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박하승 Mar 14. 2021

서운함이 분노로 이어질 때

‘내가 어떻게 했는데!, 이건 아니잖아?!’


 나에게 자신의 서운한 감정을 토로했던 그는 자신이 서운함을 느끼는 그 대상과 관련된 사건들을 나에게 열변을 토하며 말하기 시작했다. 그는 그 관계가 자신에게 어떠한 의미였는지, 자신이 그 관계를 위해 얼마나 최선을 다해왔는지에 대해서 나에게 설명했다.


 ”그래도 이건 좀 아니잖아요? 제가 그동안 어떻게 했는데, 선생님도 아시잖아요? 저 말이에요, 내 시간 쏟고, 내 에너지 쏟고 제가 할 수 있는 만큼은 했어요. 그런데 결국 돌아오는게 이거에요? 내가 지한테 어떻게 했는데 말이야!!”



 구구절절한 그의 모든 이야기들 속에는 상대에 대한 그의 ‘기대’가 있었다. 그는 진심으로 그 관계를 좋아했고, 그렇기에 그 관계를 위해 자신이 가진 것의 일부를 관계에 쏟아 부었다. 그가 쏟아 부었던 그 사람에 대한 애정과 관심이 존중 받지 못했음을 넘어서서 무시된다고 느끼기 시작할 때 그의 서운함은 분노로 변하려 하고 있었다.    


 서운함은 곧 잘 분노로 변화한다. 서운함이 분노로 바뀌는 마음의 중간 과정에 가장 큰 역할을 하는 것은 상대는 ’-해야만 한다’는 생각이다. 내가 했던 나의 노력을 인정해주기를 바랬고, 나의 관심과 그 애정 만큼은 알아주기를 원했던 마음은 처음에는 상대에 대한 작은 기대로 인해 나타났겠지만 점차적으로 그 기대는 상대는 ‘이렇게 행동해야만 했다’ 혹은 ‘이렇게 행동하는 게 옳다’의 경직된 생각으로 드러난다. ‘내가 너에게 했던 것을 안다면, 너가 나에게 해야 할 말은 그게 아니야’ ‘내가 했던 노력들을 이 공동체가 안다면, 나를 이렇게 대해서는 안되지’


내 생각의 진실성이 확고해질 때,
그 곳에는 더 이상 상대에 대한 애정과 관심은 존재하지 않는다.


상대를 향한 기대에서 애정과 관심이 사라졌을 때, 그 감정은 이제 서운함이 아니라 분노가 된다. 그렇게 만들어진 분노는 개인이나 공동체와의 관계를 끊는 것만으로 남지 않는다. 그 분노는 나의 바램을 존중하지 않고 억압했다고 생각하는 그 개인과 공동체에 대한 비난과 복수심으로까지 이어지게 된다.


그들은 주변의 사람들이 모두 알 수 있고 인정할 수 있는 열심을 다하곤 한다. 그 열심은 보통이거나 적당한 수준이 아닌, 자신이 가지고 있는 자원을 최선을 다해 내어놓는 열심이다. 그러나 그들이 가지는 그 열심과 상대 혹은 공동체를 향한 경직된 기대들이 만나게 될 때에 서운함은 더 이상 마음속에 두는 상대에 대한 아쉬운 마음이 아니라 고개를 들어 상대에게 총구를 겨누는 분노의 감정이 된다.


매거진의 이전글 기대와 애정이 넘치면 서운함도 넘치는 법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