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무하 May 03. 2023

소설 쓰기의 비기

글쓰기에 있어 새로운 시도 

 요즘 공모전에 참여하려고 소설을 쓰고 있다. 소설의 내용은 자전적 소설로, 힘들었던 시절에서 점차 나아져가는 내용을 담았다. 이전에 대략적으로 써 놓은 내용이 있어 크게 어렵지 않을 것이라고 생각했는데 웬걸, 도입부터 이리저리 고민하는 나를 발견할 수 있었다.


 소설 쓰는 것은 꽤 어려운 도전으로 다가왔다. 나 자신을 소재로 쓰지만, 그중 어떤 것을 넣을 것인지, 그리고 그 내용을 어떻게 표현할 것인지는 또 다른 영역이었다. 나를 주 소재로 잡았지만, 화자의 나를 새로운 캐릭터로 탄생시켜야 한다. 좋아하는 소설을 펴서 봤는데 그 책은 얼마나 섬세하게 내용을 잘 써 내려갔던지, 탄식할 수밖에 없었다. 공모전 수상작들도 찾아봤는데, 확실히 잘 썼다. 촘촘하고 섬세한 이야기가 반짝이고, 인물들도 톡톡 튀는 개성을 가졌다. 


 과연 내가 이 사이에서 괜찮다 할 만한 글을 쓸 수 있을까? 고민이 들었다. 소설을 하도 쓰다 보니 내 소설이 잘 쓰는 건지 못 쓰는 건지도 감이 안 왔다. 원래 소설 쓰는 게 이렇게 어려운 것일까. 꾸역꾸역 쓰는 느낌이었다.  


 어려움을 느낀 또 다른 이유는 긴 흐름의 글을 쓰는 것이 익숙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내가 쓴 대부분의 글은 A4 1~1.5 장의 분량이었고, 한 번에 읽어서 파악할 수 있었다. 그러나 소설이 10장을 넘어가니 자꾸 헤매게 되었다. 분명 도입부를 쓰고 전개까지 열심히 온 것 같은데, 내가 어디에서 무엇을 쓰고 있는지 감이 안 왔다. 


@Pixabay

 창작을 하는 내 친구가 비기를 하나 알려주었다. 소설의 플롯, 큰 기승전결을 짜고, 그 아래 개요를 적어 넣는다. 그 개요에 조금 더 구체적인 내용을 적는다. 큰 틀을 점차 쪼개고 채워나가다 보면 소설 하나가 완성된다고 한다. 플롯의 또 다른 좋은 점은 이를 참고하여 전체적으로 내용의 방향이 괜찮은지 확인할 수 있다는 것이다. 


또한, 짧게라도 서사를 구성해 보는 연습을 하라고 했다.

“짧게 서사를 구성하는 연습?”

“응. 너무 길게 쓸  필요는 없고, 심지어 한 문장에서도 서사를 만들 수 있어.”


  1~2 단어를 가지고 한 문장, 세 문장짜리 글짓기를 해도 좋고, 다섯 문장짜리 글을 만들어도 좋다. 이러한 글들로 스케치하듯이, 너무 고민하지 말고 글들을 써나가며 연습할 수 있다. 이런 글쓰기 연습이 서사 구성의 근육들을 단련시킬 수 있다고 했다. 친구랑 나는 1 문장 5개, 3 문장 3개, 5 문장 2개를 단어 1~3개씩 넣어서 쓰고 나눠보는 시간을 가졌다. 정해진 것은 없다. 자꾸 써보는 연습이 제일 중요한 듯하다. 


 다른 수상작들이나 좋아하는 소설을 보는 것도 큰 흐름을 잡는 데 나에게 도움이 되었다. 이러한 소설적 기법, 이러한 표현을 썼구나 느끼면서 내 글들을 돌아볼 수 있었다. 글을 읽으며 내 글이 좀 밋밋한 편이라는 것을 알아채고 어떤 대화나 소설의 장치들을 추가로 넣을지 더 생각해 보는 계기가 되었다. 


 사실 쟁쟁한 작가들을 뚫고 내가 공모전 수상을 받을 확률이 높지는 않다. 내 공모전 목표는 나의 소설 하나를 완성하는 것이다. 소설을 쓰면서 여러 가지를 배울 수 있었다. 좀 더 긴 호흡의 글을 써보는 기회였고, 긴 글을 쓰려면 글의 방향을 잡을 수 있어야 하니 전체적인 틀을 짜는 연습도 할 수 있었다. 또한 소설의 경우 에세이보다 조금 더 글을 맛깔나게 써야 해서, 문장의 디테일에 대한 고민도 했다. 


 글을 쓰면서 다양한 도전들을 해보는 것이 새로운 영감과 동력을 주는 듯하다. 소설을 완결하고, 올해 내 책 한 권을 완성하는 것을 목표로 해봐야지. 재밌을 것 같다. 

매거진의 이전글 성공이란 무엇일까?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