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Mine May 09. 2016

꼬꼬마가 떠올려준 우리삼대

여행길에 스친 삼대에 고마움을 전하며


지난 5일, 신경주역으로 가는 KTX 6호차 안.

할아버지, 할머니, 아빠, 엄마, 이모, 그리고 꼬꼬마까지 웃음꽃이 만발한 삼대가 서로의 앞 뒤 옆 좌석에 모여 앉았다. 열차가 출발하고 얼마 뒤, 할아버지 할머니의 앞자리에 엄마와 함께 앉은 꼬꼬마가 가방에서 주섬주섬 어른 손바닥만 한 포장봉투를 여러 개 꺼내 든다.


할아버지 할머니, 간식 드세요!

   

꼬꼬마가 고사리 같은 손으로 손수 포장까지 해온 간식을 건네받은 할아버지는 앞좌석으로 고개를 빼꼼 내밀어 보이며 꼬꼬마를 기특해하신다. 어떤 간식을 왜 골랐는지, 또 어떻게 포장했는지를 쫑알쫑알 이야기하는 꼬꼬마의 모습이 삐약삐약 거리는 노란 병아리 같다. 싱글벙글 들떠있던 꼬꼬마가 엄마와 이야기를 나누며 잠시 조용해진 사이, "얘야, 이것 좀 읽어봐라. 애가 얼마나 문장력이 뛰어나니~?"라며 할머니가 포장봉투에 적혀 있던 문장을 하나 읽어주신다.     


"맛있게 드시고 즐거운 하루 보내세요" 




십 년도 더 전에 내가 외할머니랑 함께 살았던 짧은 기간 동안, 외할머니와 엄마, 그리고 나 우리삼대가 함께 가까운 나들이를 다녀왔던 기억이 있었나 싶어서 외할머니 얼굴을 떠올려 보았다. 십여 년 전 내 모습도 함께 꺼내보지만 기억나는 장면이 단 한 장면도 없다.


외할머니께 '맛있게 드세요'라는 말을 건넨 적은 있었을까. 으음, 없다. 단 한 번도 없다. '잘 먹겠습니다', '잘 먹었습니다'와 같은 말은 (항상이 아닌) 종종 해왔지만 단 한 번도 할머니가 맛있게 드셨으면 하는 마음에서 말을 건넨 기억이 없다. 기억 속에 그런 장면 하나 없는 내가 부끄럽다. 우리할머니의 손녀이자 우리엄마의 딸로서 죄송한 마음이 든다.


내가 스무 살이던 해에 외할머니가 돌아가신 뒤 엄마는 종종 말해왔다. 엄마는, 엄마의 엄마와 함께 하지 못한 많은 시간들이 후회되고 따뜻하게 안아드리지 못해 죄송하다고. 그러니 너는, 엄마와 함께 하는 이 많은 시간 동안 후회하지 않는 시간을 보내라고.


잘 안다. 엄마가 힘들어했던 모습을 바로 옆에서 봐온 딸이라서, 그래야 한다는 걸 누구보다 잘 안다. 그러나 ‘그래야지’하는 마음을 먹기는 참 쉽지만 행동으로 옮기기가 쉽지 않다. 어버이날이었던 어제에도 엄마를 ‘버럭’ 화나게 만든 딸이니까.




어버이날 하루 전이었던 토요일 밤. 카네이션 바구니를 싫어할 엄마를 잘 알기에 종로거리의 한 노점에서 밤늦은 시각에 꽃을 샀다. 외출하기 전 "딸링, 어버이날에 받기 싫은 선물 1순위가 뭔지 알아? 카네이션이래. 엄마는 카네이션 필요 없으니까 사오지 마라~"라고 말했던 우리 엄마지만 저렴한 가격에 흥정까지 해가며 사왔다는 걸 알면 좋아하시지 않을까 싶었다. 활짝 핀 카네이션 네 송이에 아직 피어나지 않은 카네이션 네 송이, 그리고 부스럭거리는 연보랏빛, 보랏빛 꽃이 가득한 노점표 저렴이 꽃다발을 하나 샀다.


등 뒤에 숨겨둔 꽃다발을 짠- 하고 보여주자 엄마는 인상을 쓰며 "사오지 말라니까. 지금이 제일 비싼 시기잖아"라며 잠깐 나무라셨다. 그리고, 시들기 전에 얼른 화병에 예쁘게 꽂아두란 말을 덧붙이셨다. 하룻밤 사이 피어나지 않았던 네 송이 중 한 송이가 활짝 피어나자 엄마는 집안이 환해졌다며 좋아하셨다. 집에 들어서자 마자 가장 잘 보이는 곳에 화병을 옮겨둔 것을 보고 피식- 웃음이 났다.


어제로부터 또 하루가 지난 오늘은 다른 한 송이가 활짝 피어났다. 우리엄마에게도, 나에게도, 그리고 하늘에 계신 외할머니께도 오늘 하루만큼은 꽃처럼 환하게 피어나는 날이 되길 바라본다.


* 사진은 석굴암으로 올라가던 길에 보았던 밀짚모자 꼬꼬마. KTX에서 만난 꼬꼬마는 두 귀에 목소리만 담아두었다.

매거진의 이전글 엄마의 마지막 출근일, 나는 키다리꼬맹이가 되었다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