면역학공부를 하며 옆길로 샜다
2024년 9월 19일
저마다의 Hypersensitivity(과민반응)의 역치들이 있다. 아주 작은, 정말 작은 낯선 단백질조차도 몸에서는 여러 가지의 기전으로 몸을 보호하려고 애쓴다. 이 면역반응에서 염증이 일어나기도 한다. 불자동차를 부르기 위해 불을 지르는 형국이라는, 동기의 설명이 와닿는다.
외부에서 들어온 항원이 비만세포에 붙었을 때 이 세포를 공격해 탈과립(degranulation) 작용으로 항원을 분해시키기도 하고(Type1),
자신의 세포를 항원으로 오인해 작용하는 과정에서 세포를 자멸시키기도 하고(Type2) ,
외부든 내부든 항원역할을 하는 이상세포와 항체가 덩어리가 되어 활성화되면 루프스 등과 같은 전신 염증이 생기기도 한다(Type3).
어떤 항원은 항체가 아닌 치유세포, T-cell(가끔은 좀 이상하게 불량해진 T-cell)과 직접 반응하기에 T-cell을 생성하기까지 하루정도 걸린다(Type4).
외부에서건 신체 내부적으로건, 자극에 과민반응해 자극을 유발하는 세포를 처리하는 과정이 잘못 튀면 염증으로 발전한다. 이러한 염증을 막는 작용을 Immunological tolerance라 한다. 과민한 면역에도 관용이 허락되면, 자신을 괴롭히는 면역체계가 반응하지 않는다. 면역 관용(Immunological tolerance) 는 중앙에서도, 말초에서도 일어난다.
언어, 환경, 세대, 문화 등 갖가지 변화에 몸과 마음이 과민하게 반응할 때, 스스로를 괴롭히는 hypersensitivity가 발동할 수 있다. 이때 자기 관용 Immunological tolerance 으로 자신을 보호한다. 자기 관용 작용을 일으키는 T-세포는 중앙기관/흉선과 골수(thymus, bone marrow)에서 발생시킨다. 위치 상 4차크라와 2차크라가 건강해야 일어나는 치유작용이다.
말초관용은 항원을 인식하는 T세포가 비활성화되거나, 어린 T세포에게 regulatatory기능을 부여하여 염증을 일으키는 T세포의 활동을 제한하거나, 자기반응성 T세포에 자멸사를 유도시킨다. 사지 말단에 해당하는 차크라는 1차크라다.
좀 휘청거릴 때도 있고, 마음이 약해질 때도 있다. 그리고 몸과 마음은 귀신같이 다시 또 ‘면역 관용’을 통해 다시 힘을 낸다.
공부를 하며 불안했던 마음을 꺼내 있는 그대로 들여다봤다. 결국은 잘 될 것이다. 내가 의심하지만 않으면.
오늘 밤의 키워드는 “정말 원하는 것”이 무엇인지를 “알고” “그대로 믿는” “지금”.
결국은, 이 네가지 키워드에 다다르는 길을 걸어보기로 한다. 동기의 정성어린 노트에 감사함을 느끼면서, 복습하는 중에 이미 바라는대로 되어진 우리를 축하하는 모습을 그려보게 됐다. 공교롭게 오늘 스터디가 면역학이었던 것도, 참 맥락이 잘 닿은 시간이었다.
#공부할힘충전하기 #다잘될거야 #JudyinUB #medicalstudentjudy
________
Each person has different thresholds for hypersensitivity. Even the smallest, truly tiny foreign protein triggers various mechanisms within the body to protect itself. During this hypersensitivity process, inflammation may occur. A friend once explained this as “setting a fire to call for the fire truck,” and it resonated with me.
When an antigen from outside attaches to a mast cell, the body may attack the cell, leading to degranulation to break down the antigen (Type 1). Sometimes, the body mistakenly identifies its own cells as antigens and destroys them (Type 2). In some cases, antigens—whether from the outside or within—bind to antibodies, forming complexes that activate the immune response, leading to systemic inflammation like lupus (Type 3). Certain antigens directly react with healing cells, or sometimes malfunctioning T-cells, which take about a day to form (Type 4).
Whether the stimuli are external or internal, if the process of eliminating the cells causing the stimulation goes awry, it can lead to inflammation. The action that prevents this inflammation is called immunological tolerance. If this tolerance is granted to an overly sensitive immune system, the body stops reacting to what’s causing the problem. Immunological tolerance occurs both centrally and peripherally.
When the body and mind react hypersensitively to changes in language, environment, generation, or culture, this self-aggravating hypersensitivity can kick in. At this moment, self-tolerance, or immunological tolerance, protects us. T-cells that initiate self-tolerance develop in central organs like the thymus and bone marrow. This healing process is supported by a healthy second and fourth chakra.
Peripheral tolerance involves inactivating T-cells that recognize antigens, assigning regulatory functions to immature T-cells to limit the actions of inflammation-causing T-cells, or inducing apoptosis in self-reactive T-cells. The first chakra corresponds to the limbs in this analogy.
There are times when I feel shaky or when my heart feels weak. Yet, my body and mind somehow muster the strength again through “immunological tolerance.”
In my studies, I brought my anxious thoughts to the surface and examined them as they were. In the end, everything will work out—as long as I don’t doubt myself.
Tonight’s keywords are: justice, truth, goodness, and symbiosis.
Ultimately, I choose to walk the path that leads to these four values. As I feel grateful for my friend’s thoughtful notes, I find myself picturing us already achieving what we desire while reviewing. It seems fitting that today’s study session was on immunology, perfectly aligning with the mo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