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매거진 경영 회고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스타트업의 원맨쇼가 아닌 원팀쇼를 위해

22년 3월 28일 메모장

어웨이크코퍼레이션은 하나의 팀으로 나아가야 한다. 사실 지금까지는 회사 규모가 작다보니 원맨쇼와 비슷했다. 예전에는 그게 가능했지만 이제 세상에서   일을 도전하기로 했다면 어웨이커로 함께 하는 팀원들이 하나의 원팀쇼로 나아가야 한다.


어떤 일을 해야하는지, 어떻게 해야하는지, 언제까지 해야하는지 대표의 결정을 기다리는 조직이 아닌 본인들이 어웨이커로서, 회사의 주인 중 한 명으로서 고민하고 결정 할 수 있게 해야 한다.


물론 그렇게 되려면 대표인 나부터 바뀌어야 한다. 지금까지는 히틀러처럼 언제까지 무엇을 무조건 해내야 한다, 무조건 수치를 % 성장 만들어야 한다고 푸쉬 했던 것 같지만 점점 이 방식의 성장은 한계가 있다는 것을 느낌과 동시에 우리는 더 큰 꿈을 함께 이루기 위해서는 변화해야한다는 것을 배운다.


실제로 지금의 어웨이커가 주인이 되어갈 수 있도록 구조적, 환경적으로 회사의 주인이 될 수 있도록 만들어야 할 것 같다. 말로만 주인이 된거라고 이야기하는 것은 무책임해보인다. 정말 어웨이커로서 크리에이터가 Soloprenuer 로 성장할 수 있도록 직업 패러다임을 변화시키고 있다는 것을 (믿는 것이 아닌) 믿어지는 팀원들과 함께 더 더 더 본질에 집중해서 끝장보고, 빠르게 가설 실험하되 그 과정에서 결과물은 완벽하기 위한 노오력을 해야한다는 생각을 하게 된다.


한 명이 두 명 세 명 일을 해왔다. 최근 정말 존경하는 빅크 김미희 대표님을 뵀는데 어웨이크의 작은 인원이 많은 기능을 빠르게 내놓고 숫자로 가설검증하는 부분과 지금 단계의 인원 수로 크리에이터 사용자를 이해하면서 이 정도 수치를 낸 부분을 칭찬 해주시고 위로도 해주셨다.


얼마 전 한 팀원은 체력적 정신적 버거움에 울었고, 한 팀원은 새벽에 퇴근해 새벽에 출근했다. 사실 엄밀히 말하면 본인의 일이 아니었을 수 있는데 자발적 또는 대표의 등떠밀림에 누군가는 해야하니 했을 수도 있지만, 대표 김민준의 성공이 아닌 어웨이커의 성공으로 모두가 함께 결실을 맺기 위해서는 지금보다 우리는 더 잘해야하고, 우리가 하고 있는 일에 대한 사명감을 한번 더 정리하고 나아가야 한다. 동시에 우리는 지금 단계에서 1년은 더 Risk Taking 하면서 조직을 더 충원해야한다. 더 일을 잘해서 더 큰 수치를 진짜로 내야 한다. 눈속임 하려는 수치 말고 정말 고객이 열광하는 와우하는 서비스로 거듭나야만 한다. 그래야 우리가 살 수 있다. 우리가 망하지 않을 수 있다.


어웨이커의 빛을 만땅 주유하고

더 나아가자. 더 더 더. 직업 패러다임은 세분화되고 있고 회사에 묶이지 않는 자율성과 개별성을 갖고 가는 다양한 디지털 직업이 생겨난다. 디지털 플랫폼을 위해 필요한 오프라인 노동력과 창의적인 컨텐츠를 만들어내는 크리에이터까지. 현 금융당국은 이해하거 어려운 이들의 경제활동 체제로 인해 결국 Thin Filer 가 되어가는데. 이들을 위한 은행이 되어야 한다. 새로운 금융상품을 만들어 이들이 더 잘살게 만들어야 한다.


그게 어웨이커가 해야 할 역할이고

우리는 첫번째 단계로서 이들이 감에 의존한 컨텐츠 활동이 아닌 조금 더 데이터 기반의 경각심을 갖게 만들었다. 두번째 단계로 우리는 MCN을 파괴한다. 국내 MCN 매출 2,000억원을 끌고 온다. 세번째 단계로 크리에이터를 위한 은행으로 나아간다. 어웨이크코퍼레이션은 그렇게 다음 세대의 은행이 된다.


 진짜 사업잘하고 싶다. 후웆

매거진의 이전글 세 명의 멘토가 필요한 이유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