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이명재 Jul 11. 2023

인간관계의 어려움 1

나를 힘들게 하는 팀장

직장인들에게 가장 힘든 것 중 하나가 인간관계라고 한다.     

     

모든 사람이 나를 좋아할 수는 없듯이, 나에게도 좋아하는 사람과 싫어하는 사람은 있게 마련이다. 문제는 서로 지켜야 할 최소한의 선을 넘어가는 경우인데, 이 경우 누군가 겪어야 하는 괴로움이나 힘듦의 파괴력은 너무나 크다. 그리고 결국은 우리의 직장 생활뿐만 아니라 일상을 망가뜨리기까지 한다.        

  

그러므로 우리는 이런 힘듦이나 괴로움을 느끼는 사람의 입장에서 판단하고 그 대응 방법을 찾아야 한다. 왜냐하면 그 힘듦을 제공하는 사람의 생각은 객관적일 수 없으며 자신만의 편협에 빠져있을 가능성이 대단히 높기 때문이다.(일종의 자기 철학이라고 우기는 경우도 많이 봤다.) 그리고 무엇보다, 받아들이는 사람의 생각이 그렇다면, 그게 옳은 것이 아니겠는가?    

권위 의식이 강한 팀장, 독선적 스타일          


본인은 스스로를 리더십이 강한 스타일이라고 생각을 하지만, 독선적이라는 생각은 전혀 하지 못한다. 또 그런 말을 듣는 것을 무척이나 싫어한다. 이런 팀장은 일에 대해서나 사람에 대해서 늘 자기중심적인 구도를 만들기 때문에, 함께하는 사람들은 언제 어떤 일이 생길지 불안 속에 사는 경우가 많을 수밖에 없다. 휴일이나 밤낮을 가리지 않는 전화나 카톡 업무 지시, 수시로 확인하는 업무의 진행 과정은 물론 사소한 모든 것에 대해 직접 관여한다. 그나마 다행인 것은 나한테만 그러는 것은 아니라는 것이다.   

       

자신만 모르는 시대착오적인 스타일이다. 과거 이런 팀장과 함께 하면서 참으면서 배운 결과 체득된 스타일일 가능성이 대단히 높다. 본전 생각도 난다. 그러니 만큼 단 시간에 변화하기는 절대 쉽지가 않다.   

       

하지만 팀장이 아무리 독선적이라고 해도, 함께 일하는 팀원들의 타팀 전출 희망이 늘거나, 우리 팀으로 오려는 직원이 없어지면 팀장으로서는 견딜 수가 없다. 어느 회사든 매년 인사이동은 있게 마련이다. 결국은 시간이 해결해 줄 문제다. 물론 그전에 회사에서 시행하는 정기적인 관리자 교육이나 또는 팀원들과의 소통 과정을 통해서 스스로 고치는 게 좋은 방법이긴 하지만, 개별 기업의 여건상 교육의 기회를 수시로 만드는 것도 쉬운 일이 아니고, 팀원이 먼저 대화를 요청하는 것도 쉬운 건 아니다.         

 

주지하다시피, 이런 팀장은 세태를 못 읽고 있는 것이므로, 만약 참고 견딜 수만 있다면 해결이 될 문제다. 하지만 좀 더 적극적인 방법을 생각해 봐도 좋을 것 같다. 나 혼자라면 어렵지만, 모든 동료들과 함께라면 가능할 수도 있지 않을까? 이런 과정을 거쳐 팀장이 수긍을 하고 조금이라도 변화의 의지가 생길 가능성은 있다고 생각한다. 즉, 대화의 반복을 통해서 본인의 생각과 판단이 항상 옳은 것은 아니라는 인식만 심어주도록 해보자. 막말을 일삼거나 폭력을 일삼는 경우와는 다른 ‘생각의 차이’에서 발생된 것이기에 어느 정도 기대를 해 볼 만은 하다. 어쩌면 겉으로 수긍을 하지는 않더라도 본인의 과한 행동에 대해서만큼은 다시 생각해 볼 기회가 되리라고 생각한다.     


팀원을 편애하는 팀장     

     

사람이라면 누구에게나 ‘편애’까지는 아니라 하더라도, 마음이 좀 더 가는 대상은 있다. 그런데 그 정도가 지나치다면, 무시를 당하는 쪽은 물론 편애를 받는 쪽도 불편하긴 매 한가지가 아닐까 싶다. 물론 직접 말을 할 수는 없겠지만.          


‘편애’그룹과 ‘무시’ 그룹을 구분하는 기준이 ‘업무 처리 능력’일 수도 있지만 ‘지연’이나 ‘학연’등 선입견적인 요소가 개입되는 경우가 많다. ‘내’가 합리적인 생각을 중시하는 사람이라면 이런 팀장과는 결이 맞을 수 없으므로, 다른 좋은 방법을 찾아서 준비한 다음, 헤어짐을 선택하는 게 서로를 위해서 좋다고 생각한다. 하지만 “회사 생활을 더 오래 할 사람은 팀장이 아니라 나”라는 사실은 바뀌지 않는다.          


앞 케이스와의 차이라면, <권위 의식이 강한 독선적인 팀장>은 모든(적어도 대부분의) 팀원들에게 부정적으로 비치지만, <편애>를 하는 팀장에게는 그를 (적극적으로) 따르는 사람들이 있다는 점이다. 그러므로 제기된 문제의 성격도 좀 다른 면이 있다. 예를 들면, 전자의 팀장은 그저 상황에 따른 대응을 하는 것이거나 또는 성격의 문제이지만, 후자의 팀장은 자신의 내부에 잠재되어 있는 성향의 문제이기 때문에 해결하기가 훨씬 더 어렵다고 생각된다.          


회사를 떠나기 전에 뭐라도 해보고 싶다면, 앞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나와 같은 생각을 하거나 같은 처지에 있는 동료들과 함께 방법을 모색해 볼 수도 있다. 여전히 대화의 힘은 강하고, 팀장직을 수행할 만한 사람이면 객관적인 시각도 갖추고 있다고 믿어볼 수 있다. 외부의 눈을 두려워하는 것은 모든 사람들에게 공통적으로 적용되는 공식이다.               


다음 편은 <폭언이나 폭행을 일삼는 팀장>과 <업무 지시나 피드백 과정의 무시>입니다.


(이미지 출처 pixabay.com)


매거진의 이전글 소중한 내 연차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