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제 <강원국백승권의 글쓰기 바이블> CCC 2020년 9월 20일
자기 생각의 물고기가 있느냐 없느냐.
그건 글 쓸 때 만들어지지 않으니 평소에 취미로 삼으라는 거죠.
그것만 있으면 어떤 글이든 쓸 수 있으니까요
말은 너무 쉬운데 글쓰기를 어떻게 평소에 하라는 것인지 늘 어려웠다. 누군가는 엉덩이로 쓴다고 하고, 누군가는 코어 힘, 누군가는 손가락 힘, 굳은살. 그것들이 내게는 마치 존재할 수 없는 것인 것처럼 글을 쓴다는 걸 어렵다고 생각했다. 혹시 그렇게 생각하는 사람이 있다면, 이 책을 권한다.
책을 쓰는 방법이나 과정, 책을 쓰겠다는 생각을 갖기까지 고민하는 시간들도 언급하고 있어서, 막히던 부분들을 설명해준다. 사례도 다양하게 들어가 있어서, 20개 중에 1개는 분명 공감 가는 이야기가 있다. 그 부분만이라도 내 것이 되면 이 책을 아주 훌륭하게 읽었다고 할 수 있다.
노무현 대통령이 그러셨어요.
왜 남이 써놓은 걸 내가 일장 일절부터 다 읽어야 하냐고.
나는 내가 궁금한 걸 읽는다고. (주체적인 독서 행위)
무슨 글을 써야 할지가 늘 고민이었고, 글을 쓰는 시간을 내는 것도 귀찮은 직장인인데, 일단 뭐라도 써보라는 그들의 지속적인 속삭임이 힘이 되는 책이었다. 재미없는 삶에 글을 더한다고 무엇이 달라질까. 이런 삶이 어떤 글을 쓸 수 있을까 하는 자괴감에 빠져있던 건 아닐지 생각하게 됐다. 사실 특별한 내용이 있던 건 아니었다. 내가 안다고 생각했던 부분들도 많았으니까. 이런 자만심을 억누르고 한 글자씩 꾹꾹 눌러 읽게 된 건, 뭐라도 써보고 싶다는 생각이 강했고, 노닥이듯이 얘기하는 그들의 '글쓰기 방법 소개'하는 내용들이 가려운 부분들만 긁어줬기 때문이다. 적어도 이 책을 손에 든 사람은 뭐라도 쓰고 싶었던 사람일 테니까. 가끔 남들의 셀카가 부러워서 셀카를 찍어보려 해도, 막상 어떤 표정을 지어야 할지 모르는 때가 있다. 더 나아가 '표정' 이란 것을 지어야 한다고 생각하지도 못한 채로 렌즈를 마주할 때도 있다. 글을 쓸 때도, 막상 펜을 잡은 후에 어떤 표정을 입혀야 할지 모르겠는 멍한 상태가 반복된 사람들. 그런 사람들에게 이 책을 추천한다.
글의 단점은 표정이 없다는 것. 말에는 손짓, 억양, 표정이 있다.
반대로 생각하면 글에 표정을 줘라.
좋았던 글귀들은 따로 모아서 써두었다. 필사도 해보고, 그러고 나서 이 책의 감상평을 블로그에 쓴다. 뭐라도 써야 하지 하는 마음에. 그게 무슨 의미가 있으며, 왜 내가 생각한 것만큼 나는 대단한 글을 쓰는 사람이 아닌지에 대한 대답도 이 두 사람의 (정확히는 세 사람)의 대담에서 들었다. 보이스북으로도 나와 있다고 하니, 추후에 한 번 들어봐야지 싶다. 책을 읽고, 뭐라도 한 줄 쓴다고 생각하고 인스타니 페북이니 해보는 것도 좋겠다 싶어졌다.
미셸 드 몽테뉴.
꿀벌은 이 꽃 저 꼿에서 꿀을 얻지만,
꿀은 꽃의 것이 아니라 꿀벌의 것이다.
일상의 루틴에, 글을 넣고 싶어졌다. 더 분명하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