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근대 소설사 강의를 시작하면 대개 처음으로 만나게 되는 작품이 이인직의 「혈의 루」(1906년)다. 대부분 학생들이 제목은 알고 있지만 막상 이를 읽어본 학생은 드물다. 읽어보라고 선뜻 권하기도 어려운 게, 어법도 다소 낯설고 크게 재미도 없기 때문이다. 그럼에도 앞 시대의 고소설 가령 「심청전」이나 「흥부전」 등이 시대 배경도 불분명하고 그것이 작품 안에서 그리 중요한 기능을 하지 않는 것과 달리, 「혈의 루」는 당시로부터 10여 년 전에 일어났던 청일전쟁(1894년)이 배경이 되고, 이 전쟁이 주인공들의 운명을 크게 바꿔놓기 때문에 제법 근대 소설답다.
청일전쟁은 일본과 청나라가 벌인 전쟁이지만 그 전쟁터는 어이없게도 조선 반도였다. 그 때문에 애꿎게도 우리 백성들이 큰 참화를 입는다. 일본이 충청도 아산 앞바다에 와있던 청국 함대를 선제 기습하면서 시작된 이 전쟁은 육지에서는 성환, 평택 전투로 이어진다. 어찌나 이 전투가 격렬했는지 “평택이 무너지나 아산이 깨어지나 해보자”라는 속담이 나올 정도였다. 여기서 패한 청나라 군대는 북쪽으로 퇴각하여 평양에 집결하여 일본과 다시 결전을 벌이는데 청일전쟁 중 가장 격전지였던 평양성이 바로 「혈의 루」의 무대가 된다.
「혈의 루」 서두에는 모란봉이 포연에 싸이고 평양 성내는 화약 내와 시체로 가득 차서 주민들은 모두 흩어지고 도망치는 아비규환의 장으로 그려진다. 그래서 백성들은 청과 일본을 끌어들여 나라를 이 꼴로 몰아넣은 양반 지배계급에 대한 격렬한 분노를 드러낸다. 그중에서도 ‘민영준’(영휘)이라는 자를 대놓고 욕을 해댄다. 민영준은 평안감사를 지냈을 뿐 아니라, 동학전쟁 당시엔 병조판서로 청나라 군대를 불러들여 청일전쟁의 빌미를 만든 장본인이다.
황현은 『매천야록』에서 민영준을 ‘금송아지 대감’이라고 불렀다. 사연인즉슨 그가 평안감사로 도임한 지 한 달이 못돼 임금에게 금으로 송아지를 한 마리 만들어 수레에 태워 바쳤다는 사연 때문이다. 그런데 막상 이를 받은 임금은 얼굴빛이 변하여 꾸짖어 말하기를 “이전의 감사들은 참으로 큰 도둑이다. 관서지방에 그처럼 금이 많거늘 지들 혼자 다 차지했단 말인가”라고 했다 한다. 다 전해지는 이야기이기는 하나, 우리 학과 선생들이 정년 퇴임하는 선생에게 황금열쇠를 해줄 때 늘 걷은 돈이 부족해 면도칼 같은 황금열쇠를 해주는 걸 감안할 때 ‘금송아지’는 대단한 것이라 아니할 수 없다.
민영준은 ‘금송아지 대감’이라는 별명뿐 아니라 권력을 이용해 백성들의 논밭과 재산을 수탈해 ‘토지 대왕’이란 별명도 갖고 있다. 당시 어린아이들에게 조선 제일의 부자가 누구냐고 물으면 ‘이건희’ 아니, ‘민영휘’라고 대답했다고 한다. 이런 민영휘가 부정축재의 죗값을 탕감받기 위해서였는지 학교를 하나 세운다. 학생들에게 이 학교가 현재 서울 강남에 위치한 모 고등학교라고 얘기해주면 민영휘의 이름을 떠올려 더러 맞히기도 한다. 바로 휘문고등학교가 그 학교인데, 이 학교에 가보면 학교 설립자 민영휘 동상이 우뚝 서있다.
「혈의 루」를 강의할 때마다 저이가 저렇게 대접을 받고 저곳에 서있어야 할 인간인가라는 생각이 들기도 하지만, 교정 한편에 휘문 출신 김영랑의 시비 <모란이 피기까지는>이 있는 것을 보노라면 그이가 학교를 세웠기에 저런 걸출한 시인도 나왔던 것이 아닌가 하는 생각도 한다. 그뿐인가! 우리 현대시사에서 ‘노래로는 영랑, 언어로는 지용’이라는 말도 있는데, 시인 정지용은 휘문 장학금으로 일본 유학을 다녀오기도 했다. 젊은 시절에는 학생들에게 강의할 때 민영휘 같은 이를 분노의 어사로 비판했는데, ‘강도 귀족(robber baron)'이라 불리는 록펠러나, 별 악착같은 방법을 다 써서 돈을 번 카네기 등이 그 돈으로 문화재단 또는 유수의 대학 등을 세웠으니, 한 인간의 공과를 평가하는 것이 쉽지 않은 일인 듯싶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