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매거진 외면일기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아샘 Feb 21. 2023

난로를 켜며

굵은 장작에 불꽃이 나기까지

굵은 장작은,
어느 순간 불꽃을 내는 것이 필요할 때쯤,
그렇게 그 속이 다 성숙되었을 때쯤,
스스로 자기 불꽃을 낸다.




어쩌다 보니, 혼자 집을 지킨다. 앞으로 한 달쯤.

지난달 난방비 폭탄을 맞은 터라 혼자 살면서 보일러를 최대한 줄이고 거실 난로로 추위를 버텨보기로 했다.

난로 불을 때는 것도 일이어서 여러 번 실수를 거쳐야 하는 것 같다.

익숙한 듯 서툰 손놀림으로 네 번째 난로를 땐다.


첫날은 그럭저럭 장작에 불이 잘 붙었는데,

오늘 아침은 쉽지 않다.

원인은 잔가지들이 적어서였던 것 같다.



불은 순서대로 탄다.

아주 잔가지들이 먼저 타고,

이후 약 3cm 정도 되는 중간 가지들이 탄다.

이 중간 가지들이 타는 동안 굵기 10cm가 넘는 큰 장작에 불이 붙어야 한다.


오늘은 작은 가지들이 작았고,

중간 가지가 두어 개 정도밖에 되지 않았다.

이 중간 가지가 타는 동안 큰 장작에 불이 붙을 때까지 한참을 들여다보았다.

태초에 인간이 불을 처음 발견했을 때도 그랬을 것이다.

불이 잘 붙을 때까지 잘 들여다보았을 것이다.

불은 인간의 눈을 홀린다.

불을 발견한 그 때나,

거실에 난방을 하는 지금이나.



굵은 장작은 여간해서 잘 불이 붙지 않았다.

겉은 까맣게 그을려도 속까지 붉게 이글거려야 불꽃이 나오는데,

오늘은 잠시 이글거리는 듯하더니 뒷심을 잃어가는 듯했다.


급히 옆에 있던 상자를 구겨서 집어넣었다.

상자가 두꺼운 덕분에 활활 타올랐다.

종이는 활활 타고, 빨리 사그라진다.

뭐 도움이 될까 싶었으나, 작은 가지들 가지러 갈 시간이 없어 일단 임시방편으로 넣었다.

그런데, 도움이 된 듯하다.

굵은 장작 두 개중 하나의 끝부분이 조금씩 붉게 이글거리기 시작했다.

이 이글거림이 계속 지속되어야 두 개의 장작 모두에 불이 붙을 것이다.


굵은 장작은,

작은 것들 다 타버리는 동안,

그저 자기 몸 조금 검게 타더라도,

버티고 인내하며 견뎌내다가,

어느 순간 불꽃을 내는 것이 필요할 때쯤,

그렇게 그 속이 다 성숙되었을 때쯤,

그때 스스로 자기 불꽃을 낸다.



이제 굵은 장작 두개 모두 불이 붙었다.

이 온기는 오래간다.


이제야 마음이 놓인다.


오늘도 난로에 불을 붙이고,

이 겨울 이 추위를 녹인다.




2023년 2월 20일



매거진의 이전글 원자와 코스모스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