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매거진 영혼일기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낭만민네이션 Nov 01. 2019

공동체의 비전을 실현하는 방법

기아대책 우간다 사업장_쿠미 해피홈스쿨 case

0.     들어가기

 

지역사회의 변화를 어떻게 시작할 수 있을까? 우리가 꿈꾸는 것처럼 지역의 주민들이 스스로 자신의 문제를 정의하고 해결하기 위해서 머리를 맞대고, 끊임없이 대안을 만들어내는 모습을 볼 수 있을까? 누군가는 현실을 보고 외면하고, 누군가는 현실에 매몰되어서 기회주의자가 되고, 어떤 이는 비로소 현장에서 사람들과 손을 잡고 시나브로 미래의 조건들을 하나씩 만들어 간다.

‘희망’을 찾는 사람으로서 눈을 뜨고 주위를 둘러보면 생각보다 많은 이들이 이 길을 함께 걷고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오늘 우리는 우간다의 이야기를 나눌 것이다. 우리가 기대하고 바라는 것처럼 우간다에서 여러가지 변화의 사례를 볼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그 행간에서 자신의 삶을 바쳐서 역사의 조그마한 기회들을 만들어 갔던 사람들의 뒷모습도 볼 수 있을 것이다.

포기하는 곳에서 다시 시작하는 사람들! 황무지에서 사람들의 손을 부여잡고 새로운 관점으로 세상을 바라보는 사람들! 우리는 하나님이 부르셨고 그 부르심에 응답했다. 그리고 이 세상의 영적인 굶주림과 육적인 굶주림이 종식되는 때까지 공동체의 비전을 이루기 위해서 함께 걷는 이들이다.



 

들어가는 질문


- 이론과 실재는 괴리감 없이 연결이 되는가? VOC는 이론으로만 가능한 것인가?

- 미래의 우리가 해야할 일과 오늘의 강의가 어떻게 연결될 수 있는가? 우리가 현지에서 사역할 때 정말로 VOC는 적용가능한가?

- 아프리카 context에 대한 이해를 어떻게 가질 수 있는가? 아프리카라는 환경에서 VOC가 가능한가?

- 영국 식민지의 영향력을 어떻게 극복할 수 있을까?  기존에 역사적 경로의존성을 벗어나서 공동체가 스스로 변화를 만들어낼 수 있는가?

- 우리의 사역 종료 후 추진 사항은 어떤 것들이 있는가? VOC이후 우리는 무엇을 볼 수 있어야 하는가?

- 처음 사역을 할 때 시행착오는 어떤 것들이 있는가? 상황화와 적응에 대해서 팁이 있는가?

 



1.     VOC 개요


공동체는 이미 하나님이 주신 잠재력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아직 여러가지 장애물이 존재한다. 이러한 장애물들을 극복하기 위해서 기아대책은 적절한 사람, 자원, 아이디어를 가지고 공동체 안으로 들어간다. 기아대책은 여기서 변화된 사람인 Hope Corps를 파송하여 공동체의 가정, 교회, 리더가 변화될 수 있도록 퍼실리테이션을 하게 된다. 공동체에서 교회는 하나님의 나라의 lifestyle의 방향성을 제시하고 가정들을 축복하며, 리더는 하나님나라의 원리로 공동체의 문제를 해결한다. 또한, 가정들은 하나님나라의 축복을 받으며 자신들의 필요를 채우면서 점점 성장한다. 이러한 공동체의 변화가 결국에는 자립으로 이어지면서 다른 공동체를 섬기는 데까지 이르게 된다.


 



2.     강의내용

 

내 사역지 VOC 진단

Vision of Community에 기반한 사역을 하고 있는가?

 

1)     기아대책의 정체성과 역할


기아대책은 미션ngo이다. 기아대책은 선교단체인가? 아니면 국제개발ngo인가? 아니면 이 두가지를 포함하고 있는가? 두가지를 포함하고 있다면 우리는 어떤 방식으로 구현할 것인가?

 

-      Ngo란 Non-Governmental Organinzation의 약자로 비정부 단체 혹은 조직이다. 그러나 Ngo의 개념과 범위는 국제적 합의가 없이 그것을 사용하는 국가나 기관에 따라서 달라진다.

-      지방, 전국, 국제 수준에서 비정부, 비영리, 비폭력의 성격으로 공동의 목표와 공익활동을 위해 개인 또는 단체가 자발적으로 조직하고 창설한 민간단체를 말한다.

-      Ngo의 역할은 국가권력을 견제하거나 공공의 서비스를 제공하고 대변하고 교육한다.

기아대책과 타 ngo의 차별성은 무엇인가?

-      기아대책은 하나님의 나라의 확장이라는 미션을 가지고 공동체의 필요와 변화를 추구한다.

-      그 과정에서 ‘세계관의 변화’를 가장 중요한 요인으로 정의한다.

-      공동체의 개발은 개인의 내면에서부터 시작해서 외부로 확장되는 과정이라고 생각한다.

-      예수그리스도의 삶과 말씀이 기반이 되는 실제 생활의 변화를 꿈꾼다.

-      키워드 : 통전적선교, 하나님의 선교, 전인적인 변화, 통전적인 변화, 세계관의 변화, 공동체의 비전

 

2)     미션ngo와 Hope Corps(기아대책이 파송한 봉사단)


자신이 속해 있는 단체와 자신의 정체성이 어떻게 연결되는지에 대해서 고민해야 한다.

-      기아대책 및 나의 정체성 파악하기

-      서교사와 ngo활동가로서의 나의 역할

-      One side 결여된 전문성 강화

-      국제ngo수준의 기대치 파악

-      공공선교에 대한 이해 높이기

 

Check yourself


공동체의 비전을 실현하기 위해서 우리는 스스로 계속해서 다음과 같은 질문들을 던져야 한다.

-      당신의 비전은 무엇입니까?

-      당신의 공동체는 누구이고 규모는 어떠합니까?

-      당신의 비전은 공동체의 비전이 될 수 있습니까?

-      Staff들과 공유하였습니까?

-      깃발&구호는 무엇입니까?

 

질문, 내가 사역하고 있는 지역의 가장 근본적이고 큰 문제는 무엇인가?

자신이 속한 공동체에서 사람들이 느끼고 있는 가장 큰 문제를 찾아내는 일은 매우 중요한 부분이다.

-      보통은 식수와 먹을 것이 없다.

-      변화에 대한 기대가 없다.

-      서로에 대한 신뢰가 없다.

-      사회정의에 대한 문제의식이 없다.

 

3)     빈곤poverty에 대한 질문


-      빈곤이란 무엇인가?

n  세계은행 : 빈곤은 명백히 복지가 박탈된 상태로 경제적 기회, 교육, 보건과 영양 그리고 권력강화 및 안전에서의 인적 박탈을 의미한다.

n  유엔개발계획 : 인간의 개발과 대조되는 개념으로 인간빈곤이란 핵심적인 능력이다. 즉 건강하고 수명이 긴 삶, 지식, 경제적 자원 그리고 지역사회 참여 가능성 등을 박탈당함을 의미한다.

n  빈곤층이 인식하는 빈곤 : 물질적인 안녕을 위해 필요한 의식주 및 기타 재산, 도로, 물 등 기본적 인프라가 결핍된 것이며 육체적 박탈을 가져오는 자원의 부족을 의미한다.

n  빈곤의 정의 종합 : 경제적, 인간적, 정치적, 보호, 사회적 능력의 5가지 능력이 결여된 상태이다.

-      국제사회에서도 개발원조의 가장 보편적인 목표는 다름 아닌 ‘빈곤문제의 해결’이다.

-      내가 정의하는 빈곤이란 무엇인가?

-      현재 지구 인구 중에서 몇 %가 빈곤의 문제로 고통받고 있는가?

-      절대적 빈곤은 무엇인가? 월드뱅크에서 1.9달러 이하로 살아가는 사람들을 절대적 빈곤이라고 말한다.  

-      빈곤은 경제, 사회, 문화적 접근에 따라서 다르게 정의된다. 빈곤의 정의에 따라서 해소방법, 정책마련, 정책 효과성, 모니터링, 평가를 위한 측정방식이 달라지게 된다.

 

4)     내 사역지는 어떤 모델 cdp인가?


-      국가적 & 지역적 특성에 맞는 모델 선택

-      복음이 열린곳인가 닫힌 곳인가?

-      교회중심인가? 학교중심인가? 지역중심인가?

-      몽골은 교회모델 cdp로 시기에 따라서 변화된다.

-      우간다는 학교모델 cdp로 지역환경에 따라서 달라진다.

-      Cdp의 규모는 몽골의 경우는 400명이고 우간다는 2000명정도가 된다.

-      목표전략은 사업규모는 다르나 방법은 똑같다. 비전을 공유하고 CLF 역량강화를 통한 자립이다.

 

5)     개발원조에 대한 양론


-      원조 찬성론과 원조 반대론이 있다.

-      원조 찬성론은 제프리삭스의 ‘빈곤의 종말’이, 원조 반대론은 ‘세계의 절반구하기’에서 주장하고 있다.

-      이러한 문제가 나오는 이유는 원조 효과성에 대한 문제의식에서였다. 원조피로가 발생하면서 원조가 현지에는 도움이 되지 않고 원조를 하는 사람들의 시간만 낭비하게 된다는 것이 주요한 문제의 요인이었다.

-      그렇다면 우리는 이러한 환경에서 어떤 방식으로 변화를 만들어낼 것인가? 빈곤을 어떻게 정의하고 해겨하기 위한 대안을 만들 것인가? 우리의 목표는 무엇인가?

 


 

3.     우간다 VOC 사례

 

1)     변화는 문제인식으로 부터_쿠미 cdp의 계기


-      2011년 CAPR통해 문제의식을 가지게 되었다. 왜 많은 아동들이 유급하는가? 우간다의 경우 무세베니의 장기독재와 교육정책의 유명무실화로 인해서 공립학교의 운영자체가 힘든 상황이었다. 공립학교의 열악한 환경에서 아동들은 관리가 잘되지 않았고, 사립학교로 옮길 경우 레벨테스트에서 탈락해서 5학년인데도 2학년으로 떨어지는 일들이 발생하게 되었다.

-      지역조사 후 총체적 난국에 돌입한다. 많은 문제들 중에서 우선순위를 정한다. 예를 들면 급식, 열악한 교육환경, 교사부족과 자실의 문제, 교육기자재 부족이다. 이 수 많은 문제들 중에서 어떤 것이 가장 중요한 부분인지를 평가하는 시간이 필요했다.

-      전반적으로 공교육 시스템의 전환이 필요함을 인식하게 된다. 변화에는 당연히 계기가 필요하다.

-      급식을 변화의 계기로 삼기로 결정하고 다양한 시도와 넘어야할 산들이 존재하였다.

-      The mission 방영 후 한국에서 2개 초등학교 전체 아동 1년 동안 무상급식을 할 수 있는 후원금을 보내온다. 그럼 이제 어떻게 할 것인가?라는 질문이 남았다.

-      ‘상대적 박탈감’이 보인다는 것이었다. Cdp를 운영하며 비 cdp아동들이 느끼는 상대적 박탈감은 당연히 혹은 어쩔 수 없는 것인가? 이미 지원에 익숙하고 다른 사람의 기아에 무감각한 cdp 스텝들이나 부모, 지역사업들을 어떻게 변화시킬 것인가? 이것이 급식사업을 전체 학교로 확대하게 된 근본적인 질문이었다.

 

2)     큰 그림 그리기


-      프로젝트성 사업모델과 지역사회변화모델을 구분해보자.

-      프로젝트성 사업모델은 표적화된 목표(클라이언트0의 수행에 초점을 맞추고 사업을 위한 재정적인 자원의 강조가 중심이다. 개인과 가족들이 주 클라이언트로 이들을 위한 서비스를 제공한다.  

-      지역사회변화모델은 community impact모델로 지역주민과 지역사회의 전반적인 변화에 초점을 맞춘다. 재정적인 자원뿐만 아니라 지역 내 주민들과의 관계, 지역주민들이 가진 능력, 기술, 가능성을 커다란 자원으로 여긴다. ‘지역’자체가 하나의 클라이언트가 되는 것이다. 자체적인 역량 강화를 통한 문제의 해결과 지속가능한 변화를 추구하는 것이다.

-      공립학교 급식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프로젝트성 사업모델이 아니라 지역사회변화모델을 적용하기 위한 계획을 세운다.

-      학교에서 교장선생님을 위시해서 학교 선생님들 전체가 아동들이 먹을 수 있는 권리를 지킬 수 있도록 도와주고 기아대책에서는 1000명정도가 먹을 수 있는 무쇠솥을 지원하며 처음년도는 50%의 급식 비용을 지원하는 것을 핵심으로 하였다.

 

3)     지역전체 마을 캠페인_인식개선활동


-      3개 학교에서 37개의 학교로 확장되는 과정에서 급식 및 교육환경개선에 참여한 배경은 다음과 같다. 물론 이것은 정말 힘든 과정이었다.

-      먼저는 아동들과 함께 비전을 나누고 의식개선 운동을 시작했다.

-      자원은 외부가 아닌 지역 내부 재능기부로 주요하게 시작했다.

-      급식 캠페인 노래를 만들어서 영어와 부족어로 퍼트렸다.

-      라디오 토크쇼를 진행했다.

-      지역전체에서 2014년에 비로소 20개의 학교로 확대되었다.

-      이후에 급식사업이 안정되고 공립학교 기자재의 변화와 교실환경 변화를 추구했다.

 

4)     Vision의 현실화


-      급식과 연계해서 다음단계로 넘어가기 위한 동기부여의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      은예로 서브카운티 지역 전체 13개 공립초등학교 교육환경 개선사업을 시작하게 되었다. Cdp펀드 외에 일반사업 프로젝트를 시작하였다. 교육모델 서브카운티 만들기가 시작된 것이다. 이후에 District전체로 확대되면서 27개 공립학교 지원과 학교 연합회를 조직한다.

-      지역교회 주일학교 연합회를 조직하고 교회가 지역사회 문제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 있도록 교회를 따로 세우지 않았다. 지역교회 32개가 참여했다.

-      지역개발 사업을 이제부터 본격적으로 시작하게 되었다. 소득증대사업, self help, VSLA, 주거환경개선사업(모델홈), 협동조합이다.


 

5)     가정소득증대사업_1-2차 지원


-      우간다는 농업국으로 85%의 국민들이 농사를 짓는다. 이러한 배경에서 가축지원이 가장 안전하기 때문에 1차 소득증대 지원으로 선택하였따.

-      2008년 전체 아동대상 가축지원으로 1000명 이상 아동에게 동시에 지원했다. 마을에 어떤 일이 생겼을까? 이전지원으로 무슨 문제가 생겼는지 지역조사를 실시하였다.

-      지원방법은 교육이수와 가축 우리를 건축한 그룹(20~30명)으로 준비된 그름만 지원하게 되었다. 물론 여기에는 인내심과 규칙이 매우 중요했다.

-      1차 지원은 3년이상 걸렸다. 동일한 염소를 1마리씩 나누어 주었다.

-      2차지우너은 가정의 자원과 능력에 따라서 지원했다. 가축과 과실수, 농사와 소규모비즈니스(가정당 $70으로 동일한 금액 이었으나 가정사업계획서 작성후에 지원)

 

6)     Self-help & VSLA 그룹


-      Self-help그룹은 소득증대 사업 그룹 안에서 모은 자금으로 시작하였다.

-      VSLA그룹은 Village Savings & Loan Associations라고 부른다.

-      Care라는 NGO단체는 아프리카 니제르에서 1991년에 시작하였다. 특별히 신용의 이유로 여성들을 돕는다. 2017년 보고서에서는 46개국에서 약 6,700,00명 이상이 참여해서 총 317,335그룹이 만들어졌다. 재정지원이 없어도 운영이 간으하다.

-      초기 시작과 평가시에  단체 교육과 초지에 필요한 물품saving box를 지원한다.

-      지금까지 쿠미는 86개 그룹이 조직되고 운영되었다.


 

7)     모델홈 프로젝트_주거환경 개선 사업


-      목표아동들의 질병들을 줄이고 가족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시작하였다.

-      지역조사를 통해서 cdp아동들이 비위생적인 환경에 노출되어 있음을 알게 되었다. 바닥에서 가축과 함께 취침하고 불결한 주방환경이나 화장실이 없었다. 이러한 문제의식에서 모델홈을 시작했다.

-      지방정부에서 Village Health Worker를 두고 진행하던 프로그램을 우리 상황에 맞게 수정하고 업그레이드하여 모델홈이란 프로젝트를 1, 2, 3차로 진행하였다.

-      1차로 화장실 구비와 손씻는 기구, 식기 건조대, Mud Strove등이다. 화장실 발판 지원 프로젝트 를 시작으로 주민참여를 시작하였다.

-      2차로 Kitchen Garden, 마당꾸미기, 침대 프레임만들기, 가구 만들기 등을 시작했다.

-      3차로 벽돌 집짓기, Solar light설치, 물탱크 등을 만들고 설치했다.

-      방법은 로컬재료를 활용하고 시작 시 돈이 들지 않아서 누구라도 참여할 수 있었다.

-      쿠미 CDP 전체 모든 가정혜택과 지역 Non CDP가정으로 확장되었다.



 

8)     협동조합 & Permaculture


-      쿠미지역은 우간다 전체와 마찬가지로 주민의 90%이상이 농사를 지었다.

-      쿠미지역의 농산물은 고구마, 옥수수, 수수, 땅콩 등이었다.

-      그러나 농산물을 헐값에 사서 수익을 챙기는 중간상인들이 매매를 하면서 차익을 많이 가지고 갔다.

-      초기 협동조합을 꿈을 꾸었으나 주민들의 준비 부족으로 시간이 필요했다.

-      지역주민들은 점차적으로 IGA & VSLA & 지역 공익사업을 추진하며 협동할 수 있는 역량이 생기게 된다.

-      Vision Trip을 시행한다.

-      4개 지역 1단계 생산자 판매 협동조합을 조직하고 1단계 4개 협동조합이 모여서 2단계 협동조합을 조직한다.

-      기업가 정신과 마케팅등의 외부교육을 연겨랗여 진행하고 Peramculture로서 친환경 농법을 교육 중이다.

 


9)     운영위원회 조직_역량강화와 위임


-      교육적으로 27개 지역의 초등학교와 중학교 연합회, 멀티미디어 협회, 교사 교육엽합회가 만들어진다.

-      영적으로는 32개의 지역교회 연합회와 지역 주일학교 선교회가 만들어진다.

-      신체적으로는 스포치 리그가 운영되어 축구, 배구, 넷볼을 운영한다.

-      사회정서적으로는 지역여자아동 인권보호를 위한 교육 드라마팀이 만들어지고 지역주민의 재능기부가 지속적으로 일어났다.

-      지역개발은 VSLA 86개 리더 그룹, 협동조합 1,2차 운영위원회, 모델홈 그룹, Permanculture리더 그룹 등등의 사업으로 확정되었다.

 

10)  Statff운영


-      성육신되고 변화된 staff들을 고용하는 것은 힘들다. 예수그리스도의 주권을 인정하고 staff들과 함께 CLF를 VOC로 교육하는 것이 필요하다.

-      일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해야 한다. 조직도와 시스템(전산화와 전문성) 전환이 필요하다.

-      아침 예배와 devotion에 가장 큰 중점을 두어야 한다.

-      Staff 들을 내 몸처럼 여기고 Coram Deo의 삶을 보여주어야 한다.


 

11)  After Project


-      이전 쿠미 CDP모든 사업에 대한 Monitoring 과 Evaluation을 진행중이다.

-      협동조합의 역량강화와 판로개척을 지원중이다.

-      Permaculture는 친환경 농법 소개와 훈련으로 진행하며 Cash Crops를 소개하고 재배 하고 있다.

-      Go green project로 푸른 마을 가꾸기를 진행하고 있다.

-      SNE와 장애아동 인식개선 캠페인을 진행중이다.

-      Youth Group 역량강화 및 자립지원 Project를 지원하고 있다.

 



4.     이해와 적용

 

-      하나님나라의 공동체란 무엇인가?

-      우리는 어디에서부터 시작해야 하는가?

-      Kumi CDP 종료 후에 자발적 수혜 아동의 슬로건은 “It’s not our mistake to be born poor, But it’s our mistake to die poor”이다.

-      우리에게는 나쁜 소식과 좋은 소식이 있다. 모든 사람들은 시작도 전에 비웃을 테고 우리가 행동하는 것에 대해서 냉소적으로 볼 것이다. 왜냐하면 항상 그렇게 살아왔을 것이고, 그렇지 않았다면 빈곤과 문제를 그대로 살지 않았을 것이기 때문이다.

-      그러나 우리에게는 좋은 소식이 있다. 이 세상에서 우리가 추구하는 비전과 변화가 조금씩 이루어지고 있다는 것이며, 우리에게 주어진 시간 가운데 함께 걸어가는 사람들이 있다는 것이다.

-      오늘 제시된 Vision of Community의 방법과 사례들을 가지고 우리는 우리의 삶 속에서 변화를 추구해야 한다. 쉽지 않은 길이지만 하나님이 함께 하시고 이미 하나님은 먼저 우리보다 사역하고 계실 것이다.

-      시작할 때 끝을 생각하고 사역을 해야 한다.

-      스텝들을 끝까지 믿어야 한다. 스텝들에게 기회를 주면 누구든지 할 수 있다.

 



민네이션, 생각


-      교회리더 메뉴얼에 대한 감수가 필요하다. 교회리더의 신학과 방법론을 ‘실천신학’과 ‘선교신학’ 관계에서 더 깊이 들어가야 한다.

-      공동체의 변화는 기아대책은 시작할 수 있지만 결국은 지역사회가 진행해야 한다.

-      우리는 사실 우리가 하는 것보다 더 많은 변화를 경험하고 있다. 그리고 그 변화는 우리가 만드는 것이 아닐 수도 있다. 우리는 시작하고 하나님은 실재로 행하신다.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