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김민성 Feb 03. 2016

<내부자들> 권력을 무너트리는 것은 내부고발

철의 삼각모형을 부수기 위해서는 내부 고발제도가 필요하다.


<베테랑>과 같은 이야기지만, <베테랑>보다는 보다 현실적이며 무거운 느낌을 준다. 정치계와 기업 그리고 언론인들이 서로의 이해관계가 맞아 사회의 부정을 저지르고 있다. 이에 대해 한 몫을 잡아보려던, 안상구(이병헌)는 이강희(백윤식)와 거래를 하려 하지만 기업의 깡패들에게 팔이 잘려 나가며, 폐인처럼 살아간다. 연줄이 하나도 없던 우장훈(조승우)은 사울지검 부장검사의 명령에 따라 데선 후보 장필우를 조사하라고 명령을 한다. 우장훈의 경우 출세의 욕구로 불타 그 일을 받아들였다. 이런 스토리로 시작이 되며, 종국에는 우상훈과 안상구는 서로를 도와 부패자들을 무너트리는 이야기로 끝을 낸다. 조금 잔인하고 야한 장면이 많이 나왔지만 정말 재밌게 본 영화이다.


<베테랑>의 한계를 뛰어 넘은 영화


<내부자들>과 당연히, 비교할 수 있는 영화가 <베테랑>이다. 베테랑의 경우 재벌 3세를 이기는데, 하나의 영웅이 등장해서 그 악인을 물리친다. 하지만, 이런 영화가 우리에게 통쾌함을 주기는 하나, 보고 나면, 기운이 쭉 빠질 수가 있다. 대한민국의 꿈을 보여준 영화라고 할 수 있다. 대한민국의 많은 사람들은 한 명의 영웅이 나타나 그 사회를 바꾸기를 원하는 것 같다. 그것을 잘 보여주는 것이 바로 안철수이다. 안철수가 대통령에 나간다고 하기도 전에 그의 지지율이 나타나고, 그의 토크 콘서트가 하늘을 찔렀다. 하지만, 그는 지금 한 명의 정치인일 뿐이다. 한국의 영화들을 보면 <베테랑>이나 <명랑> 등 모두가 한 명의 영웅이 세상을 바꾼다는 모티프에 착안을 하고 있다. 이런 영웅주의가 많은 장점도 있지만 그런 허점이 그 사람의 능력이나 미래상을 보는 것이 아니라 그 사람의 인물상만을 보면서 그 사람의 인물상이 너무 강한 나머지, 그 사람의 단점을 지워버리는 역할을 한다. 하지만 지금의 사회가 복잡해지고, '사악한 문제들'이 나오는 세상 속에서 한 명의 영웅이 세상을 바꾸기란 쉽지 않아 보인다.



정보의 홍수 속의 언론의 횡포


<내부자들>에서는 정치인과 재벌 그리고 언론의 삼각형 관계를 비판한다. 그 중에서, 이 영화의 주된 비판요소는 바로 언론이다. 언론이라는 존재는 시민들에게 사실을 보도하고 사회적으로 문제있는 이슈에 대해서 주의를 환시시키는 역할을 해야한다. 특히나, 지금의 SNS와 소셜 미디어가 발달된 세상에서 언론의 힘은 막강하다. 하지만 국민에서 진실을 밝혀야할 언론이 부패를 하게 되면 사회적으로 어떤 문제를 불러 일으키는지를 보여준다. 조지 오웰의 <카탈로니아 찬가>에서 그의 비판 대상은 바로 전체주의 휘하에 있는 언론이었다. 언론은 어떤 사건에 대해서 시야를 왜곡시켜 다른 방향으로 이끌어가는 힘이 있다. 지금 한국의 언론은 강한 권력을 가지고 있다. 70년대에는 정부의 아래 언론이 있었지만 전두환 정부 이후 정부와 언론은 서로의 힘을 가지며, 권력을 가지게 되었다. 언론의 힘은 사람들을 선동하거나 바보로 만들 수 있다. 하나의 단어로 의미가 확 바뀌기 때문이다. <내부자들>에서 시민들은 수동적인 존재로 나온다. 이런 것은 소셜 미디어에 빠져 있는 시민들에 대한 비판으로 보인다. 이런 대규모 언론들의 횡포를 막기 위해서는 시민들 각각이 언론을 그대로 받아들이는 것이 아니라, 한번씩은 의심을 해보아야 한다.



내부 고발자 제도에 대해...


지금 대한민국에서, 정치인과 언론 그리고 기업의 결탁에 대해 시민들이 대항하기란 쉬운 것이 아니다. 그렇기 때문에 현실적인 방안으로 내부 고발자 제도가 중요하다고 생각이 든다. 내부고발자 제도가 있어야 조직 내부에 대한 경감심을 제고하며, 은폐를 차단할 수 있다. 또한 조직과 시민간의 정보의 비대칭성을 때문에 증거를 잡기 힘들었던 것을 잡을 수 있다. 하지만, 신고자 보호 시스템의 미흡과 제 3의 판정기관의 부재 그리고 사회적 관심이 일시적이여서 내부 고발자 제도는 메리트를 보지 못하고 있다. 우장훈 검사와 안상구의 제보가 이었기에 사회 지도층의 부패를 막을 수 있었다. 여기서 우리가 알아야 할 것은 우장훈은 승진하고 싶은 욕구를 가지고 있었지만 선량한 마음으로 내부 고발을 했다. 하지만, 여기서 제일 중요했던 것은 바로 정치 깡패 안상구의 제보였다. 현실에 있어서 내부 고발자는 선량한 사람일 수도 있지만, 내부에서 이해관계가 틀어져서, 고발하는 경우의 사례가 많다. 그런 경우에 시민들은 고발자의 도덕성에 대하여 비판을 가한다. 하지만, 이런 내부 고발자의 동기가 선량한 마음이 아닐지라도, 정보의 비대칭에 의한 정보를 우리에게 던져준다는 것에 중요성을 맞춰야 한다. 만약, 내부 고발을 해도 사회의 차가운 시선을 보낸다면, 내부 고발제도는 그 실효성을 찾기 어려우며, 그 누구도 내부 고발을 하기가 어려울 것이다. 제일 좋은 그림은 사회 내에서 윤리적 마인드를 가지고 내부 고발을 하는 것이지만, 현실적으로 선량한 시민이 내부 고발을 하는 것에는 그만큼의 개인적 불이익이 발생하기에 쉽지는 않을 것이다. 그렇기 때문에, 내부 고발자 제도를 활성화하기 위해서는 고발한 사람의 도덕성은 사후에 판단을 하고 먼저 그 정보를 받아들이는 것이 중요하다고 본다.


매거진의 이전글 <쿵푸 팬더3> 내 자신을 받아들인다는 것은 무엇인가?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