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글쎄요 Aug 02. 2018

오사무는 말했다 <어느 가족>

고레에다히로카즈 2018 작품








책임지겠다는 말을 쉽사리 내뱉기 어렵다.
동시에 누군가 나를 책임 줬으면 좋겠는 마음이 솟구치기도 한다.
나에게 ‘어느 가족’은 그런 영화로 다가온다.
 














마트에서 생필품을 훔치는 ‘오사무’와 ‘쇼타’
‘하츠에 시바타’(키키 키린)의 연금을 훔치는 ‘오사무’와 ‘노부요’
그리고 다른 가정에서 훔쳐 온 ‘유리’’등 죄다 어딘가에서 훔쳐 온 것들이 모여 꾸역 꾸역 뭉쳐있다.
‘원래부터’ 그들에게 주어진 것은 전혀 없는 영화 속 설정은
일반적으로 우리가 받아들이는 가족의 존재와 의미에 대해 비틀고 싶은 감독의 시선이다.
 








고레에다 히로카즈는 전작 ‘걸어도 걸어도’.’아무도 모른다’,’그렇게 아버지가 된다’등을 통해
일반적이지 않은 가족에 대해 다뤘다.
그중 하나인  ‘그렇게 아버지가 된다’는 그동안 자신의 아이라고 믿어왔던 아이가
(산부인과에서 바뀐 ) 남의 자식이라는 사실을 알았을 때,
그들은 가족이 될 수 있을까? 어떤 아이와 살 때 그들은 가족이 될 수 있을까의 대한 물음을 던진다.
 
이러한 물음은 어느 가족에서도 이어진다.
영화 중반부,  ‘아키 시바타’는‘오사무’에게 “형부는 언니랑 언제 섹스해?”라는 질문을 하는데
 ‘오사무’는 “우리에게 그런 건 필요 없어^^”라고 다소 싱겁게 대답해버린다.
후반부로 치달을수록 ‘오사무’와 ‘노부요’는 살인의 공범이니까,  ‘하츠에’가 ‘아키’를  데리고 산 이유는 돈 때문이며  경찰서에 잡힌 ‘쇼타’를 피해 도망가는 결국 그들이 모여 있는 이유는
피가 섞인 진짜 가족이 아니잖아라고 말할 수 있다.
하지만 언젠가 그들은 섹스를 하며 사랑을 나눴고 서로의 마음을 진하게 공감하기도 하고
진짜 사랑하면 때리지 않고 안아준다는 걸 알려주기도 한다.
사회가 쉽게 정의 내린 진짜가 아닌 걸로 가득 차있는 집에서 그들은 그렇게  감정을 공유했다.
 






이렇게도 가족이라는 건 복잡하다. 서로 필요에 의해서 존재하기도 하고, 때론 존재 자체가 힘이 되기도 하며 짜증이 나기도, 사랑스럽기도 한,  그 모든 감정들이 뒤엉킨다.
가족이라는 틀이 짐덩이 처럼 다가와 오히려 낯선 사람에게 나를 책임지라고 애원하기도 한다.
단순히 피가 얽혔다는 이유로 자신에게 폭력을 행사하는 엄마에게 돌아가야 하고
피가 섞이지 않았다는 이유로 엄청난 사랑이 아무것도 아닐 수 없다는 것이다.
그렇게 감독은 가족의 의미를 해체시키는 동시에 새로운 의미로 봉합시킨다.
 




다시 앞으로 돌아가 책임은 나를 두렵게 만든다.
하지만 누군가를 책임지고 싶은 불꽃같은 감정은
나를 가족이라는 집단에 속하게 할 것 같다.
그것이 피로 얽혀있는 가족이든, 또 다른 의미의 어느 가족이든.
잔뜩 엉켜버린 나의 감정을 표현한 이 집이 좋았다.

아빠든, 아저씨든 그들의 관계는 차갑지만 따뜻하다.

작가의 이전글 레이디 버드는 팝콘 같은 영화다.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