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필로소피아 Dec 23. 2023

사회초년생을 위한 퇴직연금 기초상식 뽀개기

DB형? DC형? 어떻게 투자하면 좋을까

처음 회사에 입사하게 되면 대부분의 사회초년생들은 회사생활에 적응하느라 정신이 없을 것입니다. 이 정신없는 와중에 정신줄 단단히 매고 입사 한두 달 내에 결정해야 할 것이 나의 퇴직연금운영방식입니다. 한 시간만 투자하면 모두 다 할 수 있습니다. 그러니 미루지 말고 꼭 제때 퇴직연금운영방식을 정하시길 바랍니다. 비정규직도 내가 지금 일하는 회사에서 이 혜택을 받을 수 있는지 반드시 알아보세요. 비정규직이라고 무조건 이 혜택을 못 받는 것이 아닙니다.


퇴직연금제도을 검색 해보시면 이 두 가지 단어를 보게 될 겁니다: (1) DB (Defined Benefit) (2) DC (Defined Contribution). 이 두 종류에 포함되어 있는 "D"는 "Defined", 즉 무엇인가가 "미리 정해졌다"라는 뜻을 내포하고 있습니다. 뒤에 단어가 다르지요? 하나는 우리가 요즘 흔히 말하는 회사에서 주는 "베네핏", 즉 퇴직급여가 확정되었다는 것이고 다른 하나는 회사가 "기여"를 하는 금액이 정해졌다는 것입니다. 회사가 이 DC형과 DB형을 둘 다 제공한다면 우리는 이제 이 둘 중 하나를 선택해야 합니다. 어떻게 선택하는 것이 좋을까요?


DB (Defined Benefit): 확정급여형

DB제도는 "내 퇴직금이 미리 정해져 있다"라고 생각하면 쉽습니다. 퇴직금은 직원의 퇴직 시점의 평균임금과 근속연수에 따라 이미 정해져 있는 산식을 이용해 계산합니다. 당연히 내가 지금 있는 회사에서 오래 일할수록, 돈을 더 많이 받을수록 퇴직금이 늘어납니다.


"나는 이 회사에서 임원으로 승진하여 뼈를 묻을 것이고 자산운용엔 관심이 없다"라는 생각이 있다면 DB형을 고려해 볼 만합니다. 그렇지만 미디어에서 다루는 MZ세대들은 자기 직장에 뼈를 묻을 생각은 하지 않는 것 같습니다. 필자가 가르치는 학생들도 으레 첫 직장에서 몇 년 일하다가 이직할 생각을 합니다. 그래서 DB는 빠르게 넘어갑니다.


DC (Defined Contribution): 확정기여형

DC제도는 "내 회사가 연간 내 퇴직연금에 납입해 주는 금액이 정해져 있다"라고 생각하면 됩니다. 퇴직금이 정해져 있는 것이 아니라 퇴직금을 만들기 위해 현재 기여하는 금액이 정해져 있는 겁니다. 한국에서는 회사가 직원의 연간 임금총액의 1/12 이상에 해당되는 돈을 직원이 정한 퇴직연금계좌에 이체합니다. 이 돈을 "부담금"이라고 합니다. 난 12개월 일하지만 결국 회사에서 받는 돈은 13개월어치입니다. 그러니까 무조건 퇴직연금을 해야 합니다. 그리고 퇴직연금에 투자하는 돈은 나중에 은퇴 후 돈을 수령할 때까지 세금을 내지 않습니다.


회사는 기여만 하고 운영은 근로자가 해야 합니다. 결국 나의 투자성과에 따라 퇴직할 때 받는 퇴직급여의 크기가 달라집니다. 그래서 이 리스크를 꺼려하는 사람은 DB형을 선호합니다. 적어도 DB형은 내가 산식으로 계산을 할 수 있으니까요. 하지만 평균적으로 요즘 MZ세대들의 마인드에는 DC형이 맞다고 봅니다. 길게 봐서 DB형보다 수익률도 더 좋을 수 있고요.


필자 개인적으로는 미니멀하게 운영하는 방법을 선호합니다. 다만 한국은 법적으로 퇴직금의 70%만 주식에 투자할 수 있고 나머지 30%는 채권에 투자해야해서 어쩔 수 없이 두 가지의 금융상품을 갖고 있어야 합니다. 핵심은 낮은 수수료의 금융상품에 투자하는 것입니다. 투자는 결국 개인의 선택이나 필자가 선호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미니멀 DC형 운영방법 4단계

1. 회사에서 지정한 증권사 중에 미국 S&P500 ETF와 한국장기국채 ETF가 있는 곳에 계좌를 연다.

회사가 나에게 준 퇴직연금운용선택지를 보면 은행, 증권, 보험사가 있을 수 있다. 이중 한국에서 ETF를 거래할 수 있는 곳은 증권사뿐이다. 현재 한국에서는 ETF가 수수료가 제일 저렴하다.

글 업데이트: 수수료를 잘 본다. 한국증권상장ETF는 숨은 보수 (기타비용)가 있다! 그러니 웹사이트에 공지되어 있는 총보수만 믿지 말고 반드시 ETF투자설명서를 열어서 "총보수/비용"이 몇퍼센트인지 봐야한다. 웹사이트에 총보수가 0.07%라고 공시되어 있어도 기타비용까지 합치면 0.1%가 넘기 때문이다.

30년 국채가 장기국채이다.

2. 회사가 언제 부담금을 이체하는지 알아본다. 어떤 회사는 1년에 한 번 이체해주기도 하고, 어떤 회사는 매달 나눠서 이체해주는 곳도 있다. 회사가 돈을 이체하는 시기에 맞춰서 어떻게 투자할지 결정해야 하기 때문에 꼭 알아보고 핸드폰 달력에 기록해 둔다.

3. 적립금의 70%는 미국 S&P500 ETF에 넣고 나머지 30%는 한국 국채 ETF에 넣는다.

배당금이 자동으로 재투자 되는 ETF가 있다면 거기에 넣는다. "TR"이 붙은 ETF가 배당금 자동 재투자 상품이다.

주가지수추종 ETF가 무조건 수수료가 제일 저렴하다. 증권회사에서 별로 할 일이 없기 때문이다. 하지만 장기투자를 했을 때 이 수수료도 저렴한 지수투자가 수수료 비싼 액티브 펀드 수익률을 이길 확률은 8-90%다 (링크).

한국 국채는 안전자산이다. 한국 정부가 부도나면 그땐 퇴직금이 문제가 아니다.

미국 전체채권인덱스를 추종하는 ETF를 살 수도 있으나 내가 알기로는 한국 증권회사 연금에는 이 상품이 없다.

4. 회사를 퇴직할 때까지 (3) 번을 반복한다.


회사를 퇴직하면 IRP형으로 이전하기

IRP는 Individual Retirement Pension의 약자로 근로자가 퇴직 또는 이직 시 받는 퇴직금일시금을 수령하는 계좌입니다. 증권회사에 IRP를 열고 DB형이든 DC형이든 퇴직금을 이 IRP계좌로 옮겨서 다시 저 위의 미니멀 운영방법 (3)의 방식으로 돈을 분배해 놓으면 됩니다.


DC형 퇴직연금계좌를 열면 다양한 금융 상품의 종류에 순간 압도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수수료" 이 한 단어만 기억하세요. 수수료가 가장 낮은 것이 지수추종 ETF일 확률이 높습니다. 그리고 웹사이트에 공지되어 있는 총보수만 믿지 말고 반드시 ETF투자설명서를 열어서 "총보수/비용"이 몇퍼센트인지 보십시오. 총보와 기타비용을 합친 수수료가 낮은 ETF를 선택하는것이 좋습니다.


매거진의 이전글 오늘의 3,600만원을 미래의 4억원으로 불리는 방법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