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매거진 뒷모습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이한규 Oct 20. 2020

창녀의 섬이라고 그녀는 자신의 조국을 일컬었다

Havana, Cuba

Puta Isla, 창녀의 섬이라고 그녀는 자신의 조국을 일컬었다. 오래전 아바나의 영광은 쇠퇴한 지 오래였고, 섬에는 창녀와 도둑만이 가득했다. 처음 섬에 발을 디뎠을 때 느꼈던 이질감을 아직도 잊지 못한다. 1960년대에 멈춘 섬은 문맹과 빈곤을 탈출해 전 국민에게 평등을 선사했지만 남은 것은 가난뿐이었다. 모두가 평등하게 가난한 섬에서 쿠바의 젊은이들은 꿈을 잃고 방황을 했다. 그들에게 쉬이 주어진 것은 자신의 몸, 혹은 더 나아가 영혼을 파는 것뿐이었다. 항상 미소를 품었던 그녀는 어느 날 어머니와 어린 동생을 뒤로 한 채 일본으로 떠났다. 그녀의 결혼 소식을 들었을 때, 나는 기쁘기보다는 한참, 마음이 멍해졌다.


처음 아바나에서 한 것은 매일의 말레콘(방파제)을 바라보는 것이었다. 아바나 서쪽 해안에는 바다를 따라 긴 방파제가 세워져 있었는데, 그 길이가 도시의 서쪽 바다를 다 감싸고도 남았다. 나는 늦은 아침 집을 나서 말레콘으로 향했고, 앞집의 피자 가게에서 삼 백 원이 채 안 되는 피자를 입에 물고 방파제에 앉았다. 방파제에 앉아 있노라면 다양한 인간 군상과 함께 60년대의 차들을 온종일 구경할 수 있었다. 무선 인터넷이 전무했던 당시의 상황 때문에 온종일 고전을 읽을 수 있었는데, 그중 방파제에서 가장 재미있게 읽었던 책은 헤밍웨이의 책들이었다.


헤밍웨이는 바다를 El Mar이 아닌 La Mar이라고 불렀다. 그에게 바다는 여성적이었고, 그 여성의 바다를 헤쳐간 노인은 고래와의 사투 끝에 마지막 귀항을 한 참이었다. 그렇게 품을 내주는 바다에 앉아 책을 읽고 있노라면 많은 이들이 내게 와 말을 건네곤 했다. 원색의 파랑 교복을 입은 소녀들, 노랑과 빨강 옷으로 치장한 아저씨들. 물고기를 낚는 어부들 뒤에 숨어서야 온전히 책을 읽을 수 있었다. 그렇게 종일 책을 읽다 보면 늦은 일곱 시 경에야 해가 수평선 너머로 자취를 감췄다. 방파제에 일정한 간격으로 빛을 밝히는 가로등이 켜지는 시간은 오후 여섯 시 오십 이 분. 743번 째 가로등부터 내가 좋아하는 전구색 등이 켜졌다. 천천히 집에 갈 시간이었다.


쿠바의 그녀는 정부의 라디오 방송국에서 일했다. 그녀가 한 달을 꼬박 일해 버는 돈은 미국 달러로 삼십 달러, 변호사인 어머니가 버는 오십 달러도 크게 차이가 나진 않았다. 일가족이 팔십 달러로 한 달을 버티는 건 그리 어렵지 않았다. 정부 배급으로 나오는 밀가루와 쌀, 기름과 계란 등이 있으면 끼니는 걱정이 없었다. 하지만 모두가 평등하게 가난한 삶은 기호와 욕구를 말살했다. 기념일에 먹는 고기, 월급의 삼십 분의 일인 맥주 한 캔. 삶은 단조로웠고, 젊은이들은 섬을 떠나려 했다. 푸타 이슬라, 창녀와 도둑이 되지 않고서는 꿈을 꿀 수 없었다. 그저 현실에 순응해 살아가는 건 그녀에게 맞지 않는 일이었다.


해 질 무렵의 방파제에 앉아 마지막 맥주를 한 모금하고 있노라면 그녀가 퇴근하고 나를 데리러 방파제로 나왔다. 황혼빛 골목을 가로질러 그녀의 어린 동생을 유치원에서 데리고 나오면 어느새 하늘이 어둑해지곤 했다. 집으로 돌아와 우리는 온 가족이 조그만 식탁에 앉아 조촐한 저녁 식사를 했다. 내가 사 온 맥주 세 캔은 어느새 동이 났고, 그녀의 어린 동생은 직접 만든 비눗방울 장난감을 들고 와 내게 놀아 달라며 말을 걸었다. 소플라 로 soplarlo, 이것 좀 불어 봐. 나의 귓가에 아직도 남은 그 목소리를, 일본으로 떠나간 그녀는 기억하고 있을까. 모두가 가난하지 않고 평등하게 행복할 수는 없는 걸까.



뒷모습, 내가 만났던 도시와 그곳에 살았던 사람들에 관한 이야기를 합니다.

매거진의 이전글 그녀는 그녀 자신에게 입맞춤을 건넸다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