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조수민 라이트랩 Aug 19. 2021

책으로 모든 지식을 얻을 수 있을까?

지식의 체계에 책이 필요한 이유

 


 우리는 책으로 모든 지식을 얻을 수 있을까? 서점에 가보면 정말 수많은 책들이 가득 차있음을 보게 된다. 수많은 책을 보면서 나는 책만 봐도 대부분의 지식을 얻을 수 있을 것 같다고 생각하곤 했다.



 책을 읽고, 또 책을 쓰면서 책이라는 콘텐츠가 가진 지식의 특징과 한계를 느끼곤 한다. 무엇보다 책은 '책 한 권'이 만들어질 수 있는 분량과 에너지, 그리고 책으로 만들어질 수 있는 기회와 시장성이 갖추어졌을 때 비로소 탄생한다. 아무리 좋은 글과 지식이라도 이러한 요소가 충족되지 않을 경우 책이 되지 못한다. 그렇기에 책에 있는 지식만으로는 지식의 모든 영역을 채울 수 없다.



 하지만 아이러니는 이것책의 장점으로 작용하기도 한다는 것이다. 매일같이 쏟아지는 엄청난 '읽을 것들'중에서 양질의 지식을 고르는 것은 결코 쉬운 일이 아니다. 그것이 ''으로 묶여서 존재한다는 것은 적어도 그만한 과정과 검증을 거친 지식임을 말해주는 것이기도 하다.



 이런 생각을 해본다. 수체계에서 유리수가 채우지 못하는 빈 공간을 무리수가 채우고 있는 것처럼, 책이라는 유리수 사이를 수많은 논문들과 각종 플랫폼 위에 흩어져있는 좋은 지식을 품은 글이 마치 무리수처럼 빈칸을 채우고 있는 것은 아닐까 하고. 물론 책 중에서도 고전이라 평가받을 만한 위대한 지식은 자연수와 같은 정수의 위치에 있을 것이다.



 우리가 하루에도 수없이 접하는 온라인상의 수많은 흥미 유발 목적의 글들은 어쩌면 허수의 영역일지도 모르겠다. 지식보다는 누군가의 의도(그것이 자랑이든 자극이든 광고든...)에 의해 생산, 편집된 글은 그 자체를 지식으로 분류하기에는 어려움이 있다. 문제는 우리는 종종 그것이 허수라고 생각하지 않고 유리수라고 받아들이는 것에서 발생한다.




실수와 허수를 구분하고, 유리수 사이의 빈 공간을 무리수로 채워 나갈 때 비로소 지식이라는 우리의 수직선이 촘촘히 채워질 수 있을 것이다.




 우리는 수의 체계를 배울 때 정수부터 시작해 유리수, 무리수, 허수로 확장해 나간다. 지식 체계에도 이와 같은 과정이 필요하다. 책이 모든 지식을 담을 수는 없지만, 적어도 책으로 엮인 지식들은 지식의 체계의 기준점이 되어준다. 실수와 허수를 구분하고, 유리수 사이의 빈 공간을 무리수로 채워 나갈 때 비로소 지식이라는 우리의 수직선이 촘촘히 채워질 수 있을 것이다. 책을 바탕으로 넘쳐나는 정보 속에 길을 잃지 않고 폭넓은 세상을 보다 바르게 이해해 나갈 수 있다.


 


작가의 이전글 한 번의 실패가 가져다준 선물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