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매일 만들어 나가는 글쓰기 습관
한창 글쓰기로 고통받는 시기이다. 평소 쓰던 에세이가 아닌 소설을 쓰니 역시 쉽지 않다. 다행히 소설의 초고는 완성했지만, 퇴고의 과정 또한 지난하다. 처음에는 퇴고로 내 글이 좋아지는 것이 눈에 보여 뿌듯했다. 그러나 뒷부분에 내가 급하게 써놓은 부분을 전체적으로 고치려니 그것 또한 두통을 불러일으킨다. 이럴 때 참 공감되는 말이 ‘내글구려병’이다.많은 창작자들이 느끼는 고통이라고 한다. 내 글 보면 정말 맘에 안 들고, 이 세상에는 잘 쓰는 사람들이 수두룩 빽빽일 것 같은 생각이 든다.
‘내글구려’의 고통은 두 가지에서 나오는 듯하다. 첫 번째는 나의 글을 남들이 어떻게 볼지 그 시선에 대한 두려움이다. 내가 내 글이 마음에 안 드는데 남들이 마음에 들어 할 수 있을까. 두 번째는 나의 시간과 노력이 물거품이 되는 것 아닌지, 즉 내가 쓰는 글이 아무 의미 없는 먼지만 쌓이는 글이 되지 않을지 하는 걱정이다.
나는 후자에서 더 큰 고통을 느끼는 것 같다. 어렵게 쓰고 있는 것에 비해 내가 잘 쓰고 있는 것인지 모르겠다. 방향이 맞는지 잘 모르니 아주 답답한 느낌이 든다. 심지어 기승전결이 어느 정도 정해져 있어 그를 따라가며 쓰고 있는데도 글이 쫀쫀하게 잘 엮이는 것 같지 않다. 글에 대한 안목과 잘 쓰고 싶다는 욕심은 점점 커지는데 나의 글은 이를 따라가지 못한다.
계속 고통받으며 내린 결론은, 왕도는 없다는 것이다. 완결 낼 때까지 계속 쓰고 또 써야 한다. 정말 뻔한 답이지만, 어쩔 수 없다. 부딪히고, 머리도 아파보고, 괴로워하기도 하지만, 그래도 창작을 계속해야만 나의 글을 완성할 수 있다. 물론, 이렇게나 머리 아픈 창작을 계속하기는 쉽지 않다. 그래서 환경도 중요하다. 자신이 글을 쓸 시간을 만들어 두고, 이 때는 다른 것에 집중이 분산되지 않도록 나를 자리에 앉혀야만 글과의 온전한 시간을 보낼 수 있다. 쓰다 보면 조금 글과 마음의 거리가 어느새 조금 좁아지고, 창작의 즐거움을 느끼게 된다.
나는 아직 글쓰기에 대해 잘 모른다. 그래도 쓰기를 지속할 것이다. 결국 끝까지 붙어 있어야 무언가 의미 있는 것이 나오기 때문이다. 나 같은 경우 복싱이 그랬다. 중간에 쉬는 기간도 있었지만 3년 얼추 넘어가는 기간 동안 배우니, 내 실력이 점차 늘어가는 것이 보였다. 이제는 초보 회원들의 스파링 상대를 서줄 때 공격을 안 하고 방어만 할 정도이다. 금연치료 교육 강의에서 금연의 성공률은 약물치료와 동병행해도 30%가량이라는 사실을 들었다. 금연을 한 번에 성공하기는 쉽지 않고, 끊었다 피기를 반복하다가 점차 끊는 경우가 더 흔하다고 한다. 실패를 마주해도 끝까지 도전하는 것이 결국 성공하는 방법이다.
글 쓰는 데 있어서도 꾸준히 앉아서 글을 써 내려가는 습관이 굉장히 중요한 요소인 듯하다. 습관은 실행하는 하루하루가 모여 만들어진다. 금연의 비법 중 하나는 영원히 끊어야 한다는 생각대신 오늘 하루는 피지 말자를 매일 반복하는 것이다. 거창한 목표가 아닌 오늘 하루를 어떻게 보낼 지에 대한 고민과 실천이 습관을 만든다.
내 글이 맘에 들든 안 들든 계속 써야겠다. 그러면 언젠가 내 글이 빛을 발하지 않을까. 최선을 다해 써내려 간다면 이번 글에 실패해도, 다음 글을 더 잘 쓰는 데 있어서의 기반이 될 것이다. 이러한 생각으로 마음을 한번 정리하고, 다시 한 번 타자기를 붙잡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