 <Another one bites the dust>를 검색해서 듣기 시작했습니다.


https://www.youtube.com/watch?v=rY0WxgSXdEE    


신나는 댄스풍의 이 노래는 퀸의 베이시스트인 존 디콘이 쓴 때문인지, 리드미컬한 베이스 라인이 오프닝을 차지하고 있습니다. 


비트감 넘치는 리듬이 이불속에 누워있는 제 몸에 조금씩 활기를 불어넣어주는지, 저도 모르게 발가락들이 드럼 소리를 따라 꼼지락 거리고 있네요.


유튜브가 으래 그렇듯이 곡이 끝나자마자 또 다른 퀸의 노래를 자동으로 띄워 주는데, <Somebody to love> <Bohemian Rhapsody> <I want it all>에서 <I was born to love you> 등을 지나며 귀에 익숙한 곡들이 연속으로 흘러나오는데 갑자기 낯선 노래 제목이 눈에 들어왔습니다.


<It's a hard life>  


https://www.youtube.com/watch?v=J0astd-Rh_Q



최근의 세태를 묘사하는 듯한 노래의 제목 덕분에 제 관심을 끄는 데 성공한 이 곡을 플레이하자 색다른 스타일의 뮤직 비디오가 전개되면서, 곡의 첫머리부터 저를 깜짝 놀라게 합니다. 


어라! <팔리아치>가 여기서 왜 나와? 


첫 소절 

"I don't want my freedom

There's no reason for living with a broken heart"까지가 


레온카발로의 오페라 <팔리아치>에 나오는 주인공 팔리아치의 아리아 "Vesti la giubba" 중에

"Ridi, Pagliaccio, sul tuo amore infranto!" (Laugh, clown, at your broken love!) 부분을 그대로 옮겨놓고 있습니다.


<팔리아치>는 19세기 후반 시작된 베리스모 오페라 (사실주의 오페라)의 대표 작품입니다. 베리스모 오페라는 이전 낭만주의 시대가 역사적인 주제나 신화적인 이야기를 바탕으로 했던 것과 달리 동시대의 사실적 이야기들을 소재로 삼고 있는데, 이 <팔리아치>는 유랑극단의 단장이 자신의 아내가 다른 남자와 사랑을 약속하는 광경을 목격하고서도 광대 분장을 하고 코미디를 연기하기 위해 무대에 올라야 하는 비극적인 상황을 소재로 펼쳐지는 오페라입니다.  



https://www.youtube.com/watch?v=JaFK-DbPSNY

(약 2:00경부터)

카레라스는 노래가 묘사해야 하는 감정과 상황의 서사를 가장 정확하게 표현해 냅니다. 동시대의 경쟁자인 파바로티나 도밍고에 비해 목소리가 가진 물리적인 크기나 특징이 부족한 반면 호흡 등의 기술적인 부분은 훨씬 뛰어나기 때문에, 이 아리아에서도 각 프레이즈의 끝 부분에서 호흡을 유지하며 다음 프레이즈로 감정이 자연스럽게 전달되게 하는 카레라스의 해석은 단연 압도적입니다.  


https://www.youtube.com/watch?v=1hxonfpfuTY

(1:43경부터)


가장 낭만적인 목소리를 가지고 있는 도밍고는 이 프랑코 제피렐리가 연출한 영화판 <팔리아치>에서 노래가 담고 있는 감정의 기복을 격정적으로 드러내 보입니다. 하지만 스스로가 너무 감정에 휩싸인 모습이라 노래를 통한 서사 전달이 불명확해지고 있습니다.




https://www.youtube.com/watch?v=Z0PMq4XGtZ4

(1:58경부터)


가장 명징한 목소리를 가지고 있고, 볼륨감이나 고음처리에 뛰어난 파바로티는 오페라 무대보다는 콘서트에 좀 더 어울린다는 생각을 많이 하게 됩니다. 이 아리아에서도 중요한 감정들이 한 호흡에 잡혀서 연결된 프레이즈로 전달되어야 하는 순간에 그가 내뱉는 거친 날숨들은 음악의 흐름을 딱딱 끊어지게 만들어 버려서,  오페라가 내포하는 드라마의 전달이 불가능해집니다.  물론 <쓰리 테너 콘서트> 같은 무대에서 그가 만들어 내는 맑고 고운 하지만 강렬한 목소리는 그 모든 것을 용서하게 만들죠.  




이렇듯 오페라 <팔리아치>에서 모티브를 가지고 온 퀸의 <It's a hard life>는 뮤직비디오까지 마치 오페라 속의 한 장면처럼 꾸미고 있는데요, 우리 삶이 가지는 이중적인 모습 ( 모든 것을 다 갖고 있는 듯한 주인공이 진정한 사랑을 찾지 못하는 것과 같은)을 화려한 가면 속에 울고 있는 광대의 절망적인 심정으로 치환해낸 독특한 노래였습니다.

매거진의 이전글 흘러간 시간 위에 새로운 내일을 칠한다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