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작가 레오 Dec 31. 2019

당신의 가족은 안전한가?

안전의 기원은 가족

보통 우스갯소리로 회사의 분위기를 ‘가족 같은 분위기’라고 표현할 때 가족의 ‘족’ 자에 강세를 둔다. 검색 창에 ‘가족 같은 회사’라고 검색해보면 ‘가족 같은 회사는 망 한다’ ‘가족 같은 회사? 그런 건 없다’는 등의 제목으로 회의적인 반응이 대부분이다. 하상욱 단편 시집 ‘가족 같은 회사’에서는 “어쩌다 가족이 이렇게 됐을까”라고 푸념한다.      


이런 현상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명목과 실질이라는 개념을 알아야 한다. 예를 들어 동네 폭력배가 ‘선생님, 밤길 조심하세요. 워낙 험한 놈들이 많아서 말이죠’라고 말했다 가정해보자. 이 말의 명목상 의미는 요즘 워낙 밤길이 무서우니 조심하라는 당부의 말이다. 하지만 실질적으로는 어떤가? ‘나한테 까불면 죽는다’라는 협박의 말이다. ‘가족 같은 회사’는 명목 상 가족처럼 편안하고, 서로 챙겨주는 곳이라는 의미지만 실질적으로는 ‘입사하면 가족처럼 부려 먹을 것이다’라는 의미로 해석한다. ‘가족’이 비하되는 작금의 현실 속에서 ‘가족 같은’의 의미를 되돌아본다.     


‘가족 같은’의 진정한 의미

가족의 울타리는 근본적으로 '안전'해야한다. ⓒ문선종

매슬로우가 주장한 5단계 욕구 이론에서 하위 욕구에는 ‘안전의 욕구’가 있다. 인간은 위험과 공포로부터 벗어나 안전과 보호를 유지하려 한다. 자기를 보전하기 위한 욕구로 이 부분을 충족해야 상위 욕구인 자아실현과 같은 수준 높은 욕구로 나아갈 수 있다. 가족과 집단 모두 마찬가지로 ‘안전’을 느낄 수 없다면 한걸음도 나아갈 수 없다. 오히려 보호를 위해 위축되고, 서로를 경계하게 된다. ‘안전’은 집단의 화합을 이끄는 특별한 동기라 할 수 있다.      


‘안전’은 화학작용이다. 자주 마주치는 시선, 일상적인 스킨십, 짧은 시간 활발한 대화, 타인의 말에 대한 수용적인 태도, 넘치는 유머 등 구성원들이 더 끈끈한 관계를 만든다. 이를 위해 특별한 기술이 필요한 것은 아니다. 회의 전 나누는 짧은 10분의 잡담에서도 이런 화학작용은 충분히 일어난다. 구글과 디즈니 등 세계적인 기업들만 봐도 알 수 있다. 그들의 정책은 구성원들이 ‘안전’할 수 있도록 나아가고 있다.     


조직을 이끄는 심리적 안정감

구글은 2012년부터 2015년 회사의 미래를 위한 실험 ‘아리스토텔레스 프로젝트’를 실시했다. ‘특별한 성과를 내는 팀은 무엇인 다른가?’에 대한 답을 찾기 위한 것이었다. 사람들은 ‘능력이 뛰어난 사람들’이 모인 팀이 더 높은 성과를 낼 것이라 생각했지만 성과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학자들과 3만 7천 명의 직원이 참여한 프로젝트를 통해 밝혀낸 것은 바로 ‘심리적 안정감(Psychological Safety)’이었다. 팀원이 어떠한 의견을 제기해도 벌을 받거나 보복당하지 않은 거라는 믿음이 있는 조직 환경이었다. 픽사에서는 ‘브레인 트러스트(Braintrust)'회의를 통해 월 1회 제작 중인 영화를 감상하는데 지위고하를 막론하고 영화에 대한 자신의 의견을 자유롭게 제시한다. <겨울왕국>의 감독은 “값을 매길 수 없는 공헌”이라며 브레인 트러스트에 감사를 표한 바 있다.


「두려움 없는 조직」의 저자이자 심리적 안정감의 권위자인 하버드대학 에이미 에드먼드슨 교수는 “침묵은 조직의 성과를 갉아먹는다”며 삼성, SK, KT 등 국내 대기업들을 강연한 바 있다. 그는 심리적으로 안전을 느낄 때 조직이 혁신할 수 있다는 것을 25년간의 연구를 통해 밝혀냈다.      


안전의 기원은 가족에 있다.

가족이 심리적으로 안전하지 않다면 아이들의 사회성, 자아실현 등을 기대하기 어렵다. ⓒ문선종

우리 가족은 어떨까? ‘안전’한가? 배우자와 아이들에게 심리적 안전의 신호를 보내고, 화학적 반응을 일으키고 있는지 점검해볼 필요가 있다. 원시시대에서는 집단에 거부되는 순간 ‘죽음’이라는 불안을 느꼈다. 그래서 인간은 타인이 나를 어떻게 보고 있는지 신경을 쓰며 살아야 한다. 실제적으로 이런 뇌 영역은 존재한다.      


에드먼드슨 교수의 지적과 같이 ‘안전’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조직의 리더이다. 아이들이 가족 안에서 ‘안전’을 느끼기 위해서는 자신의 의견과 생각을 스스럼없이 말할 때 불이익을 주지 않아야 하는 부모의 수용적인 태도가 중요하다. 가족 내에서 안전을 느끼지 못하면 소속감은 사라질 것이고, 그것을 외부 집단에서 찾을 것이다. 아이들이 가족에 대한 소속감이 약한 가족의 경우 ‘안전’에 대한 화학작용이 일어나고 있는지를 점검해야 한다.  

    

나는 퇴근 후 현관문을 여는 순간 아이들의 이름을 크게 부른다. 아이들과 나는 서로를 향해 뛰어가며 와락 끌어안는다. 그렇게 서로 안긴 품은 세상에서 가장 안전하다고 믿을 수 있다. 가족은 ‘안전’ 그 자체이며 기원이라 할 수 있다. 우리 인류가 언어를 사용하기 전 이런 무의식의 화학작용을 통해 ‘안전’의 신호를 감지해왔다. 우리가 의식하지 않아도 숨을 쉬는 부교감신경과 같은 메커니즘이다. 하지만 애석하게도 우리의 ‘안전’을 위협하는 다양한 환경이 있다. ‘안전’은 불안에 대한 투쟁이며 때론 우리를 지고 힘들게 만들지만 지금까지의 역사가 그러했든 우리 부모들은 안전을 위한 튼튼한 울타리를 만들어갈 것이다. 대한민국의 모든 부모를 응원하며 글을 마친다.     


※육아 전문 No.1 언론사 베이비뉴스에 연재하고 있습니다.


아빠칼럼니스트 문선종

사회복지학과를 졸업하고, 유치원 교사와 결혼해 두 딸아이를 두고 있다. 초록우산 어린이재단에서 ‘어린이가 행복한 세상’을 만드는 일을 한다. moons84@naver.com



매거진의 이전글 아이에 대한 판단은 감옥이다.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