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꿈꾸는 곰돌이 Jul 28. 2024

무라카미 하루키 《노르웨이 숲》의 마르크스주의 비평

무라카미 하루키 《노르웨이 숲》의

마르크스주의적 비평


 무라카미 하루키의 대표작 《노르웨이 숲》은 1960년대 말 일본 사회를 배경으로, 주인공 와타나베와 그의 친구들 간의 복잡한 관계와 감정을 탐구한 작품이다. 이 소설을 좌파적 시선에서 인상 비평을 한다면, '쁘띠부르주아 야설'정도로 볼 수 있으나, 그 이상으로 세밀히 분석하면 의외로 사회소설로서의 장점을 발견할 수 있다. 주로 주인공 와타나베 개인의 내면적 고뇌와 상실, 애잔한 사랑을 다루고 있지만, 마르크스주의적 관점에서 분석하면 다양한 사회적, 경제적 요인들이 작품 전반에 걸쳐 어떻게 반영되고 있는지를 살펴볼 수 있다.


 자본주의 사회와 소외


《노르웨이 숲》은 현대 자본주의 사회에서 개인의 소외를 보여준다. 마르크스주의적 관점에서 자본주의는 개인을 사회적 존재로부터 분리시키고, 그 결과로 인간은 자신과 타인, 더 나아가 사회로부터 소외된다. 와타나베는 끊임없이 자신이 속한 사회와 단절감을 느끼며, 이는 그가 삶을 무의미하게 느끼는 주요 원인 중 하나이다.


 주인공의 내면적 갈등은 당시 일본 사회의 급격한 경제 성장과 변화 속에서 젊은이들이 겪는 혼란과 불안감을 반영한다. 전후 한국전쟁 특수에 힘입어 초고속 압축 성장으로 물질적인 호화를 누렸지만,  이와 대비되게 일본 청년의 내면은 갈수록 궁핍해진다. (그래서 한국어판 번역본 제목이 《상실의 시대》가 잘 표현해주고 있다.)

자본주의 사회에서의 경쟁과 성공에 대한 압박은 와타나베와 같은 청년들에게 심리적 부담을 안겨주며, 그로 인해 그들은 정체성과 삶의 목적을 찾기 위한 방황을 하게 된다. 즉, 자본주의의 경쟁은 소외를 낳는다는 불가피한 진실을 와타나베를 통해 총체적으로 보여주고 있다.


계급 갈등과 불평등


소설 속 등장인물들은 각기 다른 사회적 배경과 계급을 대표하며, 이들의 관계는 계급 갈등과 불평등을 드러낸다. 예를 들어, 나오코와 레이코는 정신적 문제로 인해 사회로부터 소외된 인물들로, 이는 사회적 안전망의 부족과 계층 간의 불평등을 상징한다. 이러한 인물들은 자본주의 사회에서 약자들이 겪는 고난과 그로 인한 소외를 보여준다.


와타나베와 그의 친구 나가사와의 관계는 또한 이러한 계급적 차이를 나타낸다. 나가사와는 부유한 가정에서 자라 성공 지향적인 삶을 추구하는 인물로, 그는 와타나베와는 대조적으로 자본주의 사회의 가치를 내면화하고 있다. 나가사와의 행동과 사고방식은 사회적 성공을 중시하는 자본주의적 가치관을 반영하며, 와타나베와의 관계를 통해 이러한 가치관의 부작용을 조명한다.


 물질주의와 인간성 상실


소설에서 자본주의적 물질주의는 인간성과 진정한 관계를 훼손시키는 요소로 나타난다. 와타나베와 그 주변 인물들이 경험하는 정서적 고립과 인간관계의 피상성은 물질적 풍요 속에서 인간적 가치를 상실한 현대 사회의 단면을 보여준다. 이러한 맥락에서, 와타나베의 방황은 단순한 개인적 문제가 아니라, 물질적 가치가 우선시되는 사회적 구조에 대한 반발이자 비판으로 볼 수 있다.


특히, 나가사와는 성공과 권력을 추구하며 물질적 성취를 인간의 궁극적 목표로 삼는다. 그는 이러한 물질주의적 가치관에 충실하지만, 그 결과로 깊은 인간적 고립과 공허함을 경험한다. 이 점에서 나가사와는 자본주의 사회가 개인에게 부여하는 성공의 허구성을 상징적으로 보여준다.


사랑과 관계의 상품화


마르크스는 청년시절 작성한 <경철수고>에서 사랑은 사랑으로 교환되어야만 한다고 말한다. 그러나 자본주의 사회에서 인간 관계가 상품화되는 과정을 비판한다. 《노르웨이 숲》에서 사랑과 인간관계는 때때로 거래처럼 다뤄지며, 이는 자본주의 사회의 영향력을 반영한다. 와타나베와 미도리의 관계는 서로를 진정으로 이해하고자 하지만, 사회적 기대와 개인적 욕망이 충돌하면서 복잡한 양상을 띤다. 이는 자본주의 사회가 인간관계를 어떻게 왜곡시키는지를 보여주는 사례이다.


나가사와의 물화된 연애 방식은 더욱 명백하게 이러한 상품화를 드러낸다. 그는 여러 여성을 대상으로 자신의 욕망을 충족시키며, 사랑을 단지 쾌락의 수단으로 여긴다. 이러한 태도는 인간 관계의 피상성과 상품화를 상징적으로 나타내며, 사랑을 자본주의적 교환 가치로 전락시키는 사회적 현실을 비판한다.


혁명적 가능성과 한계


 마르크스주의는 사회 변혁을 통한 인간 해방을 추구한다. 《노르웨이 숲》에서 와타나베의 방황과 내적 성장은 이러한 변혁의 가능성을 암시한다. 그는 자신이 속한 사회적 구조와 가치관에 의문을 제기하며, 개인적 차원에서나마 변화의 가능성을 모색한다.


 그러나 소설은 궁극적으로 그러한 변혁이 얼마나 어려운지를 보여준다. 와타나베와 그의 친구들은 자본주의 사회의 강력한 영향력과 그에 따른 개인적 한계에 직면하며, 이는 진정한 해방과 변혁이 얼마나 복잡한지를 나타낸다. 따라서 《노르웨이 숲》은 마르크스주의적 이상과 현실의 간극을 드러내며, 독자로 하여금 사회적 구조와 개인적 선택의 관계를 성찰하게 만든다.


 결론


무라카미 하루키의 《노르웨이 숲》은 개인의 내면적 갈등과 상실을 다루면서도, 마르크스주의적 관점에서 볼 때 현대 자본주의 사회의 구조적 모순과 그로 인한 인간 소외, 계급 갈등, 물질주의, 그리고 인간 관계의 왜곡을 탐구하는 작품이다. 와타나베와 주변 인물들의 이야기는 자본주의 사회에서 개인이 겪는 복잡한 문제들을 드러내며, 독자에게 사회적 현실에 대한 깊은 성찰을 요구한다. 이러한 점에서 《노르웨이 숲》은 단순한 청춘 소설을 넘어, 사회적 비판을 담은 작품으로 평가될 수 있다. 톨스토이의 《안나 카레리나》의 자리를, 하루키는 《노르웨이 숲》이 자리잡고 있다고 볼 수 있다.

작가의 이전글 기흥사업장 가는 길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