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나동나동 Mar 16. 2020

코로나와 공공성


한국은 공공성에 대한 이해와 요구가 높지 않다. 하지만 공정에 대한 요구는 엄청나게 크다. 이는 피해의식과 관련이 깊다. 나만 손해볼 수 없다는 피해의식, 너도 죽을 만큼 고생해라 그래야 인정해준다는 피해의식. 이 피해의식이 좁은 땅덩어리와 엄청나게 발달한 인터넷 등 매체 환경과 관계망을 통해 퍼져 나가 삽시간에 여론을 형성한다. 그래서 공공성의 최소주의를 선호하면서도, 해외에서 이해 못하는 엄청난 상황, 즉 외부에서 볼 때는 공공성이 극대화 되어 사회를 살리는 듯한 환각이 일어나는 거다.


해외 반응을 보면 코로나에 맞서는 한국사회의 엄청난 대응 속도에 놀란다. 공공성=사회주의 확대=공산화라는 이상한 등식이 적용되면서도 희한하게 공적자원(마스크에서부터 방역, 동선자 추적, 확진자 의료서비스까지)이 엄청난 속도로 분배되는 느낌을 받는다. 그러나 이것은 건강한 시스템에 기인한 게 아니다. 그야말로 엄청난 여론의 작용과 정권을 잡은 지도자/정치세력의 임기응변에 의해 굴러가는 럭비공같은 형국 속에서 사람들 갈아 넣어 이뤄낸 것이다. 이번에는 운이 좋았다면, 다음에는 운이 나쁠 수 있다.


p.s 공공성과 연대의식은 낮은데 피해의식에 기인한 공정(시험의 공정), 평등(고통의 평등) 관념은 높다. 그래서 존경하는 여성주의자들이 대체복무제가 포함된 여성징병제를 이야기하기도 한다. 한국인의 정서를 고려했을 때 이것이 최선이라고 생각한 것이다. 무슨 말을 해도 너도 고생해봐라 이 논리를 넘어설 수 없다. 모병제는 군대의 계급화란 측면에서 입장이 달라진다.


작가의 이전글 기술 선생님에게는 미안해요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