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꾸바 Sep 30. 2019

가짜를 버리지 못하면 진짜는 없다

미련 없이 가짜는 휴지통으로 버리자

논란이 있을 수도 있는 명품 가방 이야기를 좀 해야겠다. 내가 대학생일 때 유행했던 가방은 루이뷔통 스피디였는데 당시에 커피숍 알바 시급이 1200원이었으니 그 가방은 내 돈 주고 살 수 있는 물건이 아니었다. 그래도 다행(?) 인건 너무 유행하다 보니 똑같은 디자인의 가짜 가방이 많이 나왔고 사실 대부분의 사람들은 진품과 가품을 구별하지 못했다.

그 와중에 난 나름 S급 가품을 샀는데 10만원 가까이 되었으니 아주 싸구려는 아니었고 나름대로 가품 중에는 급이 높은 것이라 생각했다.

하지만 내 머릿속에는 아, 루이뷔통 스피디 가지고 싶다란 생각이 항상 있었고 꼭 진품을 사고 싶다는 마음이었는데 기회가 생겨 가방을 선물 받게 되었다.


어떤 브랜드를 가지고 싶냐는 질문에 이상하게도 난 루이뷔통 스피디!라고 외치지 못했다.

이미 S급 가품이 있는데, 명품가방을 선물 받을 기회는 흔하지 않으니 똑같은 가방을 받고 싶지는 않았던 것이다. 결국 다른 모델을 골라 선물 받게 되었는데 결국 그 가방은 잘 메지도 못했다. 내가 좋아하는 스타일도 아니었고 어울리지도 않았으니까.


내 마음속에 사고 싶은 가방은 결국 가짜를 버리지 않는 이상은 살 수 없는 것이었다. 만약 그 가짜 가방이 없었다면 난 진짜를 받을 수도 있었는데도 당장 그 진짜가 내 손에 들어오기 전까지는 가짜에 일부 위안을 받으며 사는 것이다.


많은 사람들이 이직을 할 때 환승 이직을 추천한다. 나 역시 회사를 그만두고 직장을 구해본 시기가 있었는데 매일매일 돈과 내 자존감이 사라지는 느낌을 감내해야 했기에 다시는 경험하고 싶지 않은 시간이었다.


하지만 다니고 있는 회사가 10만원 짜리 가짜라면. 회사가 당신의 삶을 피폐하게 만들고 있다면 버려야 한다고 생각한다.  시간이 지나면 이 정도면 그냥 다닐만하지 않나라는 생각이 오락가락하면서 간절함이 없어지고 어느 순간 익숙해져 버리기도 한다. 어느새 가짜 가방이 진짜처럼 느껴지고 안주해 버리는 것이다.


현재 내가 다니는 회사가 이직을 원하는 나에게 일종의 보험이 될 수 있지만 그 보험료가 너무 높아 내 에너지를 깎아먹고 있는 것이 아닌가 생각해 보았으면 좋겠다. 어쨌든 선택은 개인의 몫이지만 회사에 너무 열정을 쏟지 말고 '나의 삶'에 집중하는 사람들이 많아졌으면 좋겠다.


매거진의 이전글 회사의 이별통보, 해고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