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동 욱 Jul 09. 2021

과학기술정책자문홍보

정책. 정부가 하는 모든 일은 정책이라는 단어로 설명된다. 교육정책, 경제정책, 부동산정책, 그리고 과학기술정책.  열거된 단어들만 놓고보면 과학과 기술 역시 다른 분야와 마찬가지로 국민들의 일상생활에 깊숙하게 연관되어 있다. 그렇기 때문에 정부는 국가 전체의 한정된 자원을 과학기술 분야에 적절히 배분하는 정책을 펼친다.


민주주의의 원리에 따라 모든 정책은 국민들의 의견을 수렴하는 절차를 거친다. 크게는 선거를 통해 행정부의 수반인 대통령을 선출하기도 하고, 필요에 따라서는 정책의 기획과 집행, 평가 과정에 국민들이 직접 참여하기도 한다. 국민의 관심과 의중에 반하는 정책이란 원칙적으로 없다. 과학기술분야에도 국민의 세금으로 이뤄진 예산이 매년 수십조원 투입된다.


하지만 이 과학기술정책, 특히 연구개발 투자라는 분야는 국민 생활에 미치는 영향이 비해 혹은 투입되는 예산의 규모에 비해 개개인들이 자기 연관성을 느끼고 직접 참여해 다뤄볼 수 있는 기회가 매우 제한적이다. 또 상대성 이론과 양자역학을 모두 섭렵한 천재 과학자라고 해도 과학기술정책의 방향과 비전을 이해하고 대안을 제시하기는 어렵다. 유독 과학기술 분야는 국민과의 거리가 멀고 정책과의 괴리도 크다.


무엇에 관한 정책을 홍보한다고  말을 할때 그 ‘무엇’이 과학기술인 경우만큼 곤란한 분야가 또 있을까. 연구의 방법과 성과, 의미와 한계를 해당 세부 전공의 연구자가 아닌 일반국민에게 잘 이해하도록 설명하기는 쉽지 않다. 여기에 ‘정책’이라는 단어가 붙으면 또 전혀 다른 영역이 된다. 커뮤니케이터로서 갖춰야 하는 리터러시의 수준이 상당하다.


어차피 문과 출신에 본업이 과학자가 아닌 바에야 과학기술 연구결과 혹은 정책의 성과를 새롭게 학습하는 것은 사실상 불가능하다. 그보다는 약간의 거리를 두고 현재 우리가 발 딛고 살아가는 인간사회와 과학기술이 어떤 관계를 맺어야 하는지, 사회와 과학이 서로 어떤 영향을 주고 받는지 살펴보는 편이 훨씬 생산적일 것이다.


자, 나는 무슨 공부를 시작해야 할까.

작가의 이전글 왜 글을 쓰는가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