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SUMMER Jan 21. 2016

뉴에서 올드, 올드에서 뉴?

넥스트 저널리즘 스쿨- 오마이뉴스 이한기 콘텐츠 실험실장

오늘의 세 번째 강연자는 오마이뉴스의 콘텐츠 실험실을 운영하고 있는 이한기 실장. 그는 오마이뉴스의 출판 교육국과 모바일 SNS 담당국을 만들었고, 오마이뉴스의 새로운 실험을 위해 콘텐츠 실험실 PICLE을 만들었다. 오마이뉴스는 온라인 매체로 시작했다. 사실상 디지털 환경이 본래 오마이뉴스가 태어난 '판'인 것. 김국진이 '오 마이 갓'을 외치던 시절부터 온라인에 기사를 올리기 시작한 매체다. 이 매체는 변화하는 판 위에서 어떻게 적응하고 있는가. 기대가 컸다. 


이한기 실장은 오마이뉴스의 '시작점'에서부터 이야기를 시작했다. 정치인을 기다리면서 문 앞에서 13시간을 기다리고, 이 과정을 스포츠 뉴스처럼 정치 해설 기사로 내보냈다. 이 시도를 처음 해본 것이 오마이뉴스라는 이야기다. 오마이뉴스가 '처음'이라는 그 자부심이 느껴졌다. 오마이뉴스가 탄생하던 시기에는 확실히 그 문법도, 오마이뉴스라는 매체의 존재 자체도 혁신적인 것이었다. 오마이뉴스는 탄생 과정에서 외신의 많은 주목을 받았는데, 사람들의 자발적인 후원으로 유지되고, 시민이 기자가 된다는 모토 때문. (모든 시민이 기자가 된다니 얼마나 간지 나는가.)


그러나 지금도 오마이뉴스가 가장 '혁신적'인 매체인가 하면 나뿐만 아니라 많은 이들이 '아니'라고 답할 것이다. 이한기 실장은 "오마이뉴스는 왜 현재 정체되어있는가"에 대해 이렇게 이야기했다.


"무조건 홈런만 칠 수 있나요." 
"다만  끊임없이 변화해야 한다는 건 내부에서 갖고 있습니다."

실제로 오마이뉴스는 변화하는 미디어 환경에서 끊임없이 새로운 기사 형태를 시도하고, 품을 들이고 있다. 강연자가 소개한 몇 가지를 이 곳에 소개한다. 


1. 세월호 인터랙티브 기사 : 죽은 자의 기록, 산자의 증언.

세월호 참사를 공간에 따라, 시간에 따라, 배가 기울어 가는 정도에 따라 재구성한 콘텐츠다. 형식의 화려함보다 내용적 입체성에 더 주목했다고 이한기 실장은 설명했다. 

세월호 참사를 공간(도면)에 따라, 시간에 따라, 배 기울기에 따라 재구성했다. 내용적 '입체성'에 주목했다고. 

2. 아이들의 방. 제안하고 세월호 유가족과 함께. 

세월호 유가족과 함께한 기록이다. 떠난 아이들의 방을 유가족의 편지, 아이들의 일기 등과 함께 살펴볼 수 있다. 

그 밖에 국정원 대선개입 관련된 건과, 유우성  스토리강기훈 23년 등은 역사적 기록을 담았다.

"이 사람들이 어떤 일을 했는지 끝까지 남겨둬야 한다."

이한기 실장은 이렇게 이야기했다. 최근의 프로젝트로는 청년들의 시각에서 부동산 문제를 풀어낸  실전 셋방 찾기   프로젝트가 있다. 링크 걸어놨으니 관심이 있으신 분들은 하나씩 살펴보시면 좋겠다. 총선 버스 프로젝트도 소개했다. 여러 후보들 만나면서 이 버스 안에서 생중계를 하는 식의 시도였다. 이주연의 PT 뉴스. 는 이슈를 쉽게, 프레젠테이션 형식으로 이주연 기자가 이슈를 씹어주는 기획이다.  

사례를 소개받으면서 든 생각.

정말 품 많이 들었겠다

그리고 그 뒤에 이어서 든 생각.

근데 과연 저걸 누가 볼까

역사적 기록으로서, 그리고 완성된 저널리즘 콘텐츠로서 가치를 높게 평가할 수 있겠지만, 오마이뉴스가 내놓은 실험의 완성 물든 좀 무거워 보였다. 콘텐츠의 유통과정과 확장성에 대한 고민이 더 필요해 보였다. 누가 PPT라는 형식을 신선하게 느낄까? 누가 과연 저 홈페이지에 들어가서 40초의 로딩을 기다리며 사진 위에 얹힌 수많은 글을 읽는가? 그 홈페이지에 들어가기까지의 경로, 그 홈페이지에 들어가서 머무르는 시간, 그걸 소비하는 장소와 '누가' 읽는지에 대한 타깃에 대한 고민. 그런 것이 있었다면 더 많은 사람들이 이 좋은 기사들을 더 쉽게 접할 수 있지 않았을까. 


그러나 한계는, 계속 '로딩 중'이란 것. 강연 중에도 10초-20초 로딩 중인 덩치 큰 데이터,영상의 문법. '접근성'과 '확장성'과 '유통'에 대한 고민이 필요할 듯 싶다.  


또 하나. '오마이스타'에 대해서는 짧게 소개가 됐다. 이한기 실장은 "부모와 자식이 같이 봐도 창피하지 않은 연예매체는 없을까" 하는 생각을 했다고. 이 연예매체인 쇄골도, 뒤태도, 비키니도 없다. 그는 어딘가에선 이런 실험도 해야 하는 것 아니냐고 이야기했다. 또 한 번 내가 느낀 것은 그 기사를 누가 소비할 것인지에 대한 '타겟팅'의 불분명성이다. 오마이뉴스는 과연 누가 이 기사나 브랜드를 소비하길 원하는지 분명하게 느껴지질 않는다.


또, '당위'가 '자연스러운 선호'에 앞선다는 느낌이다. 

이런 것도 있어야 하지 않나? 이런 기록을 해야 하지  않나?라는 것. 

어제 토론 주제로 우리 조는 "좋은 기사가 안 팔린다는 말은 진짜 맞는 말인가"에  대해서 이야기했는데,

좋은 기사에 대한 정의부터를 다시 함께 생각해야 한다는 것이 우리의 결론이었다. 좋은 기사는 이제 단순히 현장을 밀도 있게 취재하고 좋은 글을 쓰는 것으로 만들어지지 않는다. 전달의 과정까지, 독자에게 도달해 소비되는 그 순간까지 함께 고려해야 한다. "좋은 기사를 만들어도 사람들이 읽지 않는다"는 말은 아무 발전도 가져오지 못할 것이다. 


피클: Pick up + article,

오마이뉴스의 새로운 실험실

피클은 재미, 정보 큐레이션을 위한 새로운 브랜드다. 페이스북 페이지가 있다. PICLE. 최근 가장 조회가 많았던 것은 표창원 소장이 야당 정치인이란 어때야 하는가에 대해 트윗한 것이었다고. 이 한 컷의 사진이 도달률이 80만을 넘어섰다고. 피클에서는 정치 사회 영역에서의 콘텐츠는 최소한으로  큐레이션하고 재밌고 생활 정보 형태의 콘텐츠를 위주로 하려고 하고 있다. 이한기 소장은 이 곳을 오마이뉴스의 새로운 실험실, 리트머스 시험지로 이야기한다. 


글쎄. 


내 시점에선, 뉴였던 오마이뉴스가 이제는 올드가 된 것 같은 느낌이다. 오마이뉴스는 과연 다시 뉴가 될 수 있을까? 다양한 시도가 이어지고 있으니 기대해볼 만한 부분들이 있다. 강연의 마지막 부분은 요기 베라의 말을 인용되었다. 끝날 때까지 끝난 게 아니라는 것. 


오마이뉴스의 의미 있는 실험이 계속 이어지길 기대해본다.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