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민드레 Feb 26. 2024

파묘: 한국적 오컬트의 새로운 지평.

영화 <파묘> 리뷰


베를린 국제영화제 포럼 부문 공식 초청작으로 화제를 모은 장재현 감독의 세 번째 오컬트 장편 영화, <파묘>가 2024년 2월 24일 개봉하였다. <검은 사제들>, <사바하>에서 퇴마와 밀교를 보여준 장재현 감독은 이번에 개봉한 영화 <파묘> 풍수지리와 무속 신앙, 장례 문화와 같은 토속적인 소재를 활용하여 오컬트의 진수를 보여준다. 최민식, 김고은, 이도현 등의 배우들이 탁월한 연기력을 발휘하며, 영화는 깊은 메시지와 함께 오묘한 분위기를 자아낸다.


스포일러 주의!!


해당 리뷰는 영화 해석을 위해 스포가 될 수 있는 일부 줄거리를 포함하고 있으니 감상에 유의하세요.



이장, 파묘, 변화의 시작.


무당 화림과 봉길은 의뢰를 받아 미국으로 떠난다. 기이한 병이 대물림되어 장손들이 고통받았고 그로 인해 거액의 의뢰를 요청한 것이었다. 주변의 분위기와 상황을 파악한 화림은 조상의 묫자리에 문제가 있음을 알아채고 이장을 권한다. 그리고 이장을 위해 풍수사 상덕과 장의사 영근을 합류시켜 본격적으로 준비를 하는데, 그곳은 여우들이 그득하고 사람이 묻혀서는 안 될 악지였다. 상덕은 그곳에서 불길한 기운을 느끼고 제안을 거부하지만 화림의 설득으로 본격적인 파묘가 시작된다.



망각의 어둠 속에서 피어나는 기억의 꽃


영화의 시작부터 사람들은 보이는 것만 믿는다고 말하며 그 반박을 깨어간다. 화림은 보이지 않는 것을 보고 들리지 않는 것을 듣는다. 그 과정을 통해 '신뢰'를 주고 다음 단계로 넘어가 의식을 치른 후 상황을 해결한다. 본격적인 이야기에 들어갈 준비를 마치고 그 속에 감춰진 비밀을 '굳이' 알지 않으려 한다. 하지만 누군가로 인해 '험한 것'이 튀어나와 버렸고 그들이 말하지 않은 것에 비밀이 숨겨져 있었다는 것을 알아챈다. 그 비밀은 모두를 뒤집어 놓을 만큼 거대했고 모두의 목숨을 앗아갈 만큼 엄청난 것이었다. 모든 상황을 뒤집어 놓을 그것의 정체는 과연 무언인 걸까. 무사히 이들은 살아남을 수 있을까?



상처의 흔적을 파내는 파묘의 흔적.


전반부가 대중적인 오컬트를 풀어내었다면 후반은 파격적이면서도 노골적이게 영화를 전개한다. 영화가 말하고자 하는 바가 후반부에 집중되어 있다. 과거에도 현재에도 남아있는 상처는 한국의 땅 깊숙이 스며들어있다는 것을 강조한다. 초반의 중심 사건은 끝이 났지만 영화는 여전히 땅 속 깊숙이 박혀있는 상처의 흔적을 파내려 한다. '쇠말뚝'에 대한 설은 일본이 조선의 정기를 끊기 위해 우리나라 곳곳에 쇠말뚝을 박았다는 내용이다. '쇠말뚝' 설은 사실이 아니지만 영화 속에서 이를 통해 전달하고 싶은 주제를 녹여내어 상처를 파묘한다. 그리고 땅에 대한 의미, 그리고 사람의 욕망, 우리 민족의 한과 염원을 잘 담아내어 전통을 존중하고 현재의 상황을 바로잡는 메시지를 전달한다. 영화 곳곳에 숨어있는 독립투사들의 흔적을 찾아보면 더욱 재미있게 관람할 수 있을 것이다.



정성스럽게 파내는 이야기 속 무언가.


개봉하기 전부터 인상적인 예고편이 <파묘> 관람으로 이어지게 만들었다. 영화는 오컬트 장르를 다뤘지만 그 기대감을 충족하여 만족스러운 결과를 보여주었으며 부담스럽지 않으면서도 자연스럽게 다가온다. 무서운 장면을 과하게 넣지 않은 가운데, 이야기 전개를 차분하게 풀어나가는 모습이 인상 깊었다. 영화 속에서는 눈에 보이지 않는 현상에 대해 천천히 설명하고 고인에 대한 존중과 예의를 갖추어 정성스레 파묘를 진행하는 모습이 인상 깊었다. 그렇게 잘못된 것을 바로 잡는 이들은 모든 것을 파내고 나서 상황이 마무리된다.


하지만 그 순간 또다시 시작하는 이야기는 전반부의 느낌과 후반부가 전혀 다른 분위기를 자아내고 있다. 기이한 현상으로 인해 같은 자리를 파냈고 그곳에서 발견된 또 다른 무언가의 흔적은 마치 두 개의 이야기를 연결한 듯 오묘한 느낌을 자아낸다. 이러한 전개 구조는 이상하게 느껴질 수 있지만 최민식의 연기력이 영화를 흔들리지 않게 꽉 잡아주고 있다. 특히 김고은과 이도현의 '신들린 연기'가 돋보였으며 그들의 연기로 인해 더욱 몰입된다. 그 사이 긴 것 같았던 135분이 훌쩍 지나가버린다. 마지막으로 영화는 과거의 그릇된 것을 꺼내서 깨끗이 씻어내 우리의 것으로 만드는 일까지 깔끔하게 마무리한다. 각자의 자리에 돌아가 제자리를 찾아가는 모습을 보면, 그릇된 것들도 언젠가는 옳은 자리를 찾아가지 않을까 라는 생각이 든다.

매거진의 이전글 상처와 외로움이 교차하는 곳에서 마주한 온기.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