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라리 기대하지 않았으면 더 나았을지도 모르겠어요"
그녀는 차분히 자신의 이야기를 꺼내기 시작했다. 이야기를 하는 내내 그녀는 무기력해 보였고, 때때마다 눈가에는 눈물이 고이기도 했다. 그녀와의 대화의 서두는, 그녀 자신이 얼마나 그 공동체를 사랑했는지로 시작되었다. 그녀의 사랑은 ‘헌신’이라는 모습으로 공동체 안에서 드러났다. ‘아니오 No’라고 말할 수도 있는 상황에서도 그녀는 ‘네 Yes’를 이야기하며 자신이 속한 공동체의 요청에 응답하곤 했다. 헌신이 계속되는 상황 속에서 그녀는 자신이 했던 그 ‘헌신’의 의미를 누군가는 알아줄 것이라고 생각했다.
“저는 제가 속한 그 공동체를 정말 좋아했어요. 좋아하지 않았더라면 그곳의 사람들에게, 그리고 그 공동체에 나의 시간을 쏟고 내가 할 수 있는 최대한의 노력을 다하진 않았을 거에요. 내가 그렇게 했던 노력과 그 사랑이 물거품이 된 것 같은 느낌이었어요. 내가 품었던 이곳에 대한 기대가 산산조각 났어요. 처음부터 그런 기대들을 아예 하지 않았더라면 더 좋았을 것 같아요……”
그녀의 이야기에는 실망과 슬픔이 있었다. 그녀는 자신이 공동체에 했던 노력이 공동체를 아꼈고 사랑했기 때문임을 분명히 알고 있었다. 그리고 사랑했기에 그 공동체가 자신 또한 아껴주고 사랑해주기를 기대했다. 그녀는 마치 사랑했던 이로부터 이별을 선포 받은 것처럼 반응했다. 내 기대와는 다른 공동체의 모습에 서운했으며, 그리고 그녀는 우울함으로 들어가기 시작했다.
그녀는 ‘보이지 않더라도, 알아주지 않더라도 내가 할 수 있는 최선을 다하는 것’이 좋은 미덕이라고 생각했고, 그렇게 최선을 다하는 과정 속에서 누군가 공동체에 대한 자신의 관심과 애정을 조금이라도 알아준다면 더할 나위 없이 좋은 것이라고 생각했다. 그러나, 자신의 최선이 점점 공도체와 그 안의 관계 안에서 누구의 관심도 받지 못하고 희미하게 사라진다고 느낄 때에 그녀에게는 ‘서운함’의 감정이 꿈틀거리며 올라오기 시작했다.
서운함이 우울로 이어지는 이들은 그들의 관심과 애정을 조용히 관계와 공동체 속에서 표현하는 사람들일 가능성이 크다. 조용하고 잘 드러나지 않지만, 공동체의 꼭 필요한 지점에서 그들은 최선을 다하고 있고 자신의 애정을 쏟아 붇고 있다. 관계에 있어서도 그들은 자신의 서운함을 노골적으로 상대에게 드러내기 보다. 상대가 자신의 이 노력들을 조금은 알아주길 기대하면서 자신의 서운함을 여러 번 꾹 참아낸다.
서운함에서 우울로 변화하는 과정에서
그들은 자신의 ‘기대’를 끊임없이 평가한다.
자신의 기대가 과한 것은 아닌지, 자신의 기대가 합리적인지를 고민한다. 아무리 생각해도 관심과 애정에 기반한 자신의 그 기대들이 받아들여질 만한 것들로 생각된다 하더라도, 역설적이게 그들은 그 기대에 완벽하게 부응하지 않는 상대와 공동체를 탓하기 보다 자기 자신의 기대를 탓하기 시작하며 스스로를 먼저 공격하기 시작한다. 자신이 가지고 있는 기대에 대한 자기검열에 지칠 때쯤 그들은 눈물과 함께 관계를 끝맺거나, 혼자만이 아는 우울감으로 공동체를 조용히 떠난다.
앞 장에서 이야기했던 것과 같이 서운함은 분노와 우울과는 다른 특징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우리가 가지는 서운함은 개인이 가지는 성향과 관계를 맺는 태도에 의해서 분노와 우울로 이어지곤 한다. 그래서 더더욱 우리는 우리의 서운함에 대해서 더 자세히 이해할 필요가 있다. 서운함이 분노와 우울로 이어졌을 때, 그 감정들은 개인의 입장에서 고통과 관계의 어려움을 줄 뿐만 아니라, 우리가 조직이나 공동체라고 부르는 집단에도 어려움을 만들어 내기 때문이다.
서운함이 분노로 이어질 때, 우리는 자신이 속한 관계와 공동체를 비난하거나 공격하기 시작할 것이다. 서운함이 우울로 이어질 때 우리는 관계에서 자신의 몸과 마음을 철수하고 회피할 것이며 자신의 에너지를 더 이상 그곳에 쏟아내지 않고 떠날 것이다. 이러한 과정은 개인과 공동체 모두에게 상처와 고통을 남긴다.
우리안에 있는 '서운함'은 ‘발달’의 과정을 거쳐 분노와 우울로 변화하고 ‘공격적’으로 개인과 공동체에 영향을 미친다.
우리는 교회 안에서 '마음'에 대해서 '감정'에 대해서 이야기 해야한다.
이제껏 외면해왔고, 주저해왔던 그 이야기를
하나님과의 관계 안에서, 공동체의 관계 안에서 이야기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