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나묭 Aug 01. 2019

‘나쁜 어른’이 되지 않기 위해 줄여야 할 것들

<어린 나를 키운 것들이, 어른이 된 나를 해쳤다>


1. 자기확신


나를 키운 건 팔 할이 자기긍정과 자기확신이었다. 어린 나는 나에게 관대했다. 실패해도 위축되기보다 스스로에게 끊임없이 다시 기회를 줬다. 가족과 사회도 그걸 도왔다. 경제 사정이 괜찮은 집의 종손이었고, 남자였으니까. 그 기회의 시간들은 나를 꽤 성공으로 이끈 듯하다. 나는 늘, 객관적으로 생각하는 나 자신보다 더 화려한 겉옷을 입으며 살아왔다. 성적에 비해 좋은 대학교를 갔고, 노력에 비해 큰 회사를 갔다.


언젠가부터, 나를 키웠던 자기확신들이 나를 좀먹고 있음을 깨닫는다. 나는 가족과 사회의 우월한 도움 속에 꽤 괜찮은 삶을 살게 됐는데, 자기애가 강하다 보니 더러는 내가 잘나서 이 자리까지 왔다고 착각하는 우스운 사람이 되어가고 있었다. 그런 내가 멋있어 보일수록 나를 더 사랑하게 되고, 자기애와 자기확신은 더 강화되었다. 화려한 겉옷을 뽐내며 이게 맞다고, 이렇게 하면 너도 성공할 수 있다고 누군가에게 지껄여댔다. 옷을 벗기면 드러나는 초라한 몸집을 숨기려고 그랬을 수도 있다. 나를 몇 번 이상 만난 사람들은 그 은밀하고 싶던 허점을 쉽게 알아챘을지도 모른다.


이제는 조금씩 자기에 대한 긍정과 확신을 줄이며 살려고 애쓴다. 확신, 긍정, 사랑 같은 예쁜 말로 스스로를 포장하기 보다 ‘합리화’라는 알맞은 단어로 객관하려고 노력한다. 그리고 앞세웠던 그 말들은 타인을 위한 수사로 내어주는 성숙함을 기르고 싶다. 자아는 성찰의 대상으로 두고, 대신 타인에 대한 확신, 긍정, 사랑을 품는 사람이고 싶다.


그렇다고 자신만만했던 어릴 적을 후회한다는 건 아니다. 그저 사람은 때에 맞게 변해야 하며, 어리다는 이유로 용서받았던 나의 부족함들을 이제는 채워나갈 때라고 믿을 뿐이다. 내 경우에는 ‘공감 능력’이 대표적이다. 누군가에겐 어릴 적부터 차고 넘쳐서 오히려 성장을 방해하던 능력이었을지도 모르겠지만. 이젠 주변 사람들이 왜 울고 있는지, 왜 그들은 나 같지 않은지를 자아에 관한 탐구보다 깊이 들여다봐야 할 때인 것 같다.


2. 시행착오


어렸을 때부터 성공에 목말랐다. 남자니까 큰 꿈을 가져야 하는 게 사회적 공식이었다. 꿈을 크게 부풀려 말할수록 가족과 주변 사람들은 손뼉 치며 대견해했다. 그들에게 보여주기 위해서라도 다양한 분야에서 완벽히 잘 해내는 사람이고 싶었다. 그래서 뭐든 부딪혀보며 살았다. 엉뚱한 길 같아도 일단 걸어보는 게 지름길을 찾는 방법이라고 확신했다. 내 확신은 적중했던 것 같다. 잦은 실수를 먹고 나는 잘 자랐고, 이리저리 쿵쾅대며 시행착오를 겪다 보니 다양한 길도 보이고 일부분 삶의 해답도 얻을 수 있었다.


어른이 된 후에도 습관을 버리기가 쉽지 않았다. 일을 할 때 무조건 강행하거나, 일단 해보고 고치자는 자세로 임했다. 상사들은 그런 나를 대개 좋아했다. 임무완수 과정에서 내가 범하는 잘못들은 그들이 제어해주면 되었으니까. 그러나 조금씩 후배들이 많아지는 나이가 되면서 나는 자주 한계에 부딪혔다. 내 실수를 다듬어줄 사람은 줄어들고, 대신 내 실수로 시간과 노력을 허비하거나 피해를 입는 사람들이 늘어났다. 죄 없는 그들은 나의 판단착오를 온전히 같이 부담해야 했다. 선배들이 예쁘게 봐주던 잠재력은 더러 후배들을 괴롭히는 못된 영향력으로 기능했다.


지금은 성공의 횟수를 늘리기보다 실패의 가능성을 줄이는 사람이려고 노력한다. 돈키호테처럼 행동이 앞서기보다 햄릿처럼 고민을 깊이 하는 어른이 되고 싶다. 나의 선택이 미칠 파장 앞에 겸손해지고, 누군가 피해 입을 가능성을 줄이기 위해서라면 내 임무를 완수할 가능성도 줄여나가는 게 맞다고 생각한다. 그리고 내게 과하게 주어졌던 그 숱한 기회들을, 같은 조직원이나 후배들에게 내어주는 사람이고 싶다. 나 대신 그들에게 실수할 기회를 주고, 시행착오를 통해 성장하도록 돕고 싶다.


한 가지 더, 입을 닫고 귀를 여는 일에 집중하고 싶다. 나이가 들수록 시간의 가치는 귀해지기 마련이다. 그 소중하게 소비되는 시간을 내 얘길 하기보다 남 얘길 듣는 데 할애하고 싶다. 그게 실수를 줄이는 길이기 때문이다. 여전히 잘 안 되지만 매일매일 그러려고 노력한다.


3. 일탈의 욕구


하고 싶은 건 하고 말아야 직성이 풀리는 어릴 적이었다. 그저 ‘하고 싶은’ 단순한 마음인데 무엇도 그걸 막지 못했다. 양심. 주변의 시선. 도덕률. 가끔은 법까지도. 저지르고 싶으면 선악의 굴레라도 고민하지 않고 넘나들었다. 그게 후회 없는 삶이라며. 그다음 벌어질 일까지는 굳이 생각하지 않았던 것 같다. 그런 선택이 누군가에게 줄 상처까지도 생각이 닿지 못했다. 선이 그어지면 일단 넘어는 보자는 습성은 어린 나를 제법 경험 많고 과감한 어른으로 키워냈다.


지금은 조금씩 변하려고 노력한다. 지켜야 할 건 지키는 게 ‘좋은 어른’이라고 생각한다. 그 생각을 조금씩 실천으로 옮기기 시작한 건 불과 얼마 지나지 않은 과거인 것 같다. 선을 넘으면 여전히 짜릿할 것이다. 나이 든다고 바뀔 기질이 아니니까. 그러나 이제는, 머지않아 불현듯 감정의 파도가 덮칠 것을 예상할 정도는 됐다. 그 파고에 잠식당하면 숨도 못 쉴 것을, 그럼 지금 내가 아끼는 가치들이 상처 받거나 사라질지도 모른다고 염려하게 됐다.


여전히 세상을 살다 발걸음이 ‘그 선’의 코 앞까지 닿을 때가 있다. 나이가 들수록 빈도는 크게 줄었지만 아주 가끔은 불현듯 그런 순간이 찾아온다. 일탈하거나, 반칙하고 싶은 순간들. 그럴 때면 나는 호흡을 크게 여러 번 내쉬거나 먼 곳을 응시하며 오래오래 마음을 가다듬는다. 지금을 지켜내야 무엇이든 오래 갈 거라며. 달아오른 욕심이 아닌, 차분한 세상의 질서와 균형을 따르는 삶이 순리라며. 그렇게 귀한 손님처럼 먼 길 찾아온 욕망을 ‘좋은 어른’이 되어가는 토양 아래 단단히 묻어둔다. 평균의 사람들이라면 이미 오래전 가 닿았을 그 길을, 하고픈 걸 못 참았던 풋소년은 뒤늦게 한 걸음씩 걸어가고 있는 듯하다.


매거진의 이전글 엄마는 밥으로 말을 건다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