팬텀싱어2를 시청하면서 제일 먼저 귀를 번쩍 열어준 노래가 피아노맨이다. 노래가 시작되자마자 눈과 귀를 동시에 사로잡은 한태인의 표정과 노래는 사람의 마음을 한번에 사로잡아버리는 명품 같은 그것이었다.
무대에서 저런 표정이 나오는가 싶게 연신 웃으면서 노래를 부르는 한태인의 마스크는 자연스러움과 오버의 간극 사이에서 절묘한 줄타기를 하는 듯 그렇게 보는 사람의 마음을 단번에 흡수해버리고 말았다.
보이스는 또 어떤가. 베이스는 멜로디와 어울리지 않는 다는 편견을 보기 좋게 깨트려버리는 듯 자신 있고 거침 없이나왔으며 단단하면서 잘 익은 소리로 유려하고 매끄럽게 무대의 공간 구석구석을 유영하고 있었다.
무엇보다도 표정과 소리가 어우러져 일으키는 시너지 효과는 단연 최고의 순간을 만들었다고 할만 했다. 아직 한태인이라는 이름도 각인되지 않아서 저 출연자가 누구인지 확인햬야겠다는 생각이 저절로 일어나는 순간이었다.
한태인의 뒤를 이어 등장한 최진호는 컨트리풍의 목소리를 들려주면서 한태인과 절묘하게 앙상블을 이루어 나갔다. 청량감있는 소리와 울림, 그리고 서정적 낭만성이 풍기는 보이스가 한태인의 소리 위에서 때로는 한태인의 소리를 감싸면서 마치 듀엣의 조화는 이런 것이라는 정석을 보여주는 듯한 즐거움을 한가득 선사해주었다.
최진호는 이후 뚜렷한 족적을 남기지 못하고 사라졌지만 그것이 최진호를 평가하는 잣대는 되지 못한다. 고전을 형성하는 기준은 오랜 활동도 아니고 많은 작품을 남기는 것도 아니다. 단 한 작품을 남겼어도 그리고 그것이 그 당시에는 주목을 받지 못했어도, 어딘가에 있는 누군가에게 위로와 사랑을 주면서 존재하는 노래로 자리잡는다면 충분한 것이다.
특정 무대에서 비교를 통한 규정도 무의미하다. 경쟁이 끝나면 경쟁과 아예 관계가 없는 각각의 노래 한 곡들로만 남아서 노래 자체의 존재적 특성과 효과를 발휘하며 살아가기 때문이다. 그런 의미에서 보면 최진호의 목소리는 비교와 선택의 길에서 타자에 대한 상대성으로 밀려난 것일뿐, 피아노맨이라는 기준의 절대적 공간 안에서는 아주 적절하게 그리고 꼭 필요하고 잘 어울리는 칼라의 서정으로 제 역할늘 십분 발휘하면서 노래했다고 하겠다.
피아노맨이 좋은 것은 오버하지 않았다는 미덕에 있다. 오디션 무대의 특징상 과하고 거대하게 그리고 클라이막스와 엔딩의 화려함을 버리기가 쉽지 않다. 그래서 거창한 노래들로 무의미하고 건조하게 또는 과하고 숨막하게 채워지고 수놓아지게 된다. 그런 속에서 피아노맨은 여기저기 기웃거리지 않고 자기 길을 가면서 자기 목소리를 낸다. 다른 사람들의 과대한 이야기에 휘둘려 자신의 색채를 잃어버리거나 이상하게 채색하지 않고, 조용한 확신과 자신만의 가치관으로 밝고 건강하면서도 위축되지 않은 서사와 서정을 보여준다.
인생에 지친 사람들에게 힘내라고 다독여주는 노래. 마음이 힘든 사람들에게 다가와 그 마음을 어루만져주는 노래. 쓸쓸쓸한 길을 걸어가는 사람들에게 찾아와 함께 걸어가주는 노래. 혼자 있어 조금은 외로움을 느끼는 가슴을 숨쉬게 해주는 노래. 이것이 피아노맨의 소중한 가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