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유작 Jul 22. 2024

'대서' 절기를 지나며

나의 '성장 통지표' 혹은 '성장통 지표'

  한잠도 못 잔 채 월요일을 맞았다. 아니 사실 주말 내내 잠깐 일어나 먹는 시간을 제외하고는 누워만 지내다가 일요일 밤에 컴퓨터 앞에 앉아 그대로 날이 샌 것이니, 한잠도 못 잤다고 하기엔 찔리는 구석이 있긴 하다. 하지만 누가 뭐래도 주말의 잠은 지난주에 못 잔 만큼을 보충하는 것이니, 그건 밀린 대출 상환에 해당하는 잠이지 미리 저축하는 잠이 아니다. 갚아야 할 빚이 생긴다는 건 평생 구멍을 메우는 삶을 살아야 한다는 뜻이라는 것, 잠의 세계도 돈의 세계와 마찬가지다. 주중에 내 몸뚱이에 진 수면 빚을 청산하기엔 주말의 시간은 언제나 부족하다. 그리하여 늘 아직 갚지 못한 빚 위로 새로운 빚이 얹어지는 월요일은 묵직한 수면 부채감에 짓눌린 채 시작되는 것이다.     


  그렇게 시작부터 한잠도 못 잤다는 거대한 부채감에 짓눌려 둔해진 뇌세포를 커피로 강제로 깨우고는 오늘 방송의 오프닝과 퀴즈 아이템 등등을 물색하려 달력을 보니 오늘이 ‘대서’ 절기란다. 큰 더위. ‘大暑’라는 단순명료한 이름이 굳이 달력 위에서 친절히 안내해주지 않아도 이미 날씨가 우리에게 최선을 다해 이 절기 이름을 알려준 듯하다. 그래서 새삼스러울 것도 없는 절기지만, 그래도 뭔가 뽑아낼 글감이 있을까 해서 포털 검색창에 ‘대서’를 쳐보니 ‘24절기 중 열두 번째에 해당하는 절기’라는 문구에 눈길이 꽂힌다. 이미 6월에서 7월로 넘어올 때 올해의 반이 지나갔다는 충격에 한 번 사로잡히긴 했지만, 1월을 시작점으로 본 한 해의 반과 ‘입춘’을 시작점으로 본 사계절의 절반 지점이라는 건 또 다른 느낌으로 다가오는 시간 감각이지 않은가.    

 

  그러고 보니 주말 사이 가족 단톡방에 조카의 통지표가 올라왔던 게 생각났다. 과목별 ‘평가 결과’란이 ‘잘함’, ‘보통’, ‘노력’ 중에서 전 과목 ‘잘함’에 동그라미가 쳐진 초 아들내미의 성적표를 자랑스럽게 올리며 “우리 때로 치면 올 수”인 거라고 친절하게 설명까지 덧붙여주신 내 오빠의 팔불출미에 ‘엄지 척’ 이모티콘으로 장단 맞춰 주면서, 덕분에 나도 ‘수우미양가’를 벗어난 요즘 아이들의 성적표가 어떻게 생겼는지 알게 되었고, 이 무렵에 초등학생들이 방학을 한다는 것도 알게 되었다. 그리고 무엇보다 그 통지표의 제목이 ‘성적 통지표’나 ‘생활 통지표’가 아니라, ‘성장 통지표’라는 게 신선하게 다가왔다.     


  그래, '성장 통지표'라면 학교를 졸업한 후에도 계속 정기적으로 발행되어야 할 것 같은 이름이 아닌가. 학교를 졸업했다고 우리의 마음 성장이 멈추는 건 아니니 말이다. 어쩌면 시간이 걷잡을 수 없이 빨라진 게 통지표로 매 학기를 정리하던 의식이 사라진 후부터였을지도 모른다. 제때 마디를 그어두지 않으니 정신 차려 보면 몇 년의 시간이 통으로 흘러가 있는 게 아닌가!  그렇다면 24절기의 절반 지점, ‘대서’ 절기에 필요한 세시의식은 차분히 지난 계절을 돌아보며 나의 ‘성장 통지표’를 작성해보는 일이 아닐까?


  그런데 사실 조카의 ‘성장통지표’는 띄어쓰기가 안 돼 있어서 처음 내 눈엔 그게 ‘성장통 지표’로 읽혔었다. 그러고 보면 모든 성장엔 성장통이 따르기 마련이니 '성장 통지표'가 곧 '성장통 지표'인 건지도. 나의 지난 열두 절기 ‘성장 통지표’엔 ‘잘함’보다는 ‘잘 견딤’이라는 표현이 더 잘 어울릴 듯하니 ‘성장통 지표’라 하는 게 더 맞을지도 모르겠다.      


  하지만 ‘성장 통지표’든 ‘성장통 지표’든, 그게 뭐가 중요하겠는가. 우리에게 중요한 건 예나 지금이나 ‘통지표’가 아니지 않은가. ‘통지표’와 함께 오는 ‘방학’이 핵심이지.

  그래, 맞다. 1년 중 가장 더운 시기라는 이 절기에 우리 모두에게 필요한 건 결국 ‘여름 방학’인 것이다. 매일 반복되던 일상과 책무감에서 잠시나마 해방되어 일단은 설레고 무작정 신날 수 있는 시간. 물론 개학이 다가올 때쯤 밀린 방학숙제가 얼마나 크고 묵직한 부채감으로 다가오는지를 모르는 바는 아니지만, 그래도 일단은 숙제를 미룰 수 있다는 해방감이 훨씬 더 크고 짜릿한 행복이지 않았던가. 지금까지도 ‘여름 방학’이라는 말에 일단 설렘 세포부터 자동으로 깨어나는 걸 보면 분명한 사실이다. 그래서 사람들은 학교를 졸업한 후에도 더운 계절이 돌아오면 일단 어디론가 떠날 계획을 세우는 게 아닐까? 돌아온 후에 더 큰 부채감이 우릴 기다리고 있을지라도, 일단은 이 여름을 즐기라고, 그래야 무사히 건너갈 수 있다고. 24절기를 배우기 이전에 해마다 몸과 마음에 새겨진 ‘여름 방학’의 추억이 우리에게 먼저 가르쳐준 진리가 아니었을까 싶다.

작가의 이전글 버튼만 누르면 글이 나오는 자판기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