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민드레 Oct 04. 2023

내가 잡은 줄 알았건만 거미줄에 갇힌 건 나였다.

영화 <거미집> 리뷰


검열로 통제된 1970년대의 한국 영화 제작기를 다뤄 더욱 실감 나게 담아낸 영화 <거미집>이 9월 27일 개봉했다. 칸 영화제 비경쟁 부문에 초청되어 극찬을 받기도 했다. 영화는 어떤 예술의 형태를 가지고 있을까. 영화는 그 지점에 대해 명확하게 설명을 하는 건 아니지만 영화에 대한 마음이 어떤 형태로 갖춰져 있는지 파악할 수 있게 만든다. 또한, 애정과 욕망으로 점철된 광기의 어딘가를 표현하는 방식을 통해 영화에 대한 모든 생각을 쏟아낸다. 영화에서 느낄 수 있는 환멸과 애정이 동시에 드러나는 작품이라고 할 수 있다.



꿈도 예술도 통제되던 시절, 영화에 대한 열망을 피워가는 김감독이다. 항상 자신의 스승이었던 신감독의 그림자에 갇혀 살아갔다. 곧 걸작이 될 작품에 자신이 있었기 때문에 이번만큼은 다 찍은 영화의 결말을 수정하기로 결심한다. 데뷔작 이후 특별한 두각을 드러내지 못한 상황이었기 때문에 반드시 해내야만 했다. 세트장, 배우, 카메라, 스탭을 비롯한 모든 것들을 다시 구성하고 큰 우여곡절을 겪지만 재촬영을 밀어붙인다. 예기치 못한 상황 속에서 각자의 자리에서 최선을 다하는 사람들의 힘을 빌려 조금씩 영화를 만들어간다. 김감독은 무사히 자신이 바라던 영화를 찍어낼 수 있을까.



영화란 무엇인가.

감독의 의지와는 다르게 표현하고 싶었던 내용을 제대로 담아내지 못하게 된다면 영화는 큰 힘을 발휘하지 못한다. 이를 통해 영화에 대한 근본적인 물음을 제기하는데, 김감독의 말과 영화로 드러낸다. 영화는 판단하기는 쉽지만 제작하기에는 상당한 어려움이 있다. 막상 자신이 해보면 쉽지 않은 일이라는 걸 알 수 있었다. 제작사의 눈치도 봐야 하고 대중의 시선도 신경을 써야 하는 영화의 모든 면들이 존재하고 있다. 그래서 잘 만들고 싶은 욕심에서 나오는 불길은 걷잡을 수 없이 커지고 끝내 자신을 덮치고 만다. 그만큼 좋아하는 건 싫어질 수 있고 또다시 좋아하게 만드는 이중성을 안고 있다. 영화에 대한 환멸을 표현하면서도 끊임없이 영화를 만들 수밖에 없는 이유를 나열하는 것 같기도 하다. 그 이유 중에 하나는 평가의 대상이 되어 나의 작품이 호평을 받기도 하고 혹평을 받기도 하기 때문이다. 분명 내가 짜낸 거미줄임에도 불구하고 그 안에 갇혀 잡아먹히는 순간을 매번 겪어야 한다. 그래서 끊임없이 안주하지 않고 새로움을 추구하며 자신의 생각을 잘 담아내야 하는 과정을 거쳐 영화를 만들어내는 것이다. 이런 고난과 역경은 거치고 나서도 영화는 끊임없이 만들어져야 한다고 말하고 있었다.




그래도 영화는 만들어져야 한다.

<거미집>은 영화에 대한 애정이 가득 담긴 영화다. 그만큼 영화를 통해 표현하고자 하는 말들을 가득 담아내어 현실과 마주하는 영화의 이야기를 쏟아내는 모습이다. 1970년대의 영화 산업은 억압과 검열의 시대였다. 그래서 영화를 표현하는 데 있어서 상당히 제한적이고 일률적인 이야기 전개를 뱉어낼 수밖에 없었다. 결과적으로 정부의 입맛에 맞는 영화를 양산하여 자연스럽게 대중과 점점 멀어지고 쇠락의 길을 걷게 된 것이다. 침체된 197년대의 한국 영화의 분위기 속에서도 체제에 순응하지 않고 자신만의 영화를 만들어낸 감독이 있다. 바로 <하녀> <화녀> <충녀>와 같은 작품을 연출한 김기영 감독이다. 그때 당시 파격적인 영화의 설정을 통해서 독창적인 세계관을 가지고 있으며 많은 영화광들에게 큰 영향을 준 감독이다.




한국 영화의 전개.

1970년대의 암울한 한국 영화 산업을 지나 2023년의 한국의 영화는 어떤 위치에 놓여 있을까. 통제에서 벗어나 자유를 쟁취한 현재의 한국 영화는 그때와는 다르게 또 같은 이야기를 쏟아낸다. 그때는 억압에 의한 전개였지만 이제는 상업성에 치중한 전개가 진행되는 것이다. 그래서인지 이 영화가 특별하게 여겨진다. 영화 촬영이 전개되는 세트장과 촬영장 밖의 상황이 대조되는 모습이 인상 깊었다. 액자식 구성이 뚜렷한 영화 <거미집>은 두 가지 갈래를 통해 전달된다. 영화를 제작하는 이야기와 영화 속의 이야기. 단순하지 않은 두 가지의 이야기는 복합적으로 얽혀 하나인 것처럼 여겨지기도 했다. 전체적인 구성과는 다르게 당시 한국 영화계의 내용에 대한 이야기보다는 영화에 대한 애정이 훨씬 많이 담긴 영화였다.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