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9년 용인시 청년정책위원회로 위촉되고 난 후 2년이 흘렀다. 2년 임기의 마지막이 다가오고 있다.
2년간 총 4번의 정기회의를 진행 했다. 두 번은 코로나로 인해 서면으로 진행 했고 두 번은 얼굴을 보고 회의를 했다. 그리고 대면회의는 모두 원안 부결, 서면회의는 원안대로 가결 되었다.
용인시 청년정책 시행계획에 관한 회의들이었는데 납득할 수 없는 시행 계획을 수립해서 오는 경우도 있었고 청년 관련 정책이 아닌데 청년정책이라고 하는 것도 있었다. 그래서 두 번의 대면 회의때는 모두 시행계획이 부결 되었다. 특히 부결의 가장 큰 이유는 소통의 부재였다.
기본계획을 수립하기 위한 청년과의 소통은 없었다. 그저 관에서 그럴싸한 계획을 수립하고 시행하고만 있었다. 그리고는 청년정책위원회에 우리 이것 저것 하고 있으니 가결해달라는 말 밖에 없었다. 지역의 청년들이 할 수 있는 것은 그저 부결 밖에 없었다. 다른 것을 요구할 수도 없었다.
중간중간 다른 일이나 청년 관련 일로 시청을 찾았을 때도 상기한 시행계획에 관해서는 단 한마디도 없었다. 이런 것들이 2021년 현재 용인시에서 시행하는 청년 정책의 한계라 느껴진다.
민선 7기의 용인시는 청년담당관을 신설했지만 그것으로 끝이다. 청년 정책을 총괄하는 부서는 있지만 청년정책을 고민하는 사람이 없다. 있을지 모르겠지만 없어보인다. 청년을 위한 공간을 만들었지만 만들기만 했을 뿐이다. 그 안에 어떤 사람이 있는지, 어떤 사람이 쓰는지에 대한 고민이 부족해 보인다. 청년을 위한 청년공간이 아닌 용인시 청년 정책을 위한 청년 공간 같다는 생각이 들기도 한다.
청년정책위원회는 조례상 청년기본계획의 심의가 가능하다. 엄밀히 말하면 심의만 가능하다. 그래서 청년들이 아무리 부결을 외치더라도 기본 계획 그대로 진행이 가능하다. 그게 현재의 모습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