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MOVIE BRIDGE Dec 12. 2016

무비 브릿지 - 라 라 랜드

지난날에 대한 향수

추억은 일종의 만남이다
- 칼릴 지브란-

 스토리는 평이하기 그지없다. 남자와 여자의 불꽃같은 사랑과 이별의 쌉싸름한 맛. 그리고 꿈과 열정. 어디선가 많이 본 듯한 내용이다. 전체적으로는 우디 앨런 감독의 "카페 소사이어티"를 떠올리게 하며, 또 어떤 장면에서는 존 카니 감독의 "비긴 어게인" 이 떠오른다. 전혀 신선하지 않으며, 치밀하지도 않다. 만약 이 영화를 소설로 읽는다면, 끝맛이 찝찝할 것만 같다. 

    그럼에도, 이 영화가 사랑스러운 이유는 이것이 "스토리를 보여주기 위한" 영화가 아니라는 점이다. 영화에서 가장 돋보이는 부분은 감독의 연출이다. 데미언 차젤 감독은 대놓고 연극을 떠올리게 하는 연출들을 삽입한다. 주인공들이 카메라를 응시한다거나, 조명의 조절을 통해 오로지 한 인물만을 포커싱한다거나 하는 식으로 말이다. 이런 구시대적 연출이 관객에게 어색하게 느껴질 법도 하지만, 감독은 환상적인 오프닝 시퀀스를 통해 "이 영화를 연극처럼 즐겨달라" 고 말하면서 관객들을 자연스레 끌어안는다. 


    극적인 연출 기법 탓일까. 영화는 전체적으로 "촌스럽다" 는 느낌을 준다. 촌스러운 시련, 촌스러운 노래와 춤 시퀀스, 촌스러운 CG. 잘 빠진 수트를 차려 입은 도시남자라기보단, 체크 남방에 청바지를 입은, 이제 갓 상경한 새내기를 보는 듯한 느낌? 그렇지만 또 밉지만은 않다. 어리숙한 차림으로 우물쭈물하는 새내기를 보며 귀여워하는 복학생 아재의 기분이랄까. "저 때가 좋았지", 하는 그런 기분 말이다. 


    그런 정서, 그런 그리움 섞인 귀여움이 감독이 전하고자 했던 바가 아닌가 싶다. 영화 전반에 깔린 초기 할리우드식 연출. 그리고 스러져 가는 재즈 음악에 대한 찬사는 그런 추측에 확신을 준다. 남자 주인공은 재즈 음악을 사랑하는 한 사람이다. 마치 아이돌 음악과 발라드가 차트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상황에서, 김창완과 전인권을 추억하는 필자 본인처럼 말이다. 겪어 보지 못했던 황금기에 대한 추억. "그 빛나던 시절에 내가 있었더라면 어땠을까" 하는 아쉬움. 그리고 내 시대에 그 황금기가 다시 찾아오기를 바라는 소망. 영화는 그런 정서를 자극한다. "사랑은 비를 타고" 가 절로 떠오르는 듯한 엠마 스톤과 라이언 고슬링의 춤도, 관객들이 절로 미소를 짓게 만드는 결말부분의 시퀀스들도, 결국엔 "향수" 에 대한 이야기이다. 마치 고 유재하 씨의 곡, "지난 날" 처럼 말이다. 

잊지 못할 그 추억 속에

난 우리들의 미래를 비추어 보리
- 유재하, "지난날" 中-

    개인적인 감상이지만, 나는 감독이 그 지난 추억에 대해 아름답게만 느끼고 있지는 않다는 인상을 받았다. 결국 추억을 떠올린다는 것은, 지금 내가 서 있는 이곳이 그리 좋지많은 않다는 뜻 아닐까. 작년 여름, 김영만 아저씨 열풍이 불었던 이유도, "응답하라" 시리즈가 매번 히트를 기록하는 이유도 결국엔 '헬조선'에 가까운 요즘을 살고 있는 사람들이 아름답던 과거를 추억하기 때문이었다. 마찬가지로 감독 역시 천편일률적인 상업영화들과 팝 음악이 난무하는 빌보드와 할리우드에서, 진정으로 아름다워 사랑받았던, 황금기의 할리우드와 재즈 음악을 추억하는 것이 아닐까. 


    결국 그 추억은 '지난 날' 에 불과하지만, 그 추억으로부터 빛나는 미래를 비추어 볼 수도 있지 않을까. 그리고 그렇게 추억에서 미래를 비추어 볼 때, 비로소 그 추억은 의미를 갖는 것이 아닐까. 한 명의 락덕으로서, 한 명의 영화 애호가로서, 언젠간 다시 그런 아름다운 시절이 오길 바라면서 글을 마친다.

하루하루 더 새로웁게 그대와 나의 지난 날
- 유재하, "지난날" 中-


매거진의 이전글 무비 브릿지 - 싱 스트리트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