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유목민 Jan 14. 2024

나무 유리통창을 꼭 만들어야 하는 이유

Orchard 집에는 자연이 그리는 액자가 있다

#유리통창

나무로 큰 프레임을 짜고 그 안에 이중유리를 끼워서 하나의 통창을 만들었습니다. 거실은 규모가 젤 큽니다. 가로가 3미터에 높이가 2미터가 넘으니까요. 유리 아저씨도 이건 유리 원장을 자르지 않고 거의 그대로 재단했다고 하더라구요. 이라기보다는 유리벽 같은 느낌입니다. 항상 푸른 사철나무 울타리와 단풍나무, 그 뒤로 배나무 과수원이 큰 그림이되어 거실을 가득 채웁니다.

작은방에도 통창을 달았습니다. 물놀이방 Water ground에 앉아 발을 담그고 배나무들을 바라보는 느낌은 이루 말할 수가 없죠. 이 창 하나로 편안함과 싱그러움이 가득한 방이 됩니다. 창이 매일 매시각 변하는 자연의 그림을 그려주니 이 방에도 액자가 필요가 없습니다.

안방은 옆으로 긴 통유리창이라서 영화를 보듯이 시야가 더 많이 넓어보입니다. 제일 오래 해를 친구 삼는 남동 방향 벽이라서, 하루 종일 벽면에 만들어 내는 그림자와 햇볕이 자리를 옮겨가며 그림을 그립니다.


#통창을만든이유

창은 집의 눈과 같습니다. 세상을 보는 프레임을 통해서 집 안에서 집 밖 세상을 바라보게 되죠. 기능적으로 창은 환기와 경관을 담당하는데, 이 집에 원래 있던 미닫이 샷시와 나무로된 이중창은 반쪽 눈만 뜬채로 세상을 보는 것 같아요.


이 집에 처음 들어 왔을 때 살짝 열린 거실 샷시 창 사이로 얼마 남지 않은 새빨간 단풍잎이 너무 아름다웠습니다. 폴딩샷시로해서 창문을 접으면 나갈 수 있도록 할까 하는 생각도 했지만, 벌레와 모기가 걱정어 나무로 된 통유리가 낫겠다 결론을 내렸지요. 폴딩도어로 할 경우 닫아 놓으면 경치가 프레임에 의해서 중간중간 짤리는 것도 싫었구요.

작은방 정사각 창도 미닫이라 과수원 풍경을 반쪽만 보여주니 아쉽더라구요. 하는김에 여기도 통창으로 해야겠다 마음 먹었죠.

안방의 기다란 미닫이 창도 이 집에 어울리지 않는 창이었습니다. 배나무가 무척 가까이 있어서 통유리로 바꾸면 자연적인 분위기가 집 앞으로 강렬하게 들어 오는 듯한 느낌일 것 같았습니다. 방인지 과수원 한가운데 인지 헷갈릴 정도로요.  

공매로 낙찰받은 단독주택을

셀프리모델링하는

공간을 더 보고 싶다면

https://www.instagram.com/maison_orchard?igsh=MWJuM280dHE1Zzd6dw==

매거진의 이전글 셀프 플랜테리어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