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세정 Jun 15. 2017

융합콘텐츠 서비스산업의 출현

ICT 콘텐츠 유통 플랫폼 중심으로 융합콘텐츠 생태계 발전

ICT 기술이 빠른 속도로 발전하고 있다. 과거 1000년의 기술보다 최근 100년의 변화가 과거 100년의 변화보다 최근 10년의 변화가 더 놀라울 정도다. 이런 변화의 중심에는 ICT 기술의 발전이 있다. 그러나 최근에는 한 분야의 기술로는 경쟁력을 확보하기 어려운 융합의 시대로 진입하고 있다. 4차 산업혁명 시대에서는 전문가들의 역량을 통합하여 더 큰 성과를 창출해낼 수 있는 국가가 부자나라가 될 것이다. 연구개발, 생산, 유통, 소비 등 산업생태계 각 부분 전문가들의 역량을 통합하여 시너지를 창출할 수 있는 리더들이 높은 부가가치를 만들어낼 것이다. 


ICT 기술은 우리의 삶에 큰 변화를 가져올 것이다.   


우선, 기술 간 융합으로 새로운 부가가치를 만들어내는 융합산업의 등장이다. 과거에는 정보통신산업은 독립적인 산업으로 성장하고 발전해왔다. 그러나 최근 IOT, 클라우드, 빅데이터, 인공지능 등 ICT 기술이 발전하면서 모든 사물과 사람이 연결되어 부가가치를 만들어내고 있다. 더 이상 정보통신산업은 독립적인 산업의 역할을 벗어나 제조, 의료, 관광, 농식품, 국방, 유통 등 모든 산업의 요소 산업으로 발전해가고 있다. 


그리고 로봇이 지능을 가지는 시대가 되고 있다. 초기의 로봇은 사람이 하는 근력 노동을 대신하고 컴퓨터가 개발되면서 로봇들은 연산능력을 가지고 생산성 혁신을 이루었다. 최근 인공지능기술이 발전하면서 로봇은 인지능력을 가지게 되었다. 그림을 그리는 인공지능 ‘아론’은 인간의 창의력에 의존하던 미술분야에서도 인간의 그림과 구별이 안 될 정도의 수준으로 발전하고 있다. 글을 쓰는 인공지능인 ‘브루투스’는 소설을 쓸 수 있는 능력을 발휘하고 있다. 쓰고자 하는 주제에 대한 자료를 인터넷에 연결된 데이터로부터 수집하고 분석하여 창의적인 글쓰기를 하는 수준에 이르렀다. 작곡을 하는 인공지능도 등장했다. 사람만이 가지고 있는 창작의 세계에 인공지능이 진입함에 따라 인공지능을 가진 로봇은 인간의 능력을 앞서는 수준으로 진화해나가고 있다. 


마지막으로 AR/VR/홀로그램과 같은 디지털콘텐츠 기술들이 발전하면서 가상과 현실의 경계가 사라지고 가상과 현실세계가 통합되고 있다. 최초의 가상세계는 문자와 이미지로 이루어진 세계라면 차세대 가상세계는 홀로그램 기술과 헵틱기술이 발전하면서 가상세계를 실감세계로 인식할 수 정도로 발전하고 있다. 가상공간이 스스로 접촉해 오는 시대, 가상공간에 존재가 살아있는 시대가 될 것이다. 

이제까지는 콘텐츠 산업이 문화산업의 한분야로 육성되어 왔다. 그러나 이제는 인간만이 할 수 있다고 믿었던 문화예술 분야의 콘텐츠도 인공지능 등 ICT 기술을 활용해서 창작하는 시대로 진화하고 있다. 지금까지와는 다른 정책 패러다임이 요구된다. 


또한 전통산업에도 변화가 일어나고 있다. 자동차 산업을 예를 들면 과거에는 힘이 좋고 안전한 자동차가 경쟁력이 있었다. 그러나 엘런 머스크가 이끄는 테슬라 모터스사가 개발한 전기자동차는 자동차 경쟁력의 핵심인 엔진이 없다. 테슬라 모터스가 주목받는 것은 자동차를 소프트웨어로 정의했기 때문이다. 자동차가 단지 이동하는 수단이 아니라 지적인 활동을 수행하는 이동하는 컴퓨터인 것이다. 글로벌 소프트웨어 기업들은 소프트웨어를 활용하여 플랫폼을 만들어 글로벌 경쟁력을 확보하고 있다. 동영상 공유 플랫폼인 유튜브, SNS 서비스 플랫폼인 페이스북, 이미지 공유 플랫폼인 인스타그램, 숏 메시지 플랫폼인 트위트, 왓츠앱, 정보공유 플랫폼인 구글 같은 기업들이 플랫폼 사업에 진출하고 있다. 그러나 플랫폼만으로는 지속 가능한 시장을 창출할 수 없다. 플랫폼에 유통할 수 있는 상품과 콘텐츠가 없으면 성장을 지속할 수 없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넷플릿스, 구글 등 글로벌 ICT기업들은 오리지널 콘텐츠 제작에 나서고 있다. 디지털 경제에서 콘텐츠, 유통 플랫폼, 소비자용 하드웨어 디바이스 기업 간에 콘텐츠 산업 주도권을 잡기 위해 경쟁이 치열하다. 


국내에서 융합콘텐츠 산업은 이제 겨우 걸음마를 뗀 수준입니다. 융합콘텐츠 산업을 활성화하기 위해서는 창의와 혁신을 실천하고 추진할 수 있는 환경 조성과 제도적 지원 등 많은 정책 아이디어들이 있을 것이다. 새롭게 변화하는 산업환경에서 선도적으로 융합콘텐츠 산업의 성공모델을 만들어간다면 융합콘텐츠산업은 우리나라의 새로운 먹거리 산업으로 발전할 수 있을 것이다.

매거진의 이전글 불붙은 콘텐츠 산업 주도권 전쟁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