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성실한 베짱이 Dec 22. 2021

브런치북 출판 프로젝트에는 떨어졌지만 퍼블리가 있었다.

퍼블리PUBLY를 아시나요? 나에게 콘텐츠 작성을 제안했어요.

어떻게 퍼블리를 알게 되었는지는 생각이 나지 않는다. 어찌어찌 알게 되었고, 몇 개월 전부터 구독하여 아티클을 보고 있다. '당신 곁의 랜선 사수'를 자처하며 20대 ~ 30대 회사원들을 대상으로 글을 발행한다. 마케팅, 트렌드 실무, 업무스킬, 브랜딩, UX/UI, 마음 다스리기, 자기 관리, 서비스 기획 등 다양한 카테고리의 글을 생산해낸다. 다양한 영역에 실질적인 도움을 줄 수 있는 작가를 발굴하여 제안하기도 하고, 자체 콘텐츠를 개발하기도 한다.


사내벤처에 선발되어 10월에 본격적으로 플랫폼 개발을 시작했다. 문제를 찾아내고 가설을 세우고, 이를 검증했다. 검증된 문제를 가지고 솔루션을 도출했다. 앱을 설명하는 랜딩페이지를 만들고 앱 작동을 보여주는 프로토타입을 만들어 고객 검증을 실시했다.


태어나서 한 번도 해보지 못했던 업무였다. 더욱 힘들었던 건 조직장을 향했던 내 시선을 고객으로 돌리는 일이었다. 처음 접해보는 협업 툴과 의사결정, 피봇 등등 어찌할 바 모르겠는 상황에 처하곤 했다. 그럴 때마다 퍼블리의 스타트업 관련 콘텐츠를 보며 공부하고 마음을 다 잡았다.


그런데, 그 퍼블리에서 나에게 콘텐츠 저자 제안을 하다니! 어떻게 이런 일이 있을 수 있단 말인가. 그 쟁쟁한 아티클 속에 내 글이 하나 자리 잡고 있다니. 멋지다.


'애쓰지 않으려 애쓰는 법'이라는 브런치 북을 하나 발행했다. 물론 브런치 대상에 도전한 거였다. 비록 떨어졌지만, 그 브런치 북을 보고 퍼블리에서 나에게 글을 써줄 것을 제안했다. 주제는 '인정욕구'였다.


퍼블리는 '조직 내 인정 욕구에서 벗어나기'라는 주제를 가지고 나에게 글을 써줄 것을 제안했고 난 당연히 제인을 받아들였다. 초안을 쓰고, 콘텐츠 매니저가 피드백을 주고, 글을 수정하기를 몇 차례 반복했더니 멋들어진 글이 하나 나왔다.


편집자의 위력을 처음으로 느낄 수 있었다. 매력적이지 않던 초안이 몇 번의 피드백과 수정을 거치지 매력적인 글로 바뀌어 있었다. 그 협업이 즐거웠고, 많은 것을 배웠다.


나에겐 다른 사람을 바꿀 수 있는 힘이 없다. 나는 기껏해야 자기 자신 정도만 바꿀 수 있는 존재다. 10년 넘게 회사 생활을 하면서 무수히 많은 남 탓을 했다. 타인에게 머물던 시선을 나에게 옮기는 순간, 인정 욕구가 날 힘들게 한다는 것을 깨달았다. '인정 욕구에서 벗어나기'가 내 회사 생활을 편안하게 만들어 줄 수 있는 가장 쉽고 확실한 변화였다. 그래서 인정 욕구가 날 어떻게 만드는지 살펴보았고, 벗어나기 위해 발버둥 쳤다. 앞으로 할 이야기는 그 발버둥의 기록이라고 보면 된다.
-서문의 마지막 단락-


아래 링크로 들어가면 글을 볼 수 있다. 아쉽지만 퍼블리를 구독하지 않으면 전체 글을 볼 수는 없다. 이 기회에 구독을 해보는 것도 좋


https://publy.co/content/6632?s=91ts8z


만약 이 글을 끝까지 너무너무너무 보고 싶어 구독을 하고 싶다면 아래 링크로 들어가면 좋다. 당신도 나도 2000원을 얻을 수 있다. 강요는 아니다. 그저 이 글의 끝이 너무 궁금할지도 모르니 그런 거다.

<퍼블리 구독 링크>


매거진의 이전글 '얄팍한 지혜'보다는 '순수한 열정'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