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무하 May 11. 2023

내 글은 구리지만 계속 쓸거야

매일매일 만들어 나가는 글쓰기 습관


한창 글쓰기로 고통받는 시기이다. 평소 쓰던 에세이가 아닌 소설을 쓰니 역시 쉽지 않다. 다행히 소설의 초고는 완성했지만, 퇴고의 과정 또한 지난하다. 처음에는 퇴고로 내 글이 좋아지는 것이 눈에 보여 뿌듯했다. 그러나 뒷부분에 내가 급하게 써놓은 부분을 전체적으로 고치려니 그것 또한 두통을 불러일으킨다. 이럴 때 참 공감되는 말이 ‘내글구려병’이다.많은 창작자들이 느끼는 고통이라고 한다. 내 글 보면 정말 맘에 안 들고, 이 세상에는 잘 쓰는 사람들이 수두룩 빽빽일 것 같은 생각이 든다.


‘내글구려’의 고통은 두 가지에서 나오는 듯하다. 첫 번째는 나의 글을 남들이 어떻게 볼지 그 시선에 대한 두려움이다. 내가 내 글이 마음에 안 드는데 남들이 마음에 들어 할 수 있을까. 두 번째는 나의 시간과 노력이 물거품이 되는 것 아닌지, 즉 내가 쓰는 글이 아무 의미 없는 먼지만 쌓이는 글이 되지 않을지 하는 걱정이다.

 나는 후자에서 더 큰 고통을 느끼는 것 같다. 어렵게 쓰고 있는 것에 비해 내가 잘 쓰고 있는 것인지 모르겠다. 방향이 맞는지 잘 모르니 아주 답답한 느낌이 든다. 심지어 기승전결이 어느 정도 정해져 있어 그를 따라가며 쓰고 있는데도 글이 쫀쫀하게 잘 엮이는 것 같지 않다. 글에 대한 안목과 잘 쓰고 싶다는 욕심은 점점 커지는데 나의 글은 이를 따라가지 못한다.


계속 고통받으며 내린 결론은, 왕도는 없다는 것이다. 완결 낼 때까지 계속 쓰고 또 써야 한다. 정말 뻔한 답이지만, 어쩔 수 없다. 부딪히고, 머리도 아파보고, 괴로워하기도 하지만, 그래도 창작을 계속해야만 나의 글을 완성할 수 있다. 물론, 이렇게나 머리 아픈 창작을 계속하기는 쉽지 않다. 그래서 환경도 중요하다. 자신이 글을 쓸 시간을 만들어 두고, 이 때는 다른 것에 집중이 분산되지 않도록 나를 자리에 앉혀야만 글과의 온전한 시간을 보낼 수 있다. 쓰다 보면 조금 글과 마음의 거리가 어느새 조금 좁아지고, 창작의 즐거움을 느끼게 된다.


@Wikimedia Commons



나는 아직 글쓰기에 대해 잘 모른다. 그래도 쓰기를 지속할 것이다. 결국 끝까지 붙어 있어야 무언가 의미 있는 것이 나오기 때문이다. 나 같은 경우 복싱이 그랬다. 중간에 쉬는 기간도 있었지만 3년 얼추 넘어가는 기간 동안 배우니, 내 실력이 점차 늘어가는 것이 보였다. 이제는 초보 회원들의 스파링 상대를 서줄 때 공격을 안 하고 방어만 할 정도이다. 금연치료 교육 강의에서 금연의 성공률은 약물치료와 동병행해도 30%가량이라는 사실을 들었다. 금연을 한 번에 성공하기는 쉽지 않고, 끊었다 피기를 반복하다가 점차 끊는 경우가 더 흔하다고 한다. 실패를 마주해도 끝까지 도전하는 것이 결국 성공하는 방법이다.


글 쓰는 데 있어서도 꾸준히 앉아서 글을 써 내려가는 습관이 굉장히 중요한 요소인 듯하다. 습관은 실행하는 하루하루가 모여 만들어진다. 금연의 비법 중 하나는 영원히 끊어야 한다는 생각대신 오늘 하루는 피지 말자를 매일 반복하는 것이다. 거창한 목표가 아닌 오늘 하루를 어떻게 보낼 지에 대한 고민과 실천이 습관을 만든다.

내 글이 맘에 들든 안 들든 계속 써야겠다. 그러면 언젠가 내 글이 빛을 발하지 않을까. 최선을 다해 써내려 간다면 이번 글에 실패해도, 다음 글을 더 잘 쓰는 데 있어서의 기반이 될 것이다. 이러한 생각으로 마음을 한번 정리하고, 다시 한 번 타자기를 붙잡는다.


매거진의 이전글 소설 쓰기의 비기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