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영화평론가 조일남 Jan 09. 2020

필름은 차갑다.

<타오르는 여인의 초상>

 

이 영화에 관한 생각은 우지현 작가님의 트윗을 보고 영감을 얻었다.


https://twitter.com/woojihyun_/status/1213803242661924864?s=21



 미술 작품을 감상하는 방법은 두 길이 있는 것 같다. 작품에 담겨있는 내적 서사를 유추해보는 법과 그림이 탄생하게 된 방법론적인 과정을 거꾸로 더듬어 보는 것이다. 이상하게도 <타오르는 여인의 초상>을 이야기하며 영화라는 매체에 관한 질문을 할 때, 그림을 대하는 태도와 떼어놓고 이야기할 수 없다는 생각이 든다. 물론 자크 리베크가 지적했듯이 영화란 곧 역사( 혹은 시간)를 기록하는 데 의의가 있다. 사진이 정지된 시간이라면 영화는 사진을 이어 붙여 만들어진 셈이니 다시 말해 영화란 시간을 저장하는 매체나 다름 아니다.


 그렇지만 <타오르는 여인의 초상>이 시간을 사유하도록 하고 무엇이 영화인가란 질문을 다시금 전해준다는 점은 여전히 유효한 질문일까? 먼저 엘로이즈와 마리안느란 두 인물의 절절한 사랑 이야기를 설명하는 건 내가 할 수 있는 일이 아닌 것 같다. 다만 이 영화의 가장 매혹적인 순간 중 하나가 캔버스 위에 붓을 터치하면 느껴지는 소리와 색채의 향연이란 점엔 이견의 여지가 없을 것 같다. 이처럼 그림을 그리는 장면이 탐미적이게 다가 온 영화가 또 있었을까?


 말하자면 <타오르는 여인의 초상>의 매혹적인 지점은  ‘초상’이 아니라 ‘타오르는’에 있으며 그림보다 그림-그리기라는 활동에 의해 마음이 움직였다는 점이다. 그러니 이 영화로 다가서기 위해선 그림을 그린다는 행위와 초상화라는 일종의 결과를 별개로 두고 생각해야 할 것 같다.


 이 영화 속 그림의 역할은 무엇인가? 이렇게 생각해볼 수 있다. <타오르는 여인의 초상>엔 하나의 그림은 곧 특정한 시간을 대변한다. 혹은 어떤 시간을 담아두고자 하는 상태로 이어진다.


 돌려 말하지 않고 이야기한다면 <타오르는 여인의 초상>에서 그림을 그릴 수밖에 없는 이유는 사진이 부재하는 세계이기 때문이다. 사진을 찍을 수 없는 시대에 어떻게 시공간을 가둘 수 있을까? 답은 불가능하다는 것 외엔 없다.


 마리안느가 엘로이즈를 초상으로 기록하는 장면은 이 영화 속에 두 번 등장한다. 하나는 엘로이즈라는 대상을 은밀히 관조하며 그리는 시간. 여기서 훔쳐보기는 마리안느와 관객의 시선이 동일 해지는 순간이기에 속도라는 방해물이 개입한다. 여기서 서스펜스가 발생한다. 유한한 시간 동안 얼마나 빠르게 묘사할 수 있는가의 문제. 마리안느는 엘로이즈의 얼굴을 숨어서 관찰하고 또 묘사한다. 옆모습과 뒷모습, 광대와 얼굴 선을 따로따로 그려놓고 이내 하나의 초상으로 가져온다. 이것이 첫 번째 초상이고 이 시도는 엘로이즈의 거부로 실패한다.


 두 번째 초상이 그려지는 순간은 모든 구속으로부터의 해방이다. 엘로이즈의 어머니도 부재하고 하인 소피와 마리안느, 엘로이즈 세 명만이 섬에 존재한다는 착각마저 들 정도다. 모델인 엘로이즈마저 주어진 역할에 충실하기까지 한다. 마리안느가 엘로이즈를 촉각 하는 장면들이 확대되어 등장하고 그를 정면으로 바라볼 수 있으며 모델의 자세를 지정할 수도 있다. 초상을 완성할 수 있는 모든 조건이 마련된 순간이 아닌가?


 그럼에도 불구하고 마리안느는 이때 그린 엘로이즈의 그림을 거부한다. 초상화의 완성이 곧 엘로이즈의 결혼을 승인하는 셈이란 이유 외에도 마리안느의 얼굴엔 형식적으로 초상을 미처 완성하지 못했다는 기운이 남아있다. 그러니까 어떤 조건에서건 마리안느는 엘로이즈를 그리는 데 실패한 셈이다.


 이 영화만 놓고 본다면 그림을 그리는 행위는 대상을 구체적으로 기억한다는 의지의 표상이다. 여기서 대상은 있는 그대로 그려지는 게 아니라, 바라보는 이의 인지 감각을 거쳐 새롭게 탄생한다. 그러니 초상화란 애초에 왜곡 없이 그려질 수 없는 것이다.


 아무리 바라보고 만져 본들 무언가를 오롯이 그리는 건 실패로 향할 수밖에 없다. 여기서 그림-사진이 되려는 시도는 (작품 배경이 이 당시인 이유도 이런 이유 때문인 것 같다) 슬픔을 관조하는 우리에게 더 큰 아이러니로 다가온다.


 이 모든 장면들이 카메라에 담겨 있음으로. 말하자면 마지막까지 엘로이즈를 바라보는 데 실패하는 마리안느의 활동을 바라보는 카메라의 차가움에 있다. 시간은 타오르지만 카메라는 아무런 동요가 없다. 아이러니는 여기서 발생한다.

매거진의 이전글 영화는 네가 필요한 자극을 주지 않아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