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매거진 지식일기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낭만민네이션 Mar 11. 2020

 변혁적 리더십과  거래적 리더십

직지심공 24화_Transforamational leadership

이전 발표자료는 아래 20화 레토릭모델을 참조.

https://brunch.co.kr/@minnation/1659


22화 전략에 대한 정리한 내용

https://brunch.co.kr/@minnation/1595


0. 들어가기


오늘은 Transforamational leadership에 대해서 알아보려고 한다. 쿠퍼실리테이션은 그동안 직지심공을 통해서 학습조직을 만들어왔고 전반적으로 '퍼실리테이션'에서 '조직개발'로 새로운 영역을 구축하는 중이다. 조직개발이라는 부분은 우리가 속해 있는 조직 자체를 개발하는 통합적인 이론이면서 체계적인 컨설팅 분야이다. 요즘에는 컨설팅의 경계와 퍼실리테이션의 경계가 혼합되는 양상을 보이면서 두 영역에서 겹치는 부분이 많아지고 있다. 특히 퍼실리테이션이 회의에서만이 아니라 조직행동에 있어서 모든 분야로 확대되어가고 있는 과정이다.


같은 맥락에서 리더십을 바라볼 수 있다. 리더십이 어떤 방식으로 조직행동을 유도하느냐에 따라서 조직개발이 달라진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스스로 자신이 어떤 스타일의 리더십을 가지고 있는지, 그 스타일이 조직에 어떤 영향력을 끼치고 있는지를 가늠해 조직 전체를 조망하는 것이 필요하다.


변혁적 리더십 이론은 베버(T.Weber)가 처음 논의했고 제임스 번스(James MacGregor Burns)가 처음 사용했으며(1978) 버나드 바스(B.M.Bass)에 의해 정립했다. 번스교수의 리더십에 관한 책은 정치적 리더십을 이야기했지만 버나드 바스는 '조직'차원으로 리더십을 가지고 오면서 오늘날의 '변혁적 리더십'이라는 영역이 개척되었다.


 오늘은 바스교수가 리더십에 대한 논문을 리뷰하는 Bass (1999) Two Decades of Research and Development in Transformational Leadership 을 참고해서 볼 것이다.


유튜브로 듣기 : 24화 변혁적 리더십






1. 변혁적 리더십의 태동


1) 시대적 변화


시대는 항상 변한다. 어떤 양상으로 변하는지를 예측하고, 분석하고 현실이 요청하는 변화에 부응하는 것이 필요하다. 요즘은 VUCA시대가 오면서 새로운 리더십이 요청되고 있고 빠르게 처리하면서 결정을 신속하게 내리는 애자일리더까지 등장한 시점이다.

변혁적 리더가 등장하는 시점은 2차 산업사회가 어느정도 지나가고 3차 산업으로 넘어가는 시점에서 발생했다. 상황이 빠르게 변하는데 문제는 계속해서 발생하는 시점이었던 것이다. 따라서 스스로 내적인 변화와 함께 조직적인 변화까지 추구하는 리더십이 필요했던 상황이다.

시대가 변하는 것과 함께 내재적으로는 조직의 형성의 시기가 바뀌는 지점에서 변혁적 리더십이 나타나기도 한다. 형성기와 격동기에는 변혁적리더가 많이 나타나는 현상을 보인다. 만약 자신의 조직이 격동기를 지나가고 있다면 반드시 그 다음 리더십을 준비해야 하는 것이다.

덧, 상황유지적 리더십은 '자신도 안하고 남도 못하게 한다'는 것을 특징적으로 갖는다. 변화를 매우 위험하다고 느끼며 리스크를 전가하여 다른 직원들에게 바이러스처럼 퍼트리는 사람이 대부분 상황쥬



2) 리더십의 변화 : 거래적 리더십에서 변혁적 리더로


변혁적 리더가 나타나기 전에는 거래적 리더십이 유행했다. 거래적 리더십을 가지고 있는 사람은 어떤 일에 대한 성과나 결과에 대해서 '보상'을 중시한다. 보상을 중시한다는 것은 제대로 성과가 나지 않으면 부정적인 방식으로 보상한다는 것을 뜻한다.

거래적 리더십을 가지고 있는 사람은 관계도 조건적으로 하기 때문에 문제가 생기면 다른 사람으로 교체하는 경향을 보인다.

예를 들면, 부모님들이 수학시험을 100점 맞으면 맥북을 사주겠다라고 하는 것이다. 그러면 아이들은 부모님과 거래적인 관계를 맺게 된다. 무엇을 하면 잘 해주고 잘 못하면 벌을 주는 방식인것이다.

흔히 경영모델에서는 '당근과 채찍'이라고 하는 관점을 많이 쓰는 것을 볼 수 있다. 이것은 교육학적으로 볼 때 '행동주의'로 볼 수 있다. 어떤 사람들에게 자극을 주면 그 자극에 반응한다는 것을 전제로 하는 것이다. 그러니 잘하면 상을 주고 못하면 벌을 준다는 것은 상대방을 조건적으로 만드는 것이다.

이런 거래적 리더는 사람들 내면의 변화와 잠재성을 끌어내지는 못한다. 대부분은 리더십이 원하는 것만 하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성과지표인 KPI는 매우 거래적 리더십에 맞는 방식이라고 할 수 있다.



그렇다면 변혁적 리더십은 어떻게 다른가? 거래적 리더십과 비교해 볼 때 다음과 같은 특징을 보여준다.





2. 변혁적 리더십_외향성 outcome (Bass & Avolio)  




1) Idealized Influence(이상적 영향) : 롤모델이 되고 있는가?


변혁적 리더는 자신의 말과 행동이 일치가 되면서 '존재론적인 모델'이 된다. 의도하든 의도하지 않았든 그 사람의 존재자체만으로도 사람들이 새로운 미래와 변화를 생각할 수 있는 것이다. 그렇게 될려면 '진정 리더십'에서 보는 것과 같이 변혁적 리더 자체가 스스로 변혁적인 내면을 가지고 있어야 하는 것이다. 그래서 이러한 경향이 '카리스마'가 된다. 이것은 변혁적 리더의 내향성의 특징으로 볼 수 있다.

리더가 이상적이며 성취 가능한 비전과 미션을 또한 높은 수준의 기준과 능력을 지니고 있다고 공동체 구성원들이 신뢰하고 있으며, 또한 리더의 자질과 행동의 측면에서 존경받을 만하고 따라서 동일시하 려는 성향을 보여주고 있는가?


독립에 대한 비전을 제시하면서 지금도 여러 사람의 롤모델이 되고 있는 도산 안창호 선생님


2) Inspirational Motivation(영감적 동기부여) : 미래비전에 대해서 동기부여하고 있는가?  


변혁적 리더는 비전과 가치에 대해서 미래를 그릴 수 있게 한다.

대부분 변혁적 리더가 나타나는 상황은 문제해결이 필요한 상황이거나, 식상해진 방식에 진부함을 느끼거나, 변화가 필요한데 아무것도 일어나지 않은 상황이다. 따라서 이러한 상황을 깨기 위해서 변혁적 리더는 구성원들에게 동기부여를 하면서 새로운 미래를 꿀 수 있는 비전을 던진다.

예를 들면 비전 2030이라던지, 글로벌 전략이라던지,하는 것들이다.

리더는 모두가 공감할 수 있는 바람직한 공동체의 목표를 공동체 구성원들이 인식하고 이해할 수 있도록 상징, 메타포 및 정서적 어필(emotional appeal)을 사용하고 있는가?


엘론머스크의 스페이스X 타임라인



3)  Individualized Consideration(개별적 배려) : 다른 구성원들을 돌아보고 있는가?


변혁적 리더는 구성원들에 대해서 개별적인 관심이 많으며, 관심을 넘어서 자아실현과 변화를 어떻게 추구할 수 있는지를 코칭해주는 역할들도 하게 된다.

구성원이 힘들어하는 부분에 대해서 새로운 도전과제를 주거나 해결되지 않은 부분을 해결해주기도 하는 역할을 한다.

공동체 구성원들의 관심사와 욕구, 필요에 관하여 개별적으로 그러나 공평하게 관심을 쏟고 있는가?


이태원 클라쓰에서는 박서준이 김토니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1달동안 전단지를 붙인다. 결국 김토니의 할머니가 거물로 알려지면서 이태원클라쓰가 투자받는 계기가 마련된다.


4)  Intellectual Stimulation(지적인 자극)  : 문제해결을 위한 대안을 가지고 있는가?


변혁적 리더에게 반드시 필요한 것은 구성원들에게 지적인 자극을 제시하는 것이다. 그렇기 때문에 변혁적리더일 수록 더욱 책을 많이 읽고 학습을 다양하게 실천한다.

지적자극은 새로운 아이디, 새로운 방법론을 제시하는 것을 말한다. 따라서 혁신적인 사고와 함께 학습조직을 계속해서 만들어가는 것이 변혁적 리더의 특징이다.

과거로부터의 단절 즉 구습으로부터의 탈피를 강조하고, 공동체 구성원들이 자신의 생각, 가치, 신념 등을 발전시키고 창의적으로 생각하고 행동하여 문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제시하고 있는가?





그외에도 Cascading Effect(폭포효과)를 외부효과로 가지고 온다 : 구성원들의 역량을 증가 시키고 있는가?


변혁적 리더십의 효과성은 단순히 결과물(성과)로만 측정되는 것이 아니라 얼마나 공동체 구성원들을 변혁적 리더로 육성하고 있는가?이다.

변혁적 리더십은 자신이 문제를 해결하는 것과 함께 다른 사람도 함께 문제를 해겨할 수 있도록 영감을 주기 때문에 한 사람이 많은 사람들에게 영향을 준다. 폭포처럼 그 영향력이 위로부터 계속해서 떨어지면서 효과를 미치게 된다는 것이다.

cf. 그에 반해서 다음에 알아볼 서번트 리더십은 지위적으로 아래나 위나 상황에 상관없이 영향을 다방면에 미치는 것을 볼 수 있다. 변혁적 리더의 리더들은 오히려 변혁적 리더를 두려워하거나 부담스러워할 가능성이 많다.




3. Full range leadeship model


bass와  avolio는 2002년에  "full range of leadership model"을 발표한다. 이 논문에서는 거래적 리더십의 3단계와 변혁적 리더의 4단계의 층위를 잘 설명해 주고 있다. 1번부터 가장 빈약한 리더십에서 7번까지 가장 상위적인 리더십이 된다.

1. Laissez-Faire : 자유방임, 수동적, 비관적임
2. Management by exception : 문제가 생겼을 때만 개입
3. Contingent reward  : 거래적리더십의 특징, 보상적 관계
4. Individualised consideration : 개인적인 문제 및 도전과제를 고려함.
5. Intellectual stimulation : 지적인 자극을 제공
6. Inspirational motivation : 영감과 동기부여 제공
7. Idealised influence : 이상적인 마인드와 비전제시







4. 변혁적 리더십_내재성 bass & avolio의 관점을 참조



1) 카리스마

공동체 구성원들에게 비전이나 사명감을 제시하며, 자긍심을 고취시키고는 리더십으로,리더는 그들로부터 존경과 신뢰를 받는 경향이 있다.


2) 개인적 배려

리더가 구성원들에게 개별적인 관심을 보여주며, 그들을 독립적인 존재로 대우하고 지도하며 조언하는 리더십을 말한다.


3) 지적 자극

리더가 구성원들의 이해력과 창의적 사고를 자극하며, 자신을 개발토록 하고, 새로운 신념이나 가치관을 갖도록 하는 리더십을 말한다.


4) 고무적 리더십


리더가 구성원들에게 비전을 제시하거나 그들의 노력과 성과에 칭찬과 격려등을 함으로써 그들의 사기를 진작시켜 업무에 매진토록 하는 것을 말한다. 대체로 카리스마적인 리더십에 비해 우선적으로 일어난다.


5) 상황적 보상


리더와 구성원간의 합의에 기초한 것으로, 리더는 구성원들이 상을 받거나 벌을 피하기 위한 행동 기준이나 원칙을 일러주고, 그에 따른 보상이나 벌을 주는 리더십을 말한다.


6) 예외적 관리

구성원의 성과가 계획된 수준에 이르지 못할 때 리더가 개입하는 것으로, 처벌이나 훈련 등의 강화 방법을 동원하는 리더십을 의미한다.




0. 나오기


변혁적 리더십의 관점에서 다른 리더십들을 비교해 보고, 핵심적인 요소를 살펴보았다. 변혁적 리더는 다시 말하지만 조직이 태동하고 성장하는 시기에 문제를 해결하고 변화를 만들어 가기 위해서 탄생했기 때문에 카리스마도 있고 집중력과 추진력도 있다. 거래적 리더십과 비교했을 때 꼭 필요한 리더십이라고 볼 수 있겠다. 지적인 자극과 영감서린 동기부여를 제시하면서 개인적인 차원에서 고려하고 도전하도록 코칭하는 과정을 통해서 이상적인 영향력을 끼친느 리더십이라고 할 수 있다.


개인적으로 '상황유지 리더십 - 거래적 리더십 - 변혁적 리더십 - 서번트 리더십 - 진성리더십-영적리더십'으로 나름대로의 리더십의 발전과정을 밟아보려고 한다. 정리하는 것 뿐 아니라 나의 상황을 꾸준히 체크하는 가운데 변화를 이끌어가는 것이다.


더욱 전문적으로 MLQ Test를 통해서 변혁적 리더십을 체크해볼 수도 있다. 꾸준히 지적인 자극을 받으면서 새로운 변화를 만들어가는 변혁적 리더가 되길 기대해 본다.




참고 1. 쿠퍼실리테이션 리더십 코스




1회차(3/10)_노예가 주인으로(변혁적 리더십)

 - 거래적 리더십과 변혁적 리더십의 정의와 차이, 양자의 조화를 확인한다.

 - 개인적 배려, 영감을 주는 동기부여 등 변혁적 리더십을 발휘하는데 필요한 스킬과 방법론을 연습한다.


2회차(3/17)_저 좀 도와주세요(서번트 리더십)

 - 리더가 서번트가 되는 역설의 원리를 이해하고 토론한다.

 - 겸손과 집사 등 6가지의 작동 원리를 이해하고, 이를 실현하는 방법을 실습한다.


3회차(3/24)_끝없는 자기 성찰(진정성 리더십)

 - 진정성 리더십의 핵심원리인 자기인식과 균형처리의 개념을 이해한다.

 - 타인과의 싸움이 아닌 자신과의 싸움에서 인지적 편향을 제거하는 방법을 살펴본다.


4회차(3/31)_자발과 동기의 비밀(임파워링 리더십)

 - 권한 위임과 동기부여의 두가지 원리를 이해하고 자기효능감을 학습한다.

 - 통제위치, 효능감, 기대이론, 자율성 등의 연결과 함께 구두설득의 테크닉을 실습한다.


5회차(4/7)_너무 잘나서 문제?(카리스마 리더십)

 - 카리스마의 의미와 종류를 파악하고, 부정적 의미의 근원을 포착한다.

 - 자기가치를 발현하도록 돕는 카리스마의 긍정적인 측면이 발휘되도록 하는 방법을 실습한다.


6회차(4/14)_천국과 지옥 사이(영성 리더십)

 - 일터 영성의 의미를 이해하고, 진정성, 서번트 리더십과의 차이를 확인한다.

 - 공정성의 초월과 내면의 삶에서 발현되는 영성 리더십의 힘을 파악하고 실천방법을 모색한다.


7회차(4/21)_합의를 이루는 힘(참여적 리더십)

 - 자원으로서의 참여와 의사결정 영향력으로서의 참여 특성을 이해한다.

 - 참여와 스펙트럼을 확인하고, 상황에 따른 참여 정도의 효과성을 발휘하기 위한 원리를 체득한다.


8회차(4/28)_리더십 종합과 공유 리더십

 - 수평적 조직문화의 기초로서 1인 소유의 리더십에서 공유 리더십으로의 전환을 학습한다.

 - 유사 리더십과의 비교, 공유 리더십이 효과적인 상황을 이해하고, 필요한 스킬을 실습한다.




참고 2. 다양한 리더십 유형들


변혁적 리더의 약간 다른 정리



참고 3. 우주산업 쌍두마차


아마존은 지금 무엇을 하고 있을까? 제프베조스는 이혼배당금 44조를 제외한 나머지 대부분을 우주산업에 투자하고 있다. 변혁적 리더의 특징을 가지고 있는 제프베조스의 블루오리진에 대한 잘 정리된 영상을 보자.


https://www.youtube.com/watch?v=oe1RDNoTUHk


아마존의 CEO인 제프 베조스는 화성보다는 달과 우주정거장에 힘을 쏟고 있다.



비슷하지만 다른 미래를 그리고 있는 엘론머스크의 삶도 정말 다양한 문제들이 많았지만 지금도 변혁적 리더십을 중심으로 화성으로 갈 준비를 차곡차곡하고 있다.


https://www.youtube.com/watch?v=gY3ooxKWqac&t=1s

테슬라의 스페이스 X는 화성으로 갈 준비를 하고 있다. 변혁적 리더의 특징이라고 볼 수 있다.




참고 4. 조직형성_Tuckman's Team Development Model


Tuckman's Team Development Model출처: https://m.mkexdev.net/433 [박종명의 아름다운 개발 since 2010.06]


1965년, 심리학 교수인 Bruce Tuckman은 'Developmental Sequence in Small Groups'이라는 논문을 통해 Team Development Model이라는 경영이론을 발표했다. 핵심은 조직이 총 5개의 형성과정을 거친다는 것이다.

출처: https://m.mkexdev.net/433 [박종명의 아름다운 개발 since 2010.06]

https://m.mkexdev.net/433




매거진의 이전글 사회혁신 방법론을 연구하다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