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이목 May 13. 2017

우린 힘겨울 때마다 이곳이 아닌 어딘가를 떠올린다.

와일드 (The Wild, 2015)

따지고 보면 머릿속은 항상 어떤 생각들로 가득 차 있었다. 거리를 걸을 때도, 운전을 할 때도 밥을 먹을 때도 심지어는 누군가와 대화를 할 때도 머릿속에서는 이런 저런 잡다한 기억들과 의미가 있거나 혹은 없는 갖은 상념들이 쉴 새 없이 떠오르고 또 사라졌다. 그나마 “머리가 좀 복잡해.”라고 말할 수 있을 때는 그나마 머리가 그렇게까지는 복잡하지 않은 때였다. 왜냐하면 정말 머리가 복잡할 때는 한마디 말도 입 밖으로 새어나오지 않았으니까.



영화를 봤다. 제목은 <와일드>. 포스터를 보자 영화가 보고 싶었다. 남들이 몬스터(?)라 부르는, 자기 몸보다도 더 큰 배낭을 짊어지고 길 위에서 길 너머를 바라보며 걷는 작은 체구의 여자. 그녀의 등에 짊어진 짐이 남의 짐처럼 느껴지지 않아서였을까?




우린 힘겨울 때마다 이곳이 아닌 어딘가를 떠올린다. 알 파치노가 <칼리토>에서 바하마 해변을 떠올렸듯. 그날도 문득 그랬던 거 같다. 속초라도 다녀올까? 아니면 부산? 아니 이왕에 가는 거 제주 올레길이라도 좀 걷고 올까? 그렇게 다녀오면 뭔가 좀 나아질까? 아니 달라질까? 생각은 꼬리를 물었지만 정작 꼬리의 끝은 허무했다. 잠시 도망치듯 떠나는 거로는 아무것도 해결될 일이 없다는 걸 알기 때문이었다.

인생의 끝자락에 서 본 <와일드>에서의 셰릴과는 근본적으로 처지가 달랐다.




인간은 때로 육체적 고통을 통해 정신적으로 한 걸음 더 나아갈 수 있다고 믿는 거 같다. 셰릴이 택한 일종의 ‘苦行’도 그런 믿음에 바탕을 두고 있는지 모른다. 그건 일종의 자신에게 내리는 벌이다. 그동안의 안일함과 나태함, 나의 인생을 마치 남의 인생처럼 허비한 것에 대한 벌. 그 벌을 기꺼이 받아들이고 난 후에는 어쩌면 새로운 인생을 살 수 있을까? 그건 일종의 희망일까?



영화는 셰릴 스트레이드라는 여자가 홀로 떠난 멕시코 국경에서 캐나다 국경에 이르는 4,286km에 달하는 PCT(The Pacific Crest Trail) 여정을 따라간다. 셰릴은 이 거리를 94일 만에 주파한다. 실제 배경은 1995년이다. 주제가는 ‘El condo pasa’. 영화 내내 곡 초반부만 감질나게 흘러나오다 영화가 끝나는 순간 본 곡이 온전히 나온다. 나름 짜릿했다.


감독인 장 마크 발레는 <달라스 바이어스 클럽>을 만들었다.

촬영감독 이브 벨랑제는 <달라스 바이어스 클럽>과 <로렌스 애니웨이>를 찍었다.

각본은 <어바웃 어 보이>로 잘 알려진 베스트셀러 작가 닉 혼비.

주연을 맡은 리즈 위더스푼은 헐리웃의 잘 나가는 톱 여배우다. 하지만 그녀는 그동안 자신에게 주로 들어오는 머리는 텅텅 빈 금발 미녀 역할에 불만이 많았다고 한다. 그녀는 직접 이 영화의 제작을 맡았다.

그리고 알다시피 원작은 셰릴 스트레이드의 동명 베스트셀러 소설이다. 책의 볼륨에도 불구하고 꽤나 잘 읽힌다.



- 끝 -

작가의 이전글 중요한 건 결과가 아니라 과정이라고.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