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작가 레오 Dec 24. 2019

아이에 대한 판단은 감옥이다.

당신의 판단을 조용히 쓰레기통에 가져가자!

최근 집에서 미술활동을 하다 보니 두 딸들은 자신의 작품을 '엄마'에게 보여주며 서로 자신의 작품이 더 멋지다는 것을 뽐낸다. 아내도 “여보, 이거 봐봐. 아이들이 했데. 정말 대단하지?” 그렇게 나에게 맞장구를 바랐다면 오산이다. 미술작품에 대한 평가보다 “뭘 표현한 거야?” “그림 속의 사람은 누구지?” “지금 그림 속은 어떤 상황이야?”라는 질문들을 던진다. 그리고 그게 끝이다. 아이들은 앞으로도 미술활동뿐만 아니라 공부 등 다양한 것을 이루어 나갈 것이다. 대한민국이라는 곳에서 태어나서 평가와 판단을 피하기란 불가능에 가깝지만 아빠로서 아이들을 평가하는 위치가 아니라 아이를 쉽게 판단하지 않음으로써 눈높이를 맞추기 위한 노력을 다짐한다. 이 기술의 이름은 ‘판단중지’라고 한다.     


'판단중지'는 고대 그리스 철학에서  뜻하는 ‘삼가다’ ‘멈추다’에 유래한 것이다. 어떠한 생각에도 회의주의자들은 반론을 제기할 수 있기에 본질을 흐리는 작당모의를 한 방에 날리는 실천기술이라 하겠다. 지금 당장 스스로 아이들을 어떠한 기준과 잣대로 판단하고 있는지? 되돌아봐야 한다.   

  

부모의 판단은 비이성적이다.

우리는 얼마나 많은 판단을 당하면서 살았던가? 시험으로 등급 매겨진 삶, 평가에 따라 분류된 삶은 마치 소와 돼지의 등급과 같이 느껴진다. 매년 가슴 졸이며 받는 성적표 속 나에 대한 평가는 또 어떻던가? 인간의 무한한 가능성을 그렇게 규정짓는다는 것은 참을 수 없는 일이다. 그런 판단들이 어느덧 아이들의 행복을 가두는 감옥이 되고 있는 것이 지금의 현실이다.      


아이를 양육하면서 문득문득 판단한다. '서율이는 이런 녀석이구나' 이런 판단은 과연 참인가? 나의 생각이 옳은가? 이것은 어디서 오는 것인가? 온전히 나의 것인가?라는 판단에 의문이 생긴 것이다. 과거 과학자들은 부모의 염색체 DNA만이 유전에 관여한다고 믿었지만 현대에 와서는 부모와 그 윗세대들의 집단 무의식이 신체 특성을 규정하는 2%의 DNA를 제외한 나머지 98%의 비부호화 DNA(Noncording)에 녹아 있다는 것을 밝혀냈다. 그동안 인류는 인간을 합리적이라 정의해왔지만 최근 행동경제학에서는 인간은 ‘비합리적’이라 밝혀냈다. 인지정서행동치료를 창시한 알버트 엘리스는 “인간이 생각하는 98%의 사고가 비합리적이다”라 말했다. 무수한 연구와 기록들은 인간이 얼마나 비이성적인가를 보여준다. 그러므로 지금 당장 우리가 한 아이에게 내린 판단이 합리적인 인지? 그것이 본질적으로 참이라고 할 수 있는지? 따져 봐야 한다.      


부모의 판단’ 아이들에게 감옥될 수도

부모의 판단은 아이의 본질적 흐름을 망칠 수 있다. ⓒ문선종

비단잉어 ‘코이’는 어항에서는 손가락 크기만큼, 수족관에서는 어른 손바닥만큼, 강에서는 유치원 아동의 키만큼 자란다. 우리가 아이들에게 내린 판단이 어항보다 작은 편협한 프레임이 될 수 있다. 육아에 관심이 있는 이들이라면 ‘칭찬’의 역효과를 잘 알고 있다. ‘잘한다’ ‘멋지다’라는 무조건적인 칭찬으로 박수소리가 들리지 않으면 춤을 추지 않는 아이들로 전락하게 한다는 것을 말이다. 왜 우리는 아이들의 본질을 볼 수 없을까? 많은 어른들이 판단이라는 프레임 속에 가두어 놓는 것일까? 이런 판단의 감옥을 깨기 위한 첫 관문이 바로 ‘판단중지’라는 기술이다.      


박수가 없어도 ‘춤’ 추는 아이로 자라길

데카르트의 “나는 생각한다. 고로 존재한다”라는 유명한 명언을 빌려 말하자면 부모는 ‘판단에 대한 생각’을 통해 본질을 흐리는 판단을 중지하고, 아이들이라면 자신을 향해 날아오는 ‘판단에 대한 생각’을 통해 거기에 갇히지 않도록 ‘생각’ 해야 한다. 그래야만 ‘실존’ 할 수 있다 자부할 수 있는 것이다.  


수급불유월(水急不流月) “물살이 아무리 급하게 흘러도 물 위에 비친 달은 절대 떠내려가지 않는다”는 말이 있다. 이처럼 우리들의 판단을 중지하고, 만들어내는 잔잔한 수면만이 아이들의 온전한 빛을 담을 수 있다. 지금 우리가 내리는 칭찬과 박수, 비난과 꾸지람이라는 판단의 행동이 거친 수면을 만드는 것은 아닌지? 자신의 판단을 잠시 중단하고 생각해보자. 이런 부모와 함께 자란 아이라면 능히 박수가 없어도 춤을 추는 ‘실존’하는 아이가 될 것이다.          


※육아 전문 No.1 언론사 베이비뉴스에 연재하고 있습니다.

칼럼니스트 문선종


사회복지학과를 졸업하고, 유치원 교사와 결혼해 두 딸아이를 두고 있다. 초록우산 어린이재단에서 ‘어린이가 행복한 세상’을 만드는 일을 한다. moons84@naver.com



매거진의 이전글 아이에게 하는 뽀뽀도 ‘결재’가 필요합니다.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