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거 한국의 코미디 콘텐츠는 방송이 거의 유일한 플랫폼이었고, 코미디언(개그맨)이라 불렸던 크리에이터들은 방송사 소속으로만 존재 가치를 보여줄 수 있었다. 그런데 이제는 방송이 서서히 콘텐츠 소비 플랫폼으로서의 막강한 영향력을 잃어가면서, 코미디 콘텐츠를 만드는 창작자들에게는 다른 선택지를 찾아야만 하는 세상이 되어버렸다. 게다가 방송의 트렌드가 리얼리티 프로그램으로 넘어가 버려, 코미디 콘텐츠가 젊은 소비자들에게 외면 받는 환경으로 변했다. 이런 악조건 속에서도 <피식대학>은 유튜브 채널 구독자 150만 명을 확보하며 코미디 콘텐츠의 가능성을 보여주고 있다. 현재 가장 앞서서 유튜브 코미디 콘텐츠의 트렌드를 주도하고 있는 <피식대학>은 어떤 매력으로 성공하게 되었을까?
방송사의 코미디 프로그램들이 하나둘 사라지자, 신인 개그맨들은 더 이상 방송사의 코미디 프로그램을 통해 인지도를 높이는 것이 불가능해졌다. 이제 그들은 방송의 대체재를 찾아서, 자신들의 아이디어로 직접 촬영하고 편집하여 영상 콘텐츠를 제작하기 시작했다. 그리고 이러한 간절함 속에서 유튜브가 새로운 코미디 콘텐츠 플랫폼으로 떠오르게 된다.
누구나 쉽게 도전할 수 있지만 아무나 성공할 수는 없는 유튜브. 간절했던 코미디 콘텐츠 창작자들에게 유튜브는 기회의 땅으로 받아 들여졌지만, 성공적인 결과를 만들어낸 사례는 소수에 불과하다. 성공은 늘 그렇듯이 오랜 기간의 시행착오를 버텨내는 사람들에게만 미소를 보여준다.
<피식대학> 역시 쉽게 성공할 수는 없었다. 대중적인 인지도가 거의 없었던 그들은 오로지 콘텐츠 자체의 매력으로만 승부를 걸어야 했다. 유튜브 도전 초기에는 떠오르는 아이디어를 무조건 시도하며 수많은 시행착오를 거쳐야 했다. 가능성이 없어 보이던 오랜 기간의 시행착오를 이어오던 그들에게 갑자기 탈북자 콘셉트의 몰카가 인기를 끌게 되면서 서서히 빛이 보이기 시작했다. 콘텐츠의 힘으로 인지도를 극복하는 계기가 만들어지게 된 것이다.
<피식대학> 유튜브 채널의 대표 콘텐츠는 ‘한사랑 산악회’와 ‘B대면 데이트’ 그리고 ‘05학번이즈백’이다. ‘한사랑 산악회’는 산악회에 소속되어 있는 중년 아저씨들의 이야기로 진행되는 시트콤으로, 주변에 정말 있을 법한 아저씨들의 모습을 제대로 보여준다는 점이 화제를 만들며 큰 인기를 끌었다. 여기에 ‘세계관 놀이’라는 젊은 층의 핫한 놀이 문화를 대표하는 콘텐츠로 소개가 되면서 언론에서의 관심까지 받게 되었다.
방송사 콘텐츠가 가진 제약을 벗어난 캐릭터, 그 캐릭터에 대한 아주 디테일한 묘사 그리고 흥미로운 세계관 등 새로운 시도로 젊은 소비자들의 사랑을 받으며 유튜브에 딱 맞는 미래 지향적 콘텐츠로 화제를 만들어냈다. 그리고 ‘세계관 놀이’와 ‘부캐 문화’ 같은 젊은 세대들의 문화가 <피식대학>의 콘텐츠와 묘한 화학적 결합을 만들어내며 시대를 대표하는 콘텐츠로까지 해석되기도 했다.
‘B대면 데이트’와 ‘05학번이즈백’ 그리고 ‘한사랑 산악회’ 등 <피식대학>의 콘텐츠는 별개의 세계관을 바탕으로 전개되는 듯하지만, 각각의 주인공들이 혈연 및 친분관계인 것으로 설정되면서 ‘피식대학 유니버스’까지 구성하고 있는 중이다. 유튜브에서 인기가 높아지자 방송이나 광고 쪽의 출연 요청이 이어지고 있는데, 이들은 방송과 광고에서도 설정된 캐릭터와 세계관을 이어가며 현실에서도 세계관 놀이를 즐기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B대면 데이트’는 코로나로 인해 사적 모임이 어려워진 상황에서 아이디어를 얻어 만들어진 콘텐츠다. 다단계 직원, 카페 사장, 중고차 딜러, 언더그라운드 래퍼, 재벌 3세라는 가상의 다섯 남자들과 비대면 소개팅을 한다는 설정을 가지고 있다. 소개팅녀의 시점에서 각 인물들과 영상통화를 하는 방식으로 진행된다. 각각의 캐릭터들은 여자들이 질색할 연기를 보여 주는데, 독특하게도 이 콘텐츠의 캐릭터들을 사람들은 공감이 간다며 좋아해 주었다. 특히 최준 카페사장 캐릭터가 묘한 매력이 느껴진다는 반응을 얻으며 폭발적인 사랑을 받게 된다. 극단적인 느끼함과 능글맞음을 표현한 캐릭터지만 무슨 일인지 젊은 콘텐츠 소비자들은 그에게서 매력이 느껴진다고 하였고, 이러한 현상은 ‘준며들다(최준에게 스며들다)’라는 유행어까지 만들게 된다.
그리고 이런 인기 캐릭터인 최준을 가져다가 ‘최준의 니곡내곡’이라는 콘텐츠까지 만들어낸다. 가수를 초대하여 해당 가수의 대표곡을 최준이 함께 부르는 콘텐츠로, 초대 가수의 원곡보다도 최준과의 듀엣 곡이 더 사랑을 받는 기현상을 만들어내며 지금은 가수들이 서로 출연하려고 하는 유튜브 콘텐츠가 되었다.
콘텐츠 소비자들의 기호는 끊임없이 변하고 있다. 과거에 사람들을 웃기고 울렸던 것이 오늘은 아무런 반응을 받지 못하는 것에 콘텐츠 창작자들은 당황하지 않아야 한다. 어제와 다른 오늘의 반응을 당연한 것으로 여기며 끊임없이 아이디어를 내고 새로운 웃음과 감동을 찾아내는 것이 콘텐츠 창작자 특히 웃음을 만드는 사람들에게 주어진 역할이다. <피식대학>의 도전자들은 변화하는 젊은 소비자들의 흐름을 잘 찾아내서 성공했다. 그리고 끊임없이 새로운 캐릭터와 세계관을 만들어내며 그들과 호흡하고 있다. 그것이 <피식대학> 콘텐츠가 사랑받는 비법이라 하겠다.
< 고PD의 웹콘텐츠 읽기 >
1. 공부왕 찐천재
2. 슈카월드
3. 피식대학
고찬수 님이 브런치에 게재한 글을 편집한 뒤 모비인사이드에서 한 번 더 소개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