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면지언니 Apr 15. 2020

좋아서 시작한 축제, 서른 한 해

예지 존 - 크라쿠프 울리차 국제 거리극 축제 예술감독과의 대화

어느 공연 기획자의 세계 방랑기 -  폴란드, 크라쿠프 # 1



좋아서 시작한 축제, 서른 한 해

예지 존 - 크라쿠프 울리차 국제 거리극 축제 예술감독과의 대화

Jerzy Zoń(ULICA The International Festival of Street Theatres in Krakow)



축제가 시작되면 오래된 도시의 풍경이 바뀐다. 이전에 알던 곳들이 새로운 옷을 입고 시민들에게 무대로 이야기를 건넨다. 폴란드에서 두 번째로 크고 오래된 도시 중 하나인 크라쿠프의 울리차 국제 거리극 축제(ULICA The International Festival of Street Theatres in Krakow)다.


‘울리차(Ulica)’는 폴란드어로 ‘거리’를 의미한다. 이름부터 ‘거리’를 내세우고 있는 이 축제는 크라쿠프의 오래된 광장과 골목, 공원과 도시 곳곳을 무대로 폴란드를 비롯한 세계의 거리극 작품들을 소개한다. 동유럽에서 가장 오래된 거리극의 장이자, 어느덧 서른 한 해째를 이어오고 있으며, 크라쿠프의 극단 KTO가 시작, 지금까지 극단의 연출이자 대표인 예지 존(Jerzy Zoń)이 축제의 예술감독을 맡았다.



울리차 축제를 운영하고 있는 극단 KTO를 소개해 달라.


첫 시작은 대학에서 연극을 전공한 이들과의 작은 모임이었다. 연극을 해보려고 시작했던 모임이 극단이 되었고, 작품이 조금씩 성장하며 오디션을 통해 단원들을 뽑고 1977년 설립 이후, 40주년이 넘는 지금까지 크라쿠프에 연습실과 사무실을 두고 활동하고 있다. 거리극과 연극을 한다. 작품의 제작과 공연뿐만 아니라 1988년부터 시작한 거리극 축제를 30년 이상 이어오고 있으며, 2005년에는 크라쿠프 시에서 지정하는 시립극단이 되었다.



민간 극단이 축제를 운영한다는 것이 특이하다. 사실 극단에서 제작한 작품을 소개하기 위해 축제를 시작한 것이 아닐까 생각했다.


많은 사람들이 그런 질문을 하지만 사실은 그렇지 않다. 도리어 초반에는 우리 작품을 소개하지 않고 다른 도시의 극단들을 초청하는 데에 집중했다. 축제의 시작은 거창하지 않았다. 거리극이 좋아서 축제를 시작했다.


극단이 자리를 잡기 시작하고 몇 해 지나지 않아 폴란드의 한 도시에 있는 축제에서 제대로 된 거리극 축제를 처음으로 접했고, 도시가 연극으로 가득 차는 것을 봤다. 이 축제를 크라쿠프에서도 해야겠다고 마음을 먹고, 다음 해에 비슷한 형식의 프로그램들을 시도했다. 그때 우리에게 영감을 주었던 축제는 더 이상 존재하지 않지만, 이 도시는 여전히 거리극을 이어가고 있다.



축제는 시와 어떤 관계를 맺고 있나


크라쿠프 시는 우리 축제를 꾸준히 이어가게 해주는 동반자이다. 물론 축제에는 다양한 후원 기업들이 있지만 대부분의 재원은 시 정부의 예산이다. 때로는 예산이 적었던 적도 있지만, 한 번도 축제를 못한 적은 없다. 크라쿠프는 폴란드의 예술계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도시여서 문화적으로 풍요로운 편에 속한다. 한 해에 도심 광장에서 진행되는 행사만 해도 수백 가지는 넘을 것이다. 하지만 거리극은 우리 축제가 유일하다. 이러한 풍요로부터 올해에는 조금씩 새로운 시도들을 하고 있는데, 그중 하나가 축제 기간 중 크라쿠프 근교의 소도시에 아웃리치의 형태로 거리극 공연을 하러 가는 것이다. 올해는 오슈비엥침과 타르노프에서 시범적으로 몇 개 작품들을 선보였다.



한국과 오랜 기간 교류해온 것으로 알고 있다. 게다가 올해 축제에는 여러 한국 작품을 초청했다.


우리 극단은 세계의 여러 도시들을 투어 하며 공연을 올린다. 그중에서도 한국은 내가 정말 좋아하는 나라이다. 한국과의 첫 교류는 2006년이었는데, 우리 극단의 작품이 과천한마당축제에 초청받아 <시간의 향기>, 몇 해 뒤에는 <눈먼 자들>이라는 거리극 작품을 공연했다. 이후에는 다른 축제들에 초청받아 공연을 하게 되며 자연스레 한국 작품들도 많이 보게 되었다. 이번에 초청한 작품들은 모두 내가 직접 본 공연들이다. 2017년에는 서울아트마켓에 델리게이트로 참여해 한국의 예술가들을 만나고 올해 축제에 초청하고자 하는 공연 프로그램들을 확정했다.


울리차 페스티벌에서 '마사지사'를 공연하는 한국의 공연팀 비주얼 씨어터 꽃

최근 몇 년 간 우리는 축제의 공연을 포커스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구성하기 시작했다. 유럽의 돈키호테 작품들을 한 데 모으는 일에 집중한 해도 있었고, 성경을 모티브로 하는 작품들을 구성한 해도 있었다. 때로는 어린이들을 대상으로 한 거리극을 여럿 초청했고, 작년에는 책을 주제로 한 공연이 축제의 주요 테마가 되었다. 그리고 올해는 아시아이다. 축제의 테마를 ‘Wind from the East’로 정했다. 한국과 싱가포르, 키르키즈스탄 등 전통과 현대를 가로지르는 여러 작품들을 구성했는데, 그중에서도 한국의 작품이 총 네 작품으로 가장 많고 중요하다.



한국의 작품들로부터 기대하는 것은 무엇인가 


폴란드의 관객들에게 아시아의 주요 거리극 단체를 소개하는 것이 포커스 프로그램의 전부이다. 올해 아시아 포커스 프로그램에 구성한 한국 작품들은 큰 규모의 공연부터 작은 공연까지 모두 의미가 있다. 비주얼씨어터 꽃의 <마사지사>는 워크숍을 통해 폴란드의 시민들을 만난다는 점에서 많은 기대가 된다. 유럽의 문화, 그리고 연극적 전통과는 다른 아시아의 색깔을 드러내는 작품이라고 생각을 해서 이 공연의 장소를 선정하는 데에는 특히 고민을 많이 했다. 유럽과 한국이 어떤 교류를 해왔는지, 서로 어떤 영향을 주고받아 왔는지 살펴볼 수 있는 기회가 되면 좋겠다. 동양의 문화가 어떤 방식으로 작품에 드러나며, 연극의 언어에 미치는 영향이 무엇인지 드러내며 아시아와 유럽의 접근 방식이 어떻게 다른지 만날 수 있기를 기대한다.




스무 살에 처음 만났던 예지 존 감독은 한국에서 온 축제 전문가 일행에게 집에서 직접 담근 보드카 한 병을 선물로 건넸다. 그 술 한 병을 숙소에서 조금씩 나눠 마시며 밤늦도록 연극과 축제에 대해 이야기를 나누었던 시간이 아직도 생생하다. 한 축제를 시작해서 서른한 해째 예술감독을 맡고 있는 사람. 그 해에 크라쿠프에서 처음 보았던 그의 축제에는 역사와 현재가 공존했고, 서정과 환상을 보여줄 뿐만 아니라 문명의 야만도 잔인하리만큼 생생하게 담겨 있었고, 십 년이 넘은 지금 다시 찾은 축제 역시 새로운 방식으로 그 정수를 이어가고 있었다. 좋아서 시작한 축제, 어느덧 서른 한 해. 축제는 이제 어디로 나아가게 될까?


copyright (c) myunzee


* 본 글은 2018년 예술경영지원센터에서 발행한 웹진 [예술경영]에 수록된 원고입니다.



매거진의 이전글 폴란드 유대인들의 오랜 이야기터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